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요등”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0)

  • 발산리의모감주나무병아리꽃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떡갈나무‧팽나무 및 아카시아 등이며 바닷가에는 넓은잎기린초 및 갯제비쑥이 자란다. 모감주나무 밑에는 목본류로는 까마귀밥여름나무‧갈참나무‧개머루‧‧구기자나무‧닥나무‧담쟁이덩굴‧덜꿩나무‧보리밥나무‧소태나무‧인동‧이스라지‧ 으아리‧이대‧쥐똥나무 등이 자라고...
  • 외연도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사위질빵‧‧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새머루 등의 상록만경식물이 엉켜 자라고 있다. 또, 낙엽활엽수로서 팽나무‧찰피나무‧딱총나무‧푸조나무‧자귀나무‧산초나무‧누리장나무‧고로쇠나무‧꾸지뽕나무‧산뽕나무‧닥나무‧꾸지나무‧찔레꽃‧참빗살나무‧두릅나무...
    연계항목외연도의상록수림(外煙島의常綠樹林)
  • 우도의생달나무와후박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누리장나무‧돈나무‧천선과‧사철나무 등과 개머루‧새머루‧‧사위질빵‧참으아리‧송악 등의 덩굴식물이 엉켜서 자라고 있다. 작은 숲 주변은 경작지이다. 따라서 우거진 숲을 개간하면서 서낭나무의 주변 및 몇 나무만을 남겨 온 것이라고 본다. 『문화재대...
    연계항목우도의생달나무와후박나무(牛島의생달나무와후박나무)
  • 까막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풍등‧노박덩굴‧‧청가시덩굴‧청미래덩굴‧담쟁이덩굴‧개머루‧댕댕이덩굴‧인동덩굴 등의 덩굴식물이 엉켜서 자라고 있다. 바닷가에는 갯개미취‧갯명아주‧나문재‧갯메꽃‧갯질경이 등이 자라고, 군데군데 돈나무가 자라고 있다. 희귀한 식물로서는 모새달의 군락이 있으며,...
    연계항목까막섬의상록수림(까막섬의常綠樹林)
  • 미조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그 밑에는 다시 조록싸리‧생강나무‧보리수나무‧예덕나무‧천선과‧작살나무‧쥐똥나무‧붉나무‧검양옻나무‧윤노리나무‧화살나무‧누리장나무‧초피나무‧찔레나무 등이 자란다. 또, ‧댕댕이덩굴‧칡‧개머루 등의 덩굴식물도 자라고 있다. 초본식물도 비교적 많이 자라고 있...
    연계항목미조리의상록수림(彌助里의常綠樹林)

고서·고문서(3)

  • 64883 B064883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孝宗 7年 2月 20日_013 ○備邊司啓曰, 吳寅亮齎來狀啓, 回下通書韓震琦, 使之不爲入送之意, 非但使臣馳啓, 韓震琦, 亦以不爲入送島中語, 馳啓矣。 得接禮曹啓下韓震琦狀啓, 則禁軍齎來公事, 卽給館倭, 使飛船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4886 B06488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孝宗 7年 2月 20日_013 ○備邊司啓曰, 吳寅亮齎來狀啓, 回下通書韓震琦, 使之不爲入送之意, 非但使臣馳啓, 韓震琦, 亦以不爲入送島中語, 馳啓矣。 得接禮曹啓下韓震琦狀啓, 則禁軍齎來公事, 卽給館倭, 使飛船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9998 B06999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7年 2月 20日_013 吳寅亮齎來狀啓, 回下通書韓震琦, 使之不爲入送之意, 非但使臣馳啓, 韓震琦, 亦以不爲入送島中語, 馳啓矣。 得接禮曹啓下韓震琦狀啓, 則禁軍齎來公事, 卽給館倭, 使飛船入送云。 莫重啓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과학/식물]

    꼭두서니과 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은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아시아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출현 빈도가 높다. 내륙에서는 주로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고 해안지방에서는 울릉도와 대청도까지도 자란다. 농촌마을 근처 산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무룬나무·돈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기·사위질빵··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