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계목
연구성과물(1,436)
사전(118)
- 계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국왕에게 중대한 일로 올리던 문서양식. [내용] 왕에게 올리는 문서로는 상소(上疏)‧차자(箚子)‧초기(草記)‧계본‧계목(啓目)‧장계(狀啓)‧서계(書啓) 등 다양한 양식이 있었다. 작은 일로 계할 때는 계목으로 하였고, 큰일로
- 계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신하가 정무(政務)에 관하여 국왕에게 상주(上奏)하는 문서. 啓本時恨未及見 然想必斟酌得宜 豈有輕率之理, 김익희(金益熙), 22-15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신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가 대리청정 할 때 세자에게 올리는 문서. [내용] 달본(達本)이라고도 한다. 그 서식은 왕에게 올리는 계본(啓本)과 같으며, 다만 계본에서 ‘계문(啓聞)’이라 한 것을 ‘신문(申聞)’으로 고쳐 쓰면 된다. 조선시대에...이칭별칭달본
- 계본(啓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본 계본 啓本 계목(啓目)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김현영 [정의] 2품 이상 아문 등에서 큰 일이 있을 때 왕에게 아뢰는 문서 양식. [내용] 조선시대 2품 이상 아...관련어계목(啓目)
- 보살계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살계와 관련한 책을 번역한 불교 율의서(律義書).정의보살계와 관련한 책을 번역한 불교 율의서(律義書).[두산백과] | 문광부표기Bosalgye bon | MR표기Posalgye p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143)
- 우의정 계본(啓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1850년 예조판서 박영원(朴永元) 계본(啓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1777년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정(鄭) 계본(啓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1777년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정(鄭) 계본(啓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1777년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정(鄭) 계본(啓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구술자료(1)
- 전쟁이 선물한 새로운 인생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끼가 왔다.”고. 서무계보고선 자동차운전도 못하니까 자동차운전학교 졸업장을 탔네.(웃음) 서무계본다고. 아 그러고 인제 또 거기서 인제 8년 나갔는데 보충대에서. 8년 나가는데. 내가 근무핸 구의동외 과 병원에서 운전수를 착출해가는거야. 거길 갔어요. 거길 가서 또조사지역강원 홍천 | 조사일2013년 3월 3일
기초학문(2)
- 무계본 〈진언집〉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주호, 게재일 : 200537362 안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언어학회 2005 무계본 〈진언집〉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중세기 일본한어의 경어성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규, 게재일 : 2007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0209&local_id=10012272 中世期 日本漢語의 敬語性에 관한 考察 -大系本『平家物語』와 天草本『平家物語』의 漢語 對照를 中心으로- https://www.krm.or.kr/krmts/s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03)
- 계본사기(戒本私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계본사기(戒本私記) 戒本私記 계본사기 유통서지 戒本私記 1 卅 小乘經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p.36...대표표제어계본사기(戒本私記) | 대표서명戒本私記 | 한글서명계본사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1 菩薩戒本疏 보살계본소 형태서지 梵綱經菩薩戒本䟽 [義寂] [新羅] [韓國] 筆寫本 [日本] 1384年(至德 1) 粘葉裝 ...대표표제어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1 | 대표서명菩薩戒本疏 | 한글서명보살계본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2 菩薩戒本疏 보살계본소 형태서지 義寂 述 新羅 韓國 京都 佐野伊兵衛 1684年(貞享 1) 3卷3冊 26.0×19.0 T...대표표제어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2 | 대표서명菩薩戒本疏 | 한글서명보살계본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3 菩薩戒本疏 보살계본소 형태서지 梵網經菩薩戒本疏卷第一 [義寂] [新羅] [韓國] [日本] 1262年(弘長 2) 粘葉 26....대표표제어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3 | 대표서명菩薩戒本疏 | 한글서명보살계본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4 菩薩戒本疏 보살계본소 형태서지 梵網經菩薩戒本疏卷第二 [義寂] [新羅] [韓國] [日本] 1260年(文應 1) 粘葉 26....대표표제어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 4 | 대표서명菩薩戒本疏 | 한글서명보살계본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60)
