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녀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2)
- 계녀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시집가는 딸에게 시집살이의 규범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가사. [내용] 규방가사(閨房歌辭) 혹은 내방가사(內房歌辭)의 한 갈래로 규방가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계녀가사는 작품 전개에 있어서 독특한 유형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목도이칭별칭계녀가
- 사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1921년에 실명의 작자가 출가한 딸에게 지어준 친정아버지의 계녀가사이다. 2율각 1구의 336구로, 4‧4조가 주조이다. [내용 및 평가] 이 작품은 권영철(權寧徹)이...이칭별칭사친곡
- 훈민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계녀가사(誡女歌辭)의 전형성을 보이는 작품으로 전국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다. 출가한 부녀자가 시집살이를 하면서 지켜야 할 덕목을 교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율격은 4음 4보격으로 가사...
- 복선화음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김한림(金翰林)의 종손부인 이씨부인이 지은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시집가는 딸에게 계훈(戒訓)으로 준 계녀가사(戒女歌辭)의 일종이다. 4음보 1행으로 계산하여 전체 258구이며, 2음보로 계산하면 전체 500구이다. 3...
- 경부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경부록(警婦錄)’이라고도 한다. 일반 부녀자를 대상으로 평소의 훈계와 교육을 목적으로 한 전형적인 계녀가사의 하나이다. 모두 2음보 1구로 헤아려 500여 구로 되어 있다. [내용]...이칭별칭경부록
주제어사전(6)
-
계녀가사 / 誡女歌辭 [문학/고전시가]
시집가는 딸에게 시집살이의 규범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가사. 규방가사 또는 내방가사의 한 갈래로 규방가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계녀가사는 작품 전개에 있어서 독특한 유형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복선화음가 / 福善禍淫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김한림(金翰林)의 종손부인 이씨부인이 지은 규방가사. 시집가는 딸에게 계훈(戒訓)으로 준 계녀가사(戒女歌辭)의 일종이다. 4음보 1행으로 계산하여 전체 258구이며, 2음보로 계산하면 전체 500구이다. 3음보로 계산되는 곳도 몇 군데 있다. 형식은 3·
-
훈민가 / 訓民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계녀가사(誡女歌辭)의 전형성을 보이는 작품으로 전국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다. 출가한 부녀자가 시집살이를 하면서 지켜야 할 덕목을 교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내용은 서두 부분에는 본문에서 제시할 교훈을 총괄적으로 환기(喚起)하고 있으며, 이
-
용부가 / 庸婦歌 [문학/고전시가]
녀가사(誡女歌辭)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나타나 있다. 주제를 드러내는 방법에 있어 계녀가사는 사대부가의 부녀자가 지켜야 할 규범을 『소학』 또는 『주자가훈 朱子家訓』에 입각해서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열거해 교훈을 직서적(直敍的)으로 제시한다. 이에 반해서, 이 작품은 실
-
계녀일언 / 戒女一言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어머니가 시집가는 딸에게 지어준 것으로, 계녀가사의 하나이다. 모두 2음보 1구로 150여구이다. 17년 동안 딸을 고이 길러 이제야 명문성족에 군자호구로 짝을 지어 보내게 되었음을 노래하고, 무엇보다 친정부모 욕되게 하지 말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