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룡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3)
사전(249)
- 계룡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상으로 대전‧공주‧논산을 연결하여 세모꼴을 그린다면 그 중심부에 자리 잡은 것이 계룡산이다. 이 산은 대전에서 서남쪽으로 25㎞ 지점에 있는 동학사 지구와 공주에서 동남쪽으로 19.6㎞ 지점에 있는 갑사 지구로 구분된다. 동경 12.7°7′∼12.7°19′,...
- 계룡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차령산맥 중의 연봉으로서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와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정의차령산맥 중의 연봉으로서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와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yeryongsan | MR표기Kyeryongs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계룡산기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계룡산 정상에 오르면 신도안과 주위 산천을 다 볼 수 있다.”고 하면서 계룡산에 오르기를 청하였다. 다음날 계룡산에 올라가니 산의 정기가 수려하고 마음의 모든 티끌을 씻어주는 듯하였다. 정상에는 암석이 많았고 주위가 한눈에 내려다보였다. 동학사의 암자들이...
- 계룡산국립공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계룡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개설] 계룡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64.683㎢로, 1968년 12월 31일에 지리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 국립공원...
- 계룡산신도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계룡산의 남쪽지역. [개설] 계룡산은 충청남도 대덕군‧공주시‧논산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26m의 국립공원이며, 신도안은 논산군에 속한다. 계룡산 주위에는 갑사(甲寺)‧동학사(東鶴寺) 등의 절이 있으며, ≪정감록 鄭鑑錄≫에서 주장하는 신...이칭별칭신도안
고서·고문서(149)
- 계룡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계룡산 정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县) 태양공사 3 2 계룡산, 떠나, 태백산, 거쳐, 리룡산, 편지, 받은후,...대표표제어계룡산 | 성씨정
- 계룡산(鷄龍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901 B020901 계룡산 鷄龍山 산악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公州 山水 月城山東五里舟尾山南五里艇止山西北五里鳳凰山西三里余美山西七里鷄龍山東南四十里盘據本州連山鎭岑三邑之界東西兩山自南抱野至北而合四山高障環圍野中平岡逶迤㜛麓秀板鎭岑之九峯山及寶文山聳峙於南氣像淸明田地肥沃局內少平地...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계룡산(鷄龍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902 B020902 계룡산 鷄龍山 산악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公州 山水 ... 仁川)爲省川過大田川爲艾川至寶文山北爲甲川至懷德西爲舡岩川入于錦江之新灘省川儒城東七里大田川一云官田川儒城東二十五里柳浦川儒城東二十里下爲省川銅川西二十里武城山角屹峙及定山大朴山之水會而東南流徑維鳩驛古新...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계룡산(鷄龍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903 B020903 계룡산 鷄龍山 산악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公州 山水 ... 流徑維鳩驛古新豐入于錦江日新川北十里車岭雙岭之水會而南流徑廣程弓院日新入于錦江豆磨川東四十里出鷄龍山南流徑連山鎭岑北流入錦江瓦灘瓦灘東四十里文義新灘下流箭灘雙樹山城之陰加德灘箭灘之下右三處旱則徒涉半灘西南...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계룡산(鷄龍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904 B020904 계룡산 鷄龍山 산악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公州 壇壝 鷄龍山壇新羅以西岳載中祀高麗以南岳載中祀 本朝以名山載小祀熊津壇新羅以西瀆載中祀高麗及本朝俱以南瀆載中祀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8)
- 계룡산 호랑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둔갑설화가 청자들의 흥미를 끌자 이어서 해 준 이야기다. 처음에는 노래만 좋아하는 줄 알았는데 이야기도 좋아할 뿐만 아니라 재담도 있어 조사자가 큰 관심을 보이고 만족해 했더니 흔쾌히 해 주었다.*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 제보자정정순
- 계룡산 장기판 만댕이와 앵산 장수 발자욱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용둠벙골의 유래’가 끝나고 곧 이어서 이야기한 것인데, 이 일대에서는 널리 유포된 이야기인 것 같았다. 그러나 제보자만큼 정확히 아는 이는 드문 것으로 보였다.*조사일시1979-08-0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연초면 | 제보자윤종인
- 정씨 임금이 나온다는 계룡산의 팔유대사 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조사자가 승려와 관련된 설화를 예로 들자 제보자가 다음을 구연하였다. 녹음한 앞부분이 약간 훼손되었다.조사일시2011년 2월 10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강진면 부흥리 519번지 이목 마을회관 | 제보자이정인
- 충청남도 논산시_쌈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이소라 입말형 논매기 멕받형식(선후창) “아 - 아 헤아” 또는 “아 - 아 아 - 아 에 - 아 - 아” 계룡산 [명]기를 듬뿍 받어서허, 국사봉 - 명기가 뚝 떨어 졌네 주요구성음: 솔(라)도레미솔‘(라’) 솔,도. 레를 퇴성(t1,4. t5g). 솔도미녹음지역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 | 녹음날짜2002.9.23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사천 음악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오오). 가사(천년집을 하직하고 만년집으로 돌아간다/~) 6) 지경다지는소리(창자미상): 선후창. 후렴구(에헤 지신이야) 7) 곡명미상(창자미상): 독창. 가사(저산이 계룡산이 아니나/~) pdf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용현
기초학문(1)
- 계룡산 국사봉 주변마을의 송계(松契) 관행 -계룡시 향한리 송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성복, 게재일 : 200927522 강성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립민속박물관 2009 계룡산 국사봉 주변마을의 송계(松契) 관행 -계룡시 향한리 송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35)
