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룡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14)
- 계룡사(鷄龍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룡사 계룡사 鷄龍寺 선종(禪宗), 삼십육사(三十六寺) 갑사(甲寺), 계룡갑사(鷄龍岬寺), 갑사사(岬士寺)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화엄종(華嚴宗), 마곡사(麻谷寺) 문화종교/불교 개념용어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상위어선종(禪宗), 삼십육사(三十六寺) | 동의어갑사(甲寺), 계룡갑사(鷄龍岬寺), 갑사사(岬士寺) | 관련어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화엄종(華嚴宗), 마곡사(麻谷寺)
- 신령도덕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남리로 옮겨 계룡사(鷄龍寺)로 명칭을 바꾸고 1984년에 현위치인 대전시 문창동에 임시로 옮겨왔다. 신도수는 극히 적으며, 신앙의 대상은 천존상천능원님(天存上天能元任)‧계룡할머니‧예수그리스도‧미륵부처‧단군성조 등이고, 종교활동은 주로 강보살로 통하는 강순이의...
- 대한불교법상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월 8일의 성도절 행사가 있다. 종단기구로 집행기관인 총무원과 감사기관인 감찰원, 기타 참선원‧교육원‧연구원이 있으며, 대의기관(代議機關)으로 승려대회와 신도대회가 있다. 사회사업기관으로는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에 있는 불암보육원(佛巖保育園)이...이칭별칭대한불교법상종포교원|법상종
- 두계은농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바꾸어 고풍스러움이 없어졌다. 두계 은농재 계룡팔경 제8경. 충남 계룡시 두마면 두계리 소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두계 은농재 충남 논...연계항목두계은농재(豆溪隱農齋)
- 선교양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며, 양종에는 각각 18개의 사찰만을 공인하였다. 선종에는 흥천사(興天寺)ㆍ숭효사(崇孝寺)ㆍ연복사(演福寺)ㆍ관음굴(觀音窟)ㆍ승가사(僧伽寺)ㆍ개경사(開慶寺)ㆍ회암사(檜巖寺)ㆍ진관사(津寬寺)ㆍ계룡사(鷄龍寺)ㆍ단속사(斷俗寺)ㆍ기림사(祇林寺)ㆍ화엄사(華嚴寺)ㆍ흥룡사(興...
고서·고문서(37)
- 1965년 김형철(金炯喆) 천진교(天眞敎) 입교원서(入敎願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金德卿)이 '상제교'에서 '천진교'로 교명만 바꾼 것이다. 신앙 대상은 상제이며 한울님 또는 천주라고도 한다. 천진교 본부가 있던 충청남도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는 계룡시가 새로 생기면서 계룡시 남선면으로 되었다가 2009년에 계룡시 신도안면으로 다시...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65년 김귀원(金貴元) 천진교(天眞敎) 입교원서(入敎願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金德卿)이 '상제교'에서 '천진교'로 교명만 바꾼 것이다. 신앙 대상은 상제이며 한울님 또는 천주라고도 한다. 천진교 본부가 있던 충청남도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는 계룡시가 새로 생기면서 계룡시 남선면으로 되었다가 2009년에 계룡시 신도안면으로 다시...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34년 이창근(李昌根) 포장(褒狀)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청남도 계룡시 남선면이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상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52년 이승환(李承煥) 대종법회원첩(大宗法會員牒)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면 남선리는 현재 충청남도 계룡시 남선면이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허증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52년 김윤희(金允姬) 대종법회원첩(大宗法會員牒)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천교로 불렸으나 1925년에 교단본부를 계룡산 신도안으로 이전하고, 교명을 상제교(上帝敎)로 고쳤다. 상제교 대본원이 있던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는 현재 충청남도 계룡시 남선면이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구술자료(6)
- 충청남도 계룡시_방게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03 충남 충청남도 계룡시 충청남도 계룡시_방게 방게 방게가 논다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1999.7.9 素MD99-7-9 n.12~14 김일태 김일태(1933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출생. 남. 6.25사변 직후에 대전 서구 원정2동 이주) 이소라 이소라 방게녹음지역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 녹음날짜1999.7.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계룡시_방게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06 충남 충청남도 계룡시 충청남도 계룡시_방게 방게 방게가 논다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1999.7.9 素MD99-7-9 n.12~14 김일태 김일태(1933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출생. 