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경헌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3)
- 경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진(地震)」도 있다. 경헌유고 경헌유고 조선 말기의 학자 강복선의 시문집. 규장각도서.
- 고산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장복겸(張復謙)이 지은 시조. [개설] 모두 10수로 된 연시조이다. 1871년(고종 8)에 간행된 작자의 문집 『옥경헌유고(玉鏡軒遺稿)』 권3에 ‘가사(歌詞)’라고 하여 수록되어 있다. 장복겸은 전라북도 남원 출신으...
- 장복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아 당시에 실제로 아이들에게 가르쳐 노래로 부르게 했음을 알 수 있다. [저서] 연시조 「고산별곡」 외에도 300여 수의 한시와, 10여 편의 글을 남겼다. 저서로는 그의 이러한 글들을 모은 『옥경헌유고』 4권 2책이 있다.이칭별칭 익재(益哉)| 옥경헌(玉鏡軒)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1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敬菴集 鏡巖集 絅齋集 敬軒遺稿 戒懼菴集 溪堂集 溪堂草稿 古溪集 古今堂集
고서·고문서(1)
- 경헌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卷一 詩 遊必東川歸路逢人共賦-癸酉-, 驟雨, 暮日登園, 敬和隴雲李丈韻, 謹步復齋族兄鋤田韻, 月溪賦詩訪竹館, 次諸丱登臨韻, 登飛鳳山尋將軍岩, 柳枝吟, 呈復齋族兄, 陽復日呈晦谷, 梅花吟, 雪中樹, 戱吟朴玄石-二首-, 又, 勖丁姪奎聲, 與洪厓堂-祐甲-共賦-戊寅-, 飛鳳山...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경헌유고 / 敬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강복선의 시문집. 6권 3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맨 끝에 1894년(고종 31) 강복선의 족형인 강건선이 지은 행장이 있어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권1∼3에 시 103수, 서 104편, 권4∼6에 서 4편, 기 14편, 발 2편, 잠
-
고산별곡 / 孤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장복겸(張復謙)이 지은 시조. 모두 10수로 된 연시조이다. 1871년(고종 8)에 간행된 작자의 문집 『옥경헌유고(玉鏡軒遺稿)』 권3에 ‘가사(歌詞)’라고 하여 수록되어 있다. 장복겸은 전라북도 남원 출신으로 호는 옥경헌(玉鏡軒), 자는 익재(益哉)이다
-
장복겸 / 張復謙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옥경헌유고』를 저술한 문인. 할아버지는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장개세(張蓋世)이고,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장담(張膽)이다. 54세 때인 1670년(현종 11)에는 흉년이 들어 민생이 어려워지자 조정에 「구페소(救弊疏)」를 올렸다. 상소를 통해 환상(還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