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양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3)
- 계산동은행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부평초등학교 구내에 있는 은행나무.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높이는 25m에 달하고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위용을 자랑하는 노거수인데 원래는 부평 도호부(都護府) 청사의 뜰에 풍치를 목적으로 해서 심...연계항목계산동은행나무(桂山洞銀杏나무)
- 부평도호부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43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 [내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당초의 인천도호부 건물은 동헌(東軒), 객사(客舍), 근민당(近民堂), 내아(內衙)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하나, 이...연계항목부평도호부청사(富平都護府廳舍)
- 부평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향교. [내용] 1127년(인종 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계양산(桂陽山) 아래에 창건되었다. 병자호란 때 소실되었다가 난 후 중건하...연계항목부평향교(富平鄕校)
- 인천 동양동 유적_SN02301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인천 동양동 유적_SN02301 SN02301 경기도 인천 동양동 유적 인천광역시 계양구 동양동 306번지,153-2번지 37° 33' 36....대표표제어인천 동양동 유적_SN02301 | 지역경기도 | 시기청동기전기
- 남억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양구 계산동 현재의 캠퍼스로 이전함으로써 인천교육대학교의 발전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인천교원단체 연합회회장, 한국교육학회 경인지역회장‧부회장, 평화통일 국정자문위원회 등 인천교육대학장 퇴임 후에는 인천지역에서 영재유치원을 개원하여 새로운 유아교육 방식을...
고서·고문서(11)
- 담당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담당 김 여자 인천광역시 계양구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마산구(麻山区) 신광촌 3 1 담당, 선생...대표표제어담당 | 성씨김
- 67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67재 김 여자 인천광역시 계양구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마산구(麻山区) 신광촌 3 2 67재,대표표제어67재 | 성씨김
- 해방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해방 김 여자 인천광역시 계양구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마산구(麻山区) 신광촌 3 3 해방, 남편...대표표제어해방 | 성씨김
- 인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인천 김 여자 인천광역시 계양구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마산구(麻山区) 신광촌 1 1 인천, 도산...대표표제어인천 | 성씨김
- 허씨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생,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성1동, 현대아파트대표표제어허씨 | 성씨로
주제어사전(7)
-
계양구 / 桂陽區 [지리/인문지리]
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1개 행정동(23개 법정동)이 있으며, 구청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4동에 있다. 이 지역의 중심에 솟아 있는 계양산은 인천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그 남쪽에는 부평지역의 중심지였던 부평도호부가 입지하고 있었다.
-
부평도호부청사 / 富平都義府廳舍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43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당초의 인천도호부 건물은 동헌, 객사, 근민당, 내아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하나, 이곳에 초등학교를 세우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헐렸다. 이 건물은 동헌이라기보다는 내아일
-
경인여자대학교 / 敬仁女子大學校 [교육/교육]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사립 여자전문대학. 백창기가 운영하는 학교법인 태양학원에서 경인여자전문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1992년 3월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전산과·사무자동화과·무역실무과·세무회계과·환경공업과·광고디자인과·실무영어과 등 7개 학과에 입학정원은
-
계산동은행나무 / 桂山洞銀杏─ [과학/식물]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부평초등학교 구내에 있는 은행나무.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높이는 25m에 달하고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위용을 자랑하는 노거수인데 원래는 부평 도호부(都護府) 청사의 뜰에 풍치를 목적으로 해서 심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부평구 / 富平區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경기도 부천시, 서쪽으로는 서구, 남쪽으로는 남동구 및 경기도 시흥시, 북쪽으로는 계양구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41′∼126°46′, 북위 37°27′∼37°31′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2.00㎢, 인구는 55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