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목” 에 대한 검색결과 7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1)

사전(10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중앙의 관부에서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양식. [내용] 중대한 일을 계(啓)할 때는 계본(啓本)의 서식을 썼고, 작은 일을 계할 때는 을 사용하였다. 의 서식은 ≪경국대전≫‧≪전율통보 典律通補≫‧≪백헌총요 百憲摠要≫‧≪추관...
  • TD_R1_D_0528 동물 黃稻 李奎報秋日 D_18_01_44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4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4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啓), 계본(啓本), 신목(申目), 장신(狀申)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조선 조선 문숙자 [정의] 조선시대 각 관서에서 승지를 통하여 왕에게 아뢰는 문서 형식...
    관련어계(啓), 계본(啓本), 신목(申目), 장신(狀申)
  • 신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대리청정(代理聽政)하는 세자에게 올리는 문서. [내용] 왕에게 올리는 ()에 해당되는 문서이다. 조선시대에 대리청정한 세자는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이 문서의 원본이 전래된 것은 찾아보기 어렵고, 세자 대리청정시대의 관찬사...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임금에게 올리는 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종이. 임금에게 올리는 서류인 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종이를 지라 부른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에 의하면 지는 한 권의 무게가 11냥 이상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己亥八月初九日甘結一都...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1)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 17. 手本 18. 箚子 19. 入對‧次對 20. 其他記事 21. 其他文書 大韓帝國篇 22. 任命文書

고서·고문서(665)

  • ()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정축년 ()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사헌부(司憲府)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刑曹가 올린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775 1540_01 刑曹가 올린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한자 고문서 HJ361.JPG 刑曹가 올린 刑曹 乙丑年 9월 44 196.2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刑曹가 올린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776 1540_02 刑曹가 올린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증빙류, 한자 고문서 HJ361-1.JPG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2)

  • 천석꾼 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산각에 나와 있던 청중들을 향해 지천리 부자에 대해서 묻자 제보자가 나서서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일시2009.06.19 | 조사장소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당동마을 129-1번지 당동마을회관 앞 유산각 | 제보자김순남(여, 89세)
  • 이 부자 되기까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짐계목 이야기가 끝나자 조사자가 어떻게 해서 부자가 되었는지를 묻자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일시2009.06.19 | 조사장소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당동마을 129-1번지 당동마을회관 앞 유산각 | 제보자김순남(여, 89세)

신문·잡지(5)

  • 혁명·완수 제이단표 민심수습과 경제건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혁명·완수 제이단표 민심수습과 경제건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1년 7월 8일 경향신문사 경향신문 기사/사설 2 이 글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으로 선출된 박정희 소장이 전국수사기...
    대표표제어혁명·완수 제이단계목표 민심수습과 경제건설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경향신문사 | 출처경향신문 | 키워드국가재건최고회의, 박정희, 혁명제2단계과업, 민심수습, 특별감찰단
  • 學照勳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유학들이 퇴학기로 동고 각쳐로 허여져 일향입학지 안이일에 야 열심으로 슈업기 권면 교쟝 승포병웅과 교유에 도변셩위 동산뎡오랑 방길 대산일부 츄뎐작낙 협뎐삼미 십촌득일 장뎐졍졍 등 졔씨의게 훈장을쥬어 그훈로 표라고 부에셔 일공의 공함...
    게재일1906년 1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10월 27일부 서울신문에 의하면 남조선 폭동군의 전투는 나날이 확대되고 있거니와 지난 26일 오전 7시 30분에서 동 8시 사이에 순천을 출발한 제652렬차는 구례 량역 중간지점에서 폭동군의 맹렬한 습격...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02_03 | 책임주필한효
  • 詔曰咨爾大小臣民은明聽朕誥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守치勿고考其天時고稽其人事야宇內萬國時措之義를適合케야中興鴻業을肇開케지니爾有衆은朕이안이면誰를事며朕이爾有衆이안이면誰를使리오爾有衆은定此國是고識此道理야更勿妄動고其各安業야今으로朝廷之上에便民利國之政을實行고閭巷之間에殖産興業敎育之事를硏究야我赤子로共躋文明之域...
    게재일1907년 7월 24일 | 기사분류관보
  • 6.25의 수난과 민족의 회오 김기석 19 아시아의 방위와 세적 이건혁 22 민족의 장래와 공백문제-교육과 공...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4

멀티미디어(1)

  •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장 초지조성사업지내 문화유적, 단양 매포 Eco-Valley(신소재농공단지) 조성예정부지 문화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장 초지조성사업지내 문화유적, 단양 매포 Eco-Valley(신소재농공단지) 조성예정부지 문화유적) h2-0023_#1 유구 비하동 B-1구역 토광묘 2013-
    제목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계목장 초지조성사업지내 문화유적, 단양 매포 Eco-Valley(신소재농공단지) 조성예정부지 문화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

  •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장 초지조성사업지내 문화유적, 단양 매포 Eco-Valley(신소재농공단지) 조성예정부지 문화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h2-0023 유구 2013-07-14_0.1890833_중원문화재연구원_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jpg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청주 비하동 계룡리슈빌 아파트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용인 청장 초지조성사업지내...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1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앙의 관부에서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양식. 중대한 일을 계(啓)할 때는 계본의 서식을 썼고, 작은 일을 계할 때는 을 사용하였다. 의 서식은 ≪경국대전≫·≪전율통보≫·≪백헌총요≫·≪추관지≫ 등에 조금씩 다르게 게재되어 있으나, 기본서식은 ≪경국대전≫

  • 계본 / 啓本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왕에게 아뢰는 문서. 대사를 아뢰는 문서를 계본(啓本)이라고 하고 소사를 아뢰는 문서는 ()이라고 한다.

  • 오계 / 五戒 [종교·철학/불교]

    불교 계율 중 가장 근본이 되는 다섯가지 . 오계는 ① 생명을 죽이지 말라, ② 주지 않는 것을 가지지 말라, ③ 사음하지 말라, ④ 진실되지 않은 거짓말을 하지 말라, ⑤ 술을 마시지 말라는 것이며, 신도오계는 사미오계의 ③의불사음계가 간음하지 말라로 바뀐 것

  • 달사 / 達辭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세자 혹은 왕세손이 섭정할 때 왕에 대하여 한 등급 낮추는 의미로 왕에게 올리는 계사(啓辭)를 지칭하는 용어. 계사를 달사로 하는 것 이외에 섭정시에는 계본(啓本)을 신본(申本)으로, 장계(狀啓)를 장달(狀達), ()을 신목(申目), 상소를 상서(

  • 계첩 / 戒牒 [종교·철학/불교]

    )·십중대계(十重大戒) 등의 ()을 열거하게 된다.그리고 갈마아사리(羯磨阿闍梨)·전계화상(傳戒和尙)·교수아사리(敎授阿闍梨) 등 3화상의 이름을 세 줄로 쓰고, 그 밑에 증계사(證戒師)의 이름을, 그 밑에 유나(維那)와 인례(引禮)의 이름을 나란히 쓴다.그리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