- 원 강의) - (현)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전공 시간강사 (대학원 및 학부 강의) - (현)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 - (현)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현 보직 연구위원) [저서] - (논문)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원 강의) - (현)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전공 시간강사 (대학원 및 학부 강의) - (현)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 - (현)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현 보직 연구위원) [저서] - (논문)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원 강의) - (현)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전공 시간강사 (대학원 및 학부 강의) - (현)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 - (현)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현 보직 연구위원) [저서] - (논문)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원 강의) - (현)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전공 시간강사 (대학원 및 학부 강의) - (현)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 - (현)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현 보직 연구위원) [저서] - (논문)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 원 강의) - (현)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전공 시간강사 (대학원 및 학부 강의) - (현)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연구원 - (현)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현 보직 연구위원) [저서] - (논문)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강좌제목의례로 만나는 불교Ⅰ | 강의자민순의
기타자료(9)
- 계본용현;季本溶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603 일본 大分 大分高等商業學校 大分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7年~昭和18年(제21년) 1943―01―04 134면 계본용현;季本溶鉉 조선학교소재지역大分 | 학교명大分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인식;崔仁植;계본계오;桂本啓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22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11면 최인식;崔仁植;계본계오;桂本啓吾 제1회 1926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宋 孝武帝가 고구려 장수왕에게 내린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려 장수왕 51)에 宋 孝武帝가 고구려 장수왕에게 내린 조서이다. 【원문】 (大明七年 詔曰) 使持節散騎常侍都督平營二州諸軍事征東大將軍高句驪王樂浪公璉 世事忠義 作藩海外 誠係本朝 志剪殘險 通譯沙表 克宣王猷 宜加褒進 以旌純節 可車騎大將軍·開府儀同三司 持節常侍都督王公如故...대표표제어宋 孝武帝가 고구려 장수왕에게 내린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발해왕에게 책서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고 온 천하가 은혜로워 특별한 이웃으로 격의가 없게 되었다. 옛날 高麗의 전성기 때에 그 왕 高武 高武: 고구려 제27대 榮留王(618~642 재위)을 가리킨다. 高武의 ‘武’를 新日本古典文學大系本 『續日本紀』와 名古屋市 蓬左文庫소장 金澤文庫本 『續日本紀』에는 ‘氏’로...대표표제어발해왕에게 책서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大興 36/唐 代宗 大曆 7/日本 光仁天皇 寶龜 3)
- 발해왕에게 책서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천하가 은혜로워 특별한 이웃으로 격의가 없게 되었다. 옛날 高麗의 전성기 때에 그 왕 高武 高武 : 고구려 제27대 榮留王(618~642 재위)을 가리킨다. 高武의 ‘武’를 新日本古典文學大系本 『續日本紀』와 名古屋市 蓬左文庫소장 金澤文庫本『續日本紀』에는 ‘氏’로 표기하...대표표제어발해왕에게 책서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36 大興 36/唐 大曆 7/日本 寶龜 3)
주제어사전(8)
-
계본 / 啓本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왕에게 아뢰는 문서. 대사를 아뢰는 문서를 계본(啓本)이라고 하고 소사를 아뢰는 문서는 계목(啓目)이라고 한다.
-
거영일기및계본등록 / 居營日記─啓本謄錄 [언론·출판/출판]
조선후기 무신 이운룡이 수군통제사로서의 업무 등을 기록한 일지.공무일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1980년에 지정된 142-1호는 『거영일기』 1책과 『계본등록』 2책이다. 『거영일기』는 이운룡 장군이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겸 삼도수군통제사로 부임한 1605년
-
주본 / 奏本 [정치·법제/외교]
중국의 천자(天子)에게 올리는 글. 긴요한 사건에 대한 상주서(上奏書)이다.『명회전』에 의하면 백성들이 조정에 올리는 글을 주본(奏本)이라 하였고 동궁에게 올리는 글을 계본(啓本)이라 하였는데 주·계본이 모두 세자(細子)를 쓰고 서식이 복잡하여 불편하다고 하여 제본
-
장응규 / 張應奎 [역사/조선시대사]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무신. 을묘왜변 중에 봉사 정윤과 함께 장수로서 강진에 파견, 휘하의 군사 2백여 명만 죽고 장응규 혼자 돌아왔다. 안악의 교생으로 있던 1556년(명종 11)에 수군 윤순을 고발하는 계본을 올렸는데, 의금부에서 이를 조사하는 중에 계본의 내
-
계목 / 啓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앙의 관부에서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양식. 중대한 일을 계(啓)할 때는 계본의 서식을 썼고, 작은 일을 계할 때는 계목을 사용하였다. 계목의 서식은 ≪경국대전≫·≪전율통보≫·≪백헌총요≫·≪추관지≫ 등에 조금씩 다르게 게재되어 있으나, 기본서식은 ≪경국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