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몽도설”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천의 근본을 밝혔다. 그 후 500여 년 뒤에 서명응은 『역학계몽』의 뜻을 더욱 알기 쉽도록 『』을 지은 것이다. 권1에 하도선모진체도(河圖旋毛眞體圖) 등 21편, 권2에 선천사도(先天四圖) 등 26편, 권3에 방위내외사정도(方位內外四正圖) 등 25편,...
  • 서명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전통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ㆍ『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ㆍ『()』등의 역서류,『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ㆍ『기사경회력(耆社慶會曆)』ㆍ『기자외기(箕子外紀)』ㆍ『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ㆍ『양한사명(兩漢詞命)』 등의...
    이칭별칭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 문정(文靖)
  • 존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주장한 안성유씨의 설을 반박하고, 좌선(左旋)이 옳음을 여러 선현들의 말을 인용하여 논증한 것이다. 「일원소장도후어(一元消長圖後語)」는 스승 장흥효(張興孝)의 「일원소장도」에 대하여 해석한 것이며, 「()」은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
  • 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호론적(湖論的) 입장을 엿볼 수 있다. 「학역천견(學易淺見)」은 총 53장의 전문적인 학술서이다. 삭주(朔州)와 영도(瀛島: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역학(易學)을 연구한 결과, 특히 『()』 중 의심나는 곳의 문제점을 들어 견해를 밝혔다. 주...
  • 서명응(徐命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利用厚生)을 추구하는 학문정신이 아들 서호수(徐浩修), 손자 서유구(徐有榘)로 이어져 가학(家學)의 전통을 세웠다. 저서로는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등의 역서류와,『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기사경회력(耆社...
    유형분류인물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

    조선시대에 서명응이 주희의 <역학계몽>을 그림으로 해설한 책. 1772년에 간행되었다. <역학계몽>은 주희가 주돈이와 소옹의 연구결과를 모아 지은 책으로 선천의 근본을 밝히고 있다. <>은 총 5권으로 권1에는 <하도선모진체도> 등 21편, 권2는 <선천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