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룡산중악단”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신원사(新元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내용] 보물 제1293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건물. 현존건물은 1879년(고종 16)에 재건한 것이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5악(嶽...
    이칭별칭중악전(中嶽殿)|계룡단(鷄龍壇) | 연계항목계룡산중악단(鷄龍山中嶽壇)
  • 중사(中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사 중사 中祀 길례(吉禮) 상조음거서(上助音居西), 선농제(先農祭), 선잠제(先蠶祭), 소뢰(小牢) 경모궁(景慕宮), (), 관왕묘(關王廟), 문선왕(文宣王), 북형산성(北兄山城), 사독(四瀆), 사진(四鎭),
    상위어길례(吉禮) | 하위어상조음거서(上助音居西), 선농제(先農祭), 선잠제(先蠶祭), 소뢰(小牢) | 관련어경모궁(景慕宮), 계룡산중악단(鷄龍山中嶽壇), 관왕묘(關王廟), 문선왕(文宣王), 북형산성(北兄山城), 사독(四瀆), 사진(四鎭), 선농(先農), 선농단(先農壇), 선잠(先蠶), 속리악(俗離岳), 악해독(嶽海瀆), 역대 시조(歷代始祖), 오서악(烏西岳), 우사(雩祀), 적전(籍田), 진폐찬작관(進幣瓚爵官), 추심(推心), 풍운뇌우(風雲雷雨)
  • 공주시(충청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쌍탑(鷄龍山淸凉寺址雙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호), 청량사지 5층석탑(보물 1284), 청량사지 7층 석탑(보물 1285), 양화리에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호, 보물 1293호)‧신원사오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신원사괘불(충...
    이칭별칭웅진|웅천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신원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보물 제1293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건물. 현존건물은 1879년에 재건한 것이다. 1394년 처음 제사를 올린 뒤 1651년 이후 폐지되었다가, 1879년 명성황후가 재건하여 제사를 올리게 하

  • 공주 계룡산 중악단 / 公州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新元寺)에 있는 조선시대 계룡산 산신에게 제를 올리기 위해 건립된 산신각.단묘·제사터. 보물. 공주 계룡산 중악단(中嶽壇)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에 위치한 신원사 대웅전 뒤편에 자리잡은 산신각으로, 일명 중악전(中嶽殿) 또는 계룡단(鷄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