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반령”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과 함께 산맥의 말단부에 있다. 정주-구성-삭주-청수를 연결하는 국도가 통하는 고개이다. 북쪽으로는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구곡천(九曲川), 남쪽으로는 대령강(大寧江) 상류의 지류가 발원하고, 고개에는 서간세(徐幹世)가 축성한 산성이 있다. ...
  • 삭주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8㎢, 인구 6만2536명(1943년 현재)이다. 1개 읍 7개 면 56개 동으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삭주면 동부동이다. [자연환경] 중앙부를 강남산맥이 동서로 횡단하며, (, 577m)을 경계로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으로 나누어진...
  • 태천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맥이 뻗어 있는 곳으로 덕림동에 이화산과 구봉산이 있다. 삭주에서 발원한 천(川)과 등구령천(等九嶺川)이 합류하여 형제천(兄弟川)을 이루어 면을 관류하며, 원탄(院灘)에 이르러 창성군에서 흘러오는 시채천(侍寨川)과 합류하여 북강을 이루며 강동면으로 흘러간다...
  • 박천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대표적인 산으로 봉린산(鳳麟山, 217m)‧청룡산(靑龍山, 323m)‧봉두산(鳳頭山, 394m)‧황계산(黃鷄山, 363m)‧목우산(牧牛山, 416m)‧칠악산(七嶽山, 365m) 등이 있다. 청천강이 남쪽 경계를 따라 흐르고, 삭주군의 ()에서 발...
    이칭별칭박주

고서·고문서(21)

  •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12권, 정조 5년 12월 17일 乙酉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정조 5년 12월 17일 乙酉(1781) 1781 義州 白頭山 劒殺峰 龍灣 劒殺峰 江界府...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項嶺 緩項 塞墻嶺 昌城府 昌洲 大吉號 臥別隅大窩板 從臥別隅大窩板 步里見子 林土 恃寒鎭 塞墻 界畔 巢億沙嶺 巢億涉 溫井嶺 朔州府 仇寧鎭...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緩項 塞墻嶺 昌城府 昌洲 大吉號 臥別隅大窩板 從臥別隅大窩板 步里見子 林土 恃寒鎭 塞墻 界畔 巢億沙嶺 巢億涉 溫井嶺 朔州府 仇寧鎭 關田...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項嶺 緩項 塞墻嶺 昌城府 昌洲 大吉號 臥別隅大窩板 從臥別隅大窩板 步里見子 林土 恃寒鎭 塞墻 界畔 巢億沙嶺 巢億涉 溫井嶺 朔州府 仇寧鎭...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項嶺 緩項 塞墻嶺 昌城府 昌洲 大吉號 臥別隅大窩板 從臥別隅大窩板 步里見子 林土 恃寒鎭 塞墻 界畔 巢億沙嶺 巢億涉 溫井嶺 朔州府 仇寧鎭...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1)

  • / [지리/자연지리]

    -청수를 연결하는 국도가 통하는 고개이다. 북쪽으로는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구곡천(九曲川), 남쪽으로는 대령강(大寧江) 상류의 지류가 발원하고, 고개에는 서간세(徐幹世)가 축성한 산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