남. 6.25사변 직후에 대전 서구 원정2동 이주) 이소라 이소라 방게녹음지역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 녹음날짜1999.7.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계룡시_상사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02 충남 충청남도 계룡시 충청남도 계룡시_상사 소리 상사 소리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1989.1.20 素89-1-20①B 민영식 민영식(190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농부가형 상사 류 멕받형식(선후창) 에헤 어이 여루 상녹음지역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 녹음날짜1989.1.20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계룡시_상사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05 충남 충청남도 계룡시 충청남도 계룡시_상사 소리 상사 소리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1989.1.20 素89-1-20①B 민영식 민영식(190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농부가형 상사 류 멕받형식(선후창) 에헤 어이 여루 상녹음지역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 녹음날짜1989.1.20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계룡시_1. 부여형 상사 2. 방아 류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01 충남 충청남도 계룡시 충청남도 계룡시_1. 부여형 상사 2. 방아 류 1. 부여형 상사 2. 방아 류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향한리 1989.1.20 素89-1-20①B 소경옥 소경옥(1905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녹음지역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향한리 | 녹음날짜1989.1.20 | 가창방식1. 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1)
- 계룡산 국사봉 주변마을의 송계(松契) 관행 -계룡시 향한리 송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성복, 게재일 : 200927522 강성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립민속박물관 2009 계룡산 국사봉 주변마을의 송계(松契) 관행 -계룡시 향한리 송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09
기타자료(1)
- 계룡 엄사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료정리:박태우,강태정/유구실측 및 사진촬영:강태정,강철규,김태훈,최효석/유구 및 유물 내용과 도면편집:강태정,김태훈,최원석,이영희/유물사진촬영:김태훈,이미경/유물실측:박순복/도면 전산화:최영민,김현희,박경심 백제문화재연구원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엄사리 418-...발행연도2009/09 | 발굴기관(주)파크레인하우징/백제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연구과제(1)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
-
계룡시 / 鷄龍市 [지리/인문지리]
행정구역으로는 3개 면 1개 행정동(1개 법정동) 56개 행정리(18개 법정리)이 있다. 시청은 충청남도 계룡시 금암동에 있다. 계룡시의 서부와 북부는 계룡산 줄기의 천황봉(845m)·황적봉(664m)·향적산(574m)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
계룡산 / 鷄龍山 [지리/자연지리]
차령산맥 중의 연봉으로서 충청남도 공주시·계룡시·논산시와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45m.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차령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어가다가 금강의 침식으로 허리가 잘리면서 분리되어 형성된 잔구이다. 지도상으로 대전·공주·논산을 연결하여 세모꼴을 그
-
논산시 / 論山市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계룡시 두마면, 대전광역시·금산군, 서쪽은 부여군, 남쪽은 전라북도 완주군·익산시, 북쪽은 공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59′∼127°20′, 북위 36°04′∼36°16′에 위치한다. 면적은 554.81㎢이고, 인구는 1
-
계룡산국립공원 / 鷄龍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대전광역시 유성구,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계룡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65.34㎢로, 1968년 12월 31일에 지리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경위도 상으로는 동경 127°10′40″∼127°17′58″, 북
-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 / 鷄龍山新都內柱礎石石材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에 있는 조선전기 제1대 태조가 신도읍지로 정했던 궁궐터.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 개국 초 궁궐 건축에 사용하기 위해 일부 다듬어 놓은 주초석이다.이 초석들이 있는 신도안이라는 명칭이 언제부터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