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원필경”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의 자서(自序)에 의하면, ≪≫ 20권과 아울러 ≪사시금체부 私試今體賦≫ 1권과 ≪오언칠언금체시 五言七言今體詩≫ 1권, ≪잡시부 雜詩賦≫ 1권, ≪중산복궤집 中山覆簣集≫ 5권을 함께 바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 전하는 것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말의 유학자 최치원(崔致遠, 857-?)의 시문집.
    정의신라 말의 유학자 최치원(崔致遠, 857-?)의 시문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yewon pilgyeong | MR표기Kyewŏn p’il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5_D_0053 서적-문집 筆耕, 四六 唐 崔孤雲 藝文志, 文獻通考, 勝覽 D_07_01_50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5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5_D_0176 서적-문집 文章奇僻, 不足動天下 崔致遠 通考, 筆苑 D_20_01_128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2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 문헌 한국 신라 헌강왕 성낙수 박종국 2015 최치원 886 20권 4책 규장각 등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학자이...

고서·고문서(17)

주제어사전(6)

  • /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 885년(헌강왕 11) 중국 회남(淮南)에서 귀국하여 그 이듬해인 886년(정강왕 1) 그의 나이 서른 살이 되던 해에 당나라에 있을 때의 작품을 간추려 정강왕에게 바친 문집이다. 『』의 자서(自序)에 의하면

  • 중산복궤집 / 中山覆櫃集 [문학/한문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의 『집』 저작 이전에 글을 수록한 시문집. 1부 5권으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목록에는 사시금체부(私試今體賦) 5수 1권, 5언·7언 금체시(五言七言今體詩) 100수 1권, 잡체시(雜體詩) 30수 1권, 중

  • 격황소서 / 檄黃巢書 [문학/한문학]

    신라 헌강왕 때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격서.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귀국한 이듬해 자신이 편찬하여 헌강왕에게 올린 다섯 편의 저서 중의 하나인 『집(集)』 20권 중 제11권의 첫머리에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 때에 있었던 유명한 민란인 황소(黃巢)의 난

  • 최치원 / 崔致遠 [종교·철학/유학]

    인'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합일을 시도하였다. 저서에 <고운집> <> 등이 있다.

  • 고운문집 / 孤雲文集 [종교·철학/유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고운문집』은 최치원의 저술 중에서 『집』과 『사산비명』을 제외한 시문 모두를 모은 것으로 사실상 습유(拾遺)의 성격을 띤다. 최치원은 평생 엄청난 분량의 시문을 이룩했지만 오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