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계궁” 에 대한 검색결과 1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4)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과 같은 특정 관직을 거치거나 과거급제 또는 왕의 특명이 없는 한 진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에 있는 자는 자기의 진급 몫을 아들이나 손자‧조카‧동생‧사위 등에게 주어서 대신 진급시킬 수 있었는데, 이를 대가(代加)라 불렀다. 이 대가제에 따라 기성관료들은...
    이칭별칭자궁(資窮)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궁(資窮), 대가(代加), 자(者), 당하관(堂下官), 통훈대부(通訓大夫), 어모장군(禦侮將軍) 정치인사/관리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당하 최고의 품...
    관련어자궁(資窮), 대가(代加), 계궁자(階窮者), 당하관(堂下官), 통훈대부(通訓大夫), 어모장군(禦侮將軍)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事)에 연루되었으나 곧 풀려나 지돈녕부사가 되었다. 1424년 좌군총제(左軍摠制)로 절일사(節日使)가 되어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27년 효령대군(孝寧大君)의 기첩(妓妾) 선(仙)과 간통하여 직첩을 박탈, 공주로 유배되고, 이듬해 석방...
  • TD_H1_D_0206 坑塹 전쟁 蒙兵, 樹柵, 知州, 赴火死, 按察, , 力盡, 城中錢穀, 壞柵, 屠其城 春州 曹孝立, 朴天器 列傳 D_17_07_09 대동운부군옥 17권 7장 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7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포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巷 與病爲隣 萬事都廢 先伯氏.筵尙未.哭 此其一證也, 유상기(柳相基), 37-10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08)

  •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30282 B030282 궁삭 弓槊 경제산업 成宗實錄 二十一年(1490) 五月 성종실록_12105027_002 ○御經筵。 講訖, 特進官李克墩啓曰: “今命遣弓匠于兩界, 又送弓槊木及筯。 臣意兩匠, 本不乏, 遣之徒費國廩, 請勿遣。 弓槊 ...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283 B030283 궁삭 弓槊 경제산업 成宗實錄 二十一年(1490) 五月 성종실록_12105027_002 ○御經筵。 講訖, 特進官李克墩啓曰: “今命遣弓匠于兩界, 又送弓槊木及筯。 臣意兩匠, 本不乏, 遣之徒費國廩, 請勿遣。 弓槊木, 兩界本多有之。 牛馬筯, 則無處...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不無侵責之弊, 京衙門家差大, 又多橫侵, 本館則將至於不得收稅之境, 誠爲可慮。 令備局申飭, 使之勿侵, 宜矣。 上曰, 此則不過報備局之事, 而至於陳達榻前, 大司成推考, 可也。 出擧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81 B00738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5年 4月 17日_027 ... n 江都移轉事, 着令廟堂, 從速覆啓。 仍念臣之衰朽無能, 不堪職事, 値此無前大歉之歲, 凡係賙賑之政, 旣不能先事區劃, 仰體聖上眷諭之至意, 至於蒭牧之求, 而亦不以時。 事急之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8)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 원산 李 - 榮町 - - 고물,남루상(襤褸商) -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季宮(-)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고물,남루상(襤褸商)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が美術史御硏究の為に京畿へ御旅行 (야마시나 노미야가 미술사연구를 위해 경기로 여행)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武彦王(1898-1947)로 추정
    기사명_원문山階宮が美術史御硏究の為に京畿へ御旅行 | 기사명_한글야마시나 노미야가 미술사연구를 위해 경기로 여행 | 게재일19240710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1-2
  • 叅賀來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년월 칭경례식시에 각국신이 다 나올터인 일본셔는 교졔상 친목의로 일황폐하오셔 특별히 황족즁 산(山菊麿王) 뎐하를 파송야 경연에 참여케기로 작뎡이 되얏는 산뎐하의 계급은 훈일등 공오급이더라
    게재일1903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목포인민원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장비주어이장니그곳에집을지어슈년이후졈졈늘어 남교쥭동만복동이 례로동리될졔 즘울이갓흐나마 슈호가즐비다 안도낙업오년후에 밧부셔 결셰젼간오푼 셩속혀셰랍터니 (미완)
    게재일1906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稅關檢査事務打合會 152 山藤麿王殿下御渡鮮 152 朝鮮土地調査事業記念碑建設 15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기타자료(2)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고 당이 고구려에 상리현장(相里玄獎)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國矣 太宗將親伐高麗 詔新羅纂集士馬 應接大軍 新羅遣大臣領兵五萬人 入高麗南界 攻水口城 降之 (󰡔舊唐書󰡕 199 上 列傳 東夷 新羅) 【원문】 會新羅遣使者上書言 高麗百濟聯和 將見討 謹歸命天子 帝問 若何而免 使者曰 矣 惟陛下哀憐 帝曰 我以偏兵率契丹·靺鞨入遼東 而國可...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고 당이 고구려에 상리현장(相里玄獎)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3년(癸卯/신라 선덕왕 12 仁平 10/고구려 보장왕 2/백제 義慈王3/唐 貞觀 17/倭 皇極 2)
  • 당나라가 상리현장을 보내 신라를 공격하면 정벌할 것임을 협박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원문】 會新羅遣使者上書言 高麗·百濟聯和 將見討 謹歸命天子 帝問 若何而免 使者曰 矣 惟陛下哀憐 帝曰 我以偏兵率契丹·靺鞨入遼東 而國可紓一歲 一策也 我以絳袍丹幟數千賜而國 至 建以陣 二國見 謂我師至 必走 二策也 百濟恃海 不脩戎械 我以舟師數萬襲之 而國女君 故爲鄰侮 我以宗室...
    대표표제어당나라가 상리현장을 보내 신라를 공격하면 정벌할 것임을 협박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3년(癸卯/신라 선덕왕 12 仁平 10/고구려 보장왕 2/백제 의자왕 3/唐 貞觀 17/倭 皇極 2)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하계 문·무관의 품계.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 최고위계이다. 동반은 통훈대부, 서반은 어모장군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