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경효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
사전(62)
- 경효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慶殿)이었는데, 경효전으로 개칭하였다. 1897년 홍릉(洪陵)에 안장되고, 1921년 고종의 신주와 함께 종묘에 부묘(祔廟)될 때까지 여기서 상례‧제례의 모든 의식이 행하여졌다. 1908년 11월 잠시 중화전(中和殿)으로 옮겨지기도 하였다.
- 경효전(景孝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경효전 경효전 景孝殿 경소전(景昭殿) 을미사변(乙未事變), 덕홍전(德弘殿),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 정치외교/외교사안|왕실/왕실의례|왕실/왕실의례/흉례|왕실/왕실구성원|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건축 대한민국동의어경소전(景昭殿) | 관련어을미사변(乙未事變), 덕홍전(德弘殿),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
- 경효전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종실록(高宗實錄)』 『경효전의궤(景孝殿儀軌)』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明成皇后殯殿魂殿都監儀軌)』 ...
- 김종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체류에 대해 환어할 것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 해 연말 중추원 1등의관을 1898년 시강원(侍講院) 첨사(詹事)를 거쳐, 궁내부특진관, 경효전제조(景孝殿提調)를 지낸 뒤 1903년 경상북도관찰사가 되었다. 『고종실록(高宗實錄...이칭별칭 성문(聖文)| 독산(獨山)
- 윤상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며, 같은 달 다시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되었다. 1902년 장례원소경이 되고 다시 궁내부특진관을 거쳐 그해 8월 경효전제조(景孝殿提調)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를 역임하고 재차 경효전제조가 되었다가 같은해 11월 사직서제조에 임명되...
고서·고문서(25)
- 경효전일기(慶孝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일기는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가 승하(昇遐)한 1895년(고종 32) 8월 20일부터 삼주제(三周祭)를 지낸 1898년(광무 2) 8월 20일까지 설행(設行)된 각종 의례 절차를 기록한 혼전일기(魂殿日記)로 각종 제례의 과정, 관원의 임명, 각종 문...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효전의궤(景孝殿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성황후(明成皇后) 민씨의 사당인 경효전에서 제사 때 사용하는 축식이다. 춘향, 하향, 추향, 동향, 납향, 정조, 청명, 단오, 추석, 동지, 세모(歲暮), 삭제, 망제 등 모든 제향의 축식을 정리해 놓았다. 이외에 홍릉(명성황후 민씨의 능)에서의 제사도 경효전과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효전의궤(景孝殿儀軌)(1)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성황후(明成皇后) 민씨의 사당인 경효전에서 제사 때 사용하는 축식이다. 사계절 대제 때의 축식이며, 고유제는 ‘근(謹)’ 이하가 같다. 이외에 홍릉(명성황후 민씨의 능) 기신제와 청명제 때의 축식과 의효전(순명황후 민씨의 사당) 사향 대제 때의 축식, 유릉(순명황후...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기해년 경효전홍릉선자반사 발기(景孝殿洪陵扇子頒賜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경효전홍릉선자반사 발기(景孝殿洪陵扇子頒賜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신문·잡지(16)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命奎章閣學士 景孝殿提調金聲根 命 景孝殿提調 從一品金奎弘 兼任掌禮 秘書丞申性均 温陵叅奉金相필 淑陵叅奉李羲命依願免本官 電話課主事南廷七任温陵叅奉 任淑陵叅奉李康年以上十一月廿日게재일1904년 11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命太醫院都提調 特進官趙秉世 依願免本官 惠陵叅奉李興柱 任惠陵叅奉 六品李天應 任電話課主事 章陵叅奉南廷七 任章陵叅奉沈永燮以上十一月十九日 命特進官 景孝殿提調趙鍾弼 命景孝殿提調 弘文館學士金鶴鎭以上十一月廿日게재일1904년 11월 23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經理院技師侍從△聲遠 任侍從經理院技師李鏡浩以上十月十三日 景孝殿令金鼎鎭仁川監理署主事李宰榮依願免本官 奉常副提調趙漢元農商工部叅書官朴煕陽解兼任掌禮 任景孝殿令 祀丞金商冕 任祀丞 仁陵叅奉李相七 任仁陵叅奉六品金憙鎭 任仁川監理署主事前敎官鄭元朝以上十月十八日게재일1905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度支主事 昌陵叅奉李載根十一月十二日 農商工部商工局長朴奎秉任法部叅書官十一月四日 徐廷寬李海明任懿孝殿叅奉 李始鎔李彰遠尹起駿白南善任懿孝殿忠義 李海晶金容基任園所叅奉 任園所忠義柳면以上十一月十日 命特進官 景孝殿提調李乾夏 命景孝殿提調 太醫院卿閔泳奎 命太醫院卿特進官朴容大 依願免兼任侍...게재일1904년 11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景孝殿祀丞黃彦性 度支部書記郞최崙源 同金永耉 同安鍾哲 度支部技手安耆英 依願免本官 任景孝殿祀丞 義親王府典衛金泰鎭 任義親王府典衛 九品黃彦性 任度支部書記郞 九品金永耉 六品崔崙源 九品安鍾哲 任度支部書記郞 任度支部建築所主事 六品최承七 任度支部書記郞尹釆夏 以上八月九日 依願免本官...게재일1907년 8월 15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2)
-
경효전 / 景孝殿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명성황후 민씨의 신주를 봉안한 혼전(魂殿: 喪廳). 명성황후가 1895년 을미사변으로 시해당하자 그 해 10월 복위되어 국장을 치르면서 설치되었다. 장소는 경운궁 문경전이었는데, 경효전으로 개칭하였다. 1897년 홍릉에 안장되고, 1921년 고종의 신주와
-
경효전일기 / 景孝殿日記 [역사/근대사]
1895년 8월 20일부터 1898년 10월 20일까지 명성황후 민씨의 혼전(魂殿)행사를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1권 1책. 필사본. 1895년 8월 20일부터 1898년 10월 20일까지 3년간의 모든 의례행사를 기록한 일기이다. 편자는 미상이나 경효전의 실무담당관
-
경효전신주개제주의 / 景孝殿神主改題主儀 [정치·법제]
명성황후의 혼전인 경효전에서 신주의 앞면에 적힌 내용을 고칠 때의 의식절차를 기록한 문서. 《순종실록부록》을 살펴보면, 1921년 3월 9일에 경효전에 휘호와 책보를 올릴 때 휘호를 추상하여 "재휘열목"으로 올렸다.
-
경효전추상휘호옥책문 / 景孝殿追上徽號玉冊文 [정치·법제]
고종의 왕비이자 순종의 모후인 명성황후 여흥민씨에게 추상할 휘호를 의정한 데 뒤이어 1921년 3월 9일에 올린 옥보의 보문. 이 보문이 누구의 글씨인지는 미상이다.《순종실록》에 의하면, 옥보의 전문 서사관은 민영휘(閔泳徽)이며, 옥보를 올린 날짜는 1921년 3월 9
-
경효전홍릉관원별단 / 景孝殿洪陵官員別單 [정치·법제]
경효전과 홍릉의 관원과 원역 별단. 경효전과 홍릉은 명성황후 민씨의 신주를 봉안한 혼전과 능으로 이 문서에 기록된 직제는 경효전과 홍릉의 관리를 위해 설치된 인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