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종” 에 대한 검색결과 4,1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24)

사전(1,78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955년(광종 6)∼981년( 6). 고려 제5대 왕. [개설] 재위 975년∼981년. 이름은 유(先), 자는 장민(長民). 광종(光宗)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대목왕후황보씨(大穆王后皇甫氏)이다. 아들로는 헌애왕후(獻哀王后)가 낳은 목...
    이칭별칭 장민(長民)| 헌화(獻和)|이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8(숙종 14)∼1724( 4). 조선 제20대 왕. [개설] 재위 1720∼1724.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윤(昀), 자는 휘서(輝瑞). 숙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희빈 장씨(禧嬪張氏)이다. 비(妃)는 심호(沈浩)의
    이칭별칭 휘서(輝瑞)
  • TD_L14_D_1152 인물 專任權豪, 政體 崔承老時務書 D_05_04_01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7_D_0520 남자 不好嬉遊, 厭倦, 萬幾, 娛樂, 政敎, 衰替 麗史 D_08_01_33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3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건경법(乾耕法), 삽종법(揷種法), 수경법(水耕法), 이앙법(移秧法), 직파법(直播法) 농경(農耕), 농법(農法), 농업(農業), 수전(水田), 연작상경(連作常耕), 한전(旱田) 경제산업/농업 의식 행사 대...
    하위어건경법(乾耕法), 삽종법(揷種法), 수경법(水耕法), 이앙법(移秧法), 직파법(直播法) | 관련어농경(農耕), 농법(農法), 농업(農業), 수전(水田), 연작상경(連作常耕), 한전(旱田)

단행본(3)

  • 대왕 자료집 2-어제, 비문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3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최주희, 김지연, 박용만, 김정미...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6.12.15
    유형단행본
  • 대왕 자료집 1-등록, 일기, 의궤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3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 최주희, 정만조, 이근호...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6.12.15
    유형단행본
  • 국역 〈요사〉 상 [<요사> 번역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김위현(단국대학교), 이성규(단국대학교), 이상훈(단국대학교), 김한기(단국대학교), 변... | 출판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2.31
    권5 본기 제5 세종(世宗) 야율원(耶律院) 권6 본기 제6 목종(穆宗) 야율경(耶律璟) 상 권7 본기 제7 목종 야율경 하 권8 본기 제8 () 야율현(耶律賢) 상 권9 본기

고서·고문서(1,828)

  • 鑛産家의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086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鑛産家의 〈mn〉숫자악보〈/mn〉 〈#43〉 [ (1.) ] 산과 들이 련결하야 륙디가 되고 륙디 잇고 물...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구당서 권17 상 본기17상 _001 김덕원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睿武昭愍孝皇帝는 이름이 [李]湛이고, 穆宗의 長子이며, 모친은 恭僖太后 王氏이다.
    권수구당서 권17 상 | 편명본기17상 | 대표표제어경종_001
  • 구당서 권17 상 본기17상 _002 김덕원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元和 4년(809) 6월 7일 東內의 別殿에서 태어났다. 長慶 원년(821) 3월 景王에 봉해졌고. [長慶] 2년(822) 2월 황태자로 세워졌다. [長慶] 4년(824) 정월
    권수구당서 권17 상 | 편명본기17상 | 대표표제어경종_002
  • 구당서 권17 상 본기17상 _003 김덕원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寶歷 원년(825) 봄 정월 을사일이 초하루이다. 신해일 南郊에서 昊天上帝에게 제사를 드리고[觀祀], 예를 마친 후에 丹鳳樓에 행차하여 大赦를 내리고, 寶歷 元年으로 改元하였다....
    권수구당서 권17 상 | 편명본기17상 | 대표표제어경종_003
  • 구당서 권17 상 본기17상 _004 김덕원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寶歷] 2년(826) 봄 정월 기사일이 초하루이다. 경오일 殿中侍御史 王源植을 昭州司馬로 낮추었다. 이때 [왕]원식이 거리를 가는데 敎坊의 樂伎가 업신여기며 앞과 뒤에서 수행하...
    권수구당서 권17 상 | 편명본기17상 | 대표표제어경종_004

구술자료(2)