- 鷄龍山の溪谷 (계룡산의 계곡)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鷄龍山の溪谷 | 게재일19221025 | 게재판무 | 게재면03 | 게재단1-2
- 退修學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소위경향 림 리범욱씨등이 부에 쳥원 기를 공쥬 계룡산 후곡에 잇 동학숭모뎐에 향 단죠이하 렬위즁신 손에게 훈칙야 그 퇴비 곳을 즁슈고 구례를 의야 일쳬 향케라 얏 현금 졍무가 다단야 일의 완급이 잇스니 물너가 학업이나 닥그라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_1937_26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賀田直治 5 旅金剛山の感想 荒木十畝 11 茂山行き 池田林儀 14 德物山と鷄龍山 秋...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6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光海君 10) 1冊 29.5x18.5 刊記: 萬曆四十六年戊午(1618)七月日洪公道公州地鷄龍山栗寺開板 H4, p.740.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귀608 1/1 無 고서해제7(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p.385.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60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9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1618年(光海君 10) 1冊 卷末 刊記: 萬曆四十六年戊午(1618)七月日洪公道公州地鷄龍山栗寺開板 H4, p.740. 경남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無 合綴: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禪源諸詮集都序 下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경상...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95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
- 계룡산 도자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c4-0170_#1 유구 도면1.유구 배치도(좌부터 5호, 7호, 8호 가마) c4-0170_1_2015-05-03_1301_도면1.유구 배치도(좌부터 5호, 7호, 8호 가마).jpg c4-0170_#2제목계룡산 도자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0)
- 계룡산 도자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c4-0170 유구 c4-0170_1_2015-05-03_7815_계룡산 도자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표지.jpg 계룡산 도자기-공주 학봉리 도요지 2008 국립중앙박물관 435 김영원, 이애령, 강경남, 조진석, 이희덕, 정재학 김영...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국립중앙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시조) 계룡산 겨울 등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조) 계룡산 겨울 등반 (시조) 계룡산 겨울 등반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엄영섭 | 사료철명부산교육
- 통영미륵산봉수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합쳐서 조령을 넘고 동래의 다대포 응봉에서 죽령을 넘어 올라오는 직봉과 충주 마산에서 만나게 되어 서울 목멱산 동쪽에서 2번째 거에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영남 연변의 봉수로에 속하였다. 그리고 미륵산봉수는 동으로 거제의 계룡산봉수에 응하고 북으로 우산봉수에 응하며 우산봉...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통영시/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중부고속도로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청원 괴정리유적 발굴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고려석실분 2기이다. 제1지구에서는 당집으로 추정되는 위치에서 고려토기조각, 기와조각, 불탄돌들이 나왔다. 제2지구에서는 9기의 조선시대 초기의 무덤이 발굴 조사되었으며, 출토유물은 관못, 백자조각, 유리구슬, 분청사기 조각 등인데 분청사기는 계룡산분청계통이다....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한국토지공사 | 발굴지역충청북도
-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건설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Ⅱ)- 공주 화정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28-1번지와 전 28-2번지 일대 충청남도 공주시 4,000㎡ 화정리유적은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건설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중 18지구에 해당된다. 조사지역은 차령산맥과 계룡산지 사이에 북동-남서방향으로 발달한 낮은 잔구성 산지 중 남동방향으로...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32)
-
계룡산 / 鷄龍山 [지리/자연지리]
린다면 그 중심부에 자리 잡은 것이 계룡산이다. 이 산은 대전에서 서남쪽으로 25㎞ 지점에 있는 동학사 지구와 공주에서 동남쪽으로 19.6㎞ 지점에 있는 갑사 지구로 구분된다. 동경 12.7°7′∼12.7°19′, 북위 36°16′∼36°28′에 있으며, 총 면적은 6
-
계룡산기행 / 鷄龍山記行 [문학/한문학]
1731년(영조 7) 남하정(南夏正)이 지은 기행문. 작자의 문집인 『동소유고(桐巢遺稿)』 권4에 수록되어 있다. 「계룡산기행」은 1731년 겨울에 쓴 것으로, 문장이 간결하고 아름다우며 기행문으로서의 요건을 잘 갖추고 있다. 유려한 시적 표현으로 묘사한 주위 경관은
-
계룡산국립공원 / 鷄龍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대전광역시 유성구,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계룡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65.34㎢로, 1968년 12월 31일에 지리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경위도 상으로는 동경 127°10′40″∼127°17′58″, 북
-
계룡산신도안 / 鷄龍山新都안 [지리/자연지리]
종교적 성지로 여겨지고 있는 계룡산 남쪽 지역. <정감록>에서 주장하는 신도읍지로 유명하다. 이 지역은 신도안의 장터를 중심으로 하여 서북쪽 일대를 대궐터라고 부르는데, 여기에서 동쪽으로 제자봉이 있고 그 밑의 지역 일대를 동대궐, 신도초등학교가 있던 서북쪽 일대를
-
계룡산중악단 / 鷄龍山中嶽壇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신원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보물 제1293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건물. 현존건물은 1879년에 재건한 것이다. 1394년 처음 제사를 올린 뒤 1651년 이후 폐지되었다가, 1879년 명성황후가 재건하여 제사를 올리게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