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판각”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경서의 판본을 수집, 보관하던 곳. [내용] 1782년(정조 6) 규장각의 외각(外閣)인 교서관(校書館) 안에 을 새로 짓고 새로 제작한 목판과 그 이전부터 교서관에서 보관해오던 주자(鑄字) 등을 10여년에
  • 상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송(口誦)으로 과거에 이룩했던 80권본을 다시 판각하게 하였으며, 영각사(靈覺寺)에 ()을 짓고 봉안하였다. 노년에는 매일 만 편씩 염불하기를 10여년 동안 계속하였고, 1790년 12월 병세를 보이다가 이듬해 1월 3일 앉아서 입적하였다. 나이 8...
    이칭별칭 설파(雪坡)
  • 이거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이에 염라대왕은 명부에서 이거인의 이름을 없앤 뒤 돌려보냈다. 돌아오는 길에 세 눈을 가진 왕을 찾으니, 돌아가서 책을 매어 ‘장공덕문(藏功德文)’이라 쓰고 관청에서 도장을 받아두도록 하였다. 그가 승낙하고 물러나면서 기지개를 하고 깨어나니 한바...
  •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단정할 수 없다. 또한, 고려 고종 때의 대장이 있었기 때문에 이 경전의 고려시대 복각(覆刻)의 가능성도 희박하나 고려시대 판본의 격을 갖추고 있으므로, 간행 시기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로 추정된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연계항목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
  • 단속사(斷俗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전한다. 또한 1489년(성종 20) 김일손의 「속두류록(續頭流錄) 」에는 최치원(崔致遠)이 남겼다고 전하는 광제암문(廣濟巖門)을 비롯하여 대감국사비, 신행선사비가 있음을 전하고 있고, 장(藏), 치원당(致遠堂), 500구의 석불 등도 절에 남아 있었다고...
    상위어선종(禪宗), 삼십육사(三十六寺) | 관련어최치원(崔致遠), 신행선사비(神行禪師碑), 대감국사비(大鑑國師碑), 진각국사혜심(眞覺國師慧諶), 대감국사탄연(大鑑國師坦然), 진명국사혼원(眞明國師混元), 원오국사천영(圓悟國師 天英), 만종(萬宗),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 한창려문집(韓昌黎文集),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강회백(姜淮伯), 수선사(修禪社), 삼가귀감(三家龜鑑), 사명유정(四溟惟政)

고서·고문서(1)

  • 3596 P-SDK-03596-P-M-06-02 P-SDK-03596-P-M-06-02-1 P-SDK-03596-P-M-06-02-2 조선의 가야산 해인사 朝鮮の伽耶山海印寺, 其一外景 남만 북지 조선 여행 기념 봉투 있음. 6매
    자료명조선의 가야산 해인사 경판각 | 발행처中村久四郞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타자료(1)

  • 남해 관당성지(추정 고려국분사남해대장도감유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들고 있다. 분사대장도감의 실무 기구로서는 관사나 사찰 등을 이용하였을 것이다. 합천 해인사 아래의 하거사(下鉅寺)와 산천 단속사 밖의 장(藏)을 그러한 곳으로 예시하였다. 예시된 자료는 사찰이거나 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다. 이러한 관점이 남해에서의...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조선 후기 경서의 판본을 수집, 보관하던 곳. 1782년(정조 6) 규장각의 외각인 교서관 안에 을 새로 짓고 새로 제작한 목판과 그 이전부터 교서관에서 보관해오던 주자(鑄字) 등을 10여년에 걸쳐 이곳에 옮겨 점진적으로 보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