  • () 임금과 시골 선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옆에 있는 할머니를 보고 “내가 얘기하는 게 저기 모두 갇힌다.”며 녹음기의 조화를 신기해하다가 또 불쑥 이 얘기를 꺼냈는데, 그의 그런 여유있고 하염없는 구연태도가 조사자들로 하여금 그가 과연 독특한 이야기꾼임을 실감케 했다. 역시 논산에 살 때 들은 것이라 했다...
    조사일시1981-03-07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 제보자김재식
  • 중국이 보낸 수수께끼를 푼 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회관을 찾았을 때, 할아버지 여덟 분이 김연아가 출전중인 피겨스케이트 결승전을 보고 계셨다. 할아버지들에게 조사 목적을 설명하고, 가장 총기가 좋아 보이는 제보자에게 옛날이야기 구연을 부탁하였다. 처음에는 잘 알지 못한다고 거절하시다가, 조사자들이 제보자가 ...
    조사일시2009. 2. 7(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공진마을 회관 | 제보자문정호

기초학문(13)

  • 1724년 8월 의 昇遐와 []殯殿都監儀軌》‧《[]魂殿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구, 게재일 : 2004
    12895 이경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24년 8월 의 昇遐와 []殯殿都監儀軌》‧《[]魂殿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英祖初《大王實錄》의 편찬과《大王實錄纂修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연식, 게재일 : 2003
    01399 최연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英祖初《大王實錄》의 편찬과《大王實錄纂修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숙종∼영조 년간 妃宣懿王后의 지위와 입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혜련, 게재일 : 2016
    67007 임혜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16 숙종∼영조 년간 妃宣懿王后의 지위와 입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대)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창균, 게재일 : 2012
    52160 김창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대)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대)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응천, 게재일 : 2012
    52149 최응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대)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3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밤에 북셔루각 동길용식씨집에 젹이돌입야 은속과 의복등물을 다슈히 탈취야 갓 그견실 물화의 갑어치가 슈삼친금에 지 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장원경 리용익씨가 나무 십오만쥬를 무역야 북쟝동 젼농상소와 룡산등디에 식목기로작뎡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3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대혜도요(大惠度要)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혜도요(大惠度要) 大惠度要 대혜도요 형태서지 大惠度要一卷 [元曉 撰] [新羅] [韓國] 筆寫本 1冊 T33,p.68.; H1,p.4...
    대표표제어대혜도경종요(大惠度經宗要) | 대표서명大惠度經宗要 | 한글서명대혜도경종요 | 서지형태형태서지
  • 무량수요(無量壽要)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무량수요(無量壽要) 1 無量壽要 무량수요 형태서지 元暁 選 [新羅] [韓國] 1冊 27×17 T37, p.125.; H1, p.553.;
    대표표제어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1 | 대표서명無量壽經宗要 | 한글서명무량수경종요 | 서지형태형태서지
  • 무량수요(無量壽要)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무량수요(無量壽要) 2 無量壽要 무량수요 형태서지 元曉 新羅 韓國 1711年(寶永 8) 1卷 T37, p.125.; H1, p.553.;
    대표표제어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2 | 대표서명無量壽經宗要 | 한글서명무량수경종요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59)

  • ;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6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문;文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250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33면 이;李 제6회 192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946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7면 현;顯 경성부 사직정 7-2;鐵道局 保線區 제1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158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7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0)송도고보 제13회(소화7년) 30명 박;朴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497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33면 이;李 경상북도 대구부 봉산정 28-10;경성제국대학 의학부 新令 제6회 192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95)

  • / [역사/조선시대사]

    1688(숙종 14)∼1724( 4). 조선 제20대 왕. 숙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희빈 장씨이다. 비는 심호의 딸 단의왕후이고, 계비는 어유구의 딸 선의왕후이다. 세자 때부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갖은 수난과 곤욕을 겪었으며, 재위 4년 동안 당쟁이 절정을

  • 실록 / 實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제20대 왕 재위기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 1720년 7월부터 1724년 8월까지 의 재위 4년 2개월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루고 있다. 15권 7책. 인본. 편찬은 1726년(영조 2) 8월에 시작했으며 1732년 2월에 완성되었다. 실록청

  • 능가요 / 楞伽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능가경』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 불교해설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고산사성교목록(高山寺聖敎目錄)』, 『나라록(奈良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 보양청일기 / 輔養廳日記 [역사/조선시대사]

    보양청에서 조선 제20대왕 의 원자 시절를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1책. 필사본. 1689년(숙종 15) 7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이 세자로 책봉되기 이전의 일기이다. 보양청은 원자와 원손의 교육 등 제반사를 관할하던 기관으로, 원자의 경우는 보양관 3인(정1

  • 수정실록 / 修正實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0대 왕 의 재위 기간의 역사를 기록한 『실록』을 수정한 실록. 5권 3책. 인본(印本).1778년(정조 2) 편찬이 시작되어 1781년 7월에 완성되었다. 편찬에 관계한 전후의 관원을 보면, 총재관(摠裁官)에 정존겸(鄭存謙), 도청당상(都廳堂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