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경암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3)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암집 / 노경임 경암집 / 노경임 조선 중기의 학자 노경임의 시문집. 1784년(정조 8) 5대손 억이 간행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로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역대 임금들의 치란흥망에 대한 역사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특히, 상고사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인조실록(仁祖實錄)』 경암집 / 오여...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한응(李漢膺)의 시문집. [내용] 13권 6책. 목판본. 1885년(고종 22) 그의 손자 흥로(興魯)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이만준(李晩埈)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을 비롯하여, 정조에 이르기까지 특별한 사건과 붕당의 발생동기‧과정‧폐단 등 역사적인 여러 사실들에 관해 기술하고 있어 좋은 자료가 된다. 경암집 / 김교준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근대의 유학자 최원(崔愿)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9년 최원의 사위 권혁건(權赫鍵)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보림(李普林)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0권 6책. 석인본. 전북대학교 도서관 등에 ...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1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敬菴集 鏡巖集 絅齋集 敬軒遺稿 戒懼菴集 溪堂集 溪堂草稿 古溪集 古今堂集
고서·고문서(10)
- 경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序 響山 李晩燾가 쓴 문집의 서문이다. 貞山 金東鎭이 쓴 문집의 重刊 서문이다. 卷1 辭 招梅魂辭 1 楚나라 屈原이 지은 招魂을 모방하여 지은 辭이다. “세상 사람들이 매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지만, 자신은 그 꽃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그 향을 좋아하며, 그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경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卷一 詩 春日謾詠(1807), 三江船遊口占, 詠屋, 西行道中, 寓洪濟寺, 登採薇亭, 春帖, 寶劍行, 偶成自笑, 詠梅, 雨後晩步, 秋日懷友, 滄厓會遊適有故未赴作側體一首示意, 奉別再從兄-漢綺-洛行(1808), 與諸益遊漁村瀑布各賦二絶題石面, 贈別濟而-汝用-族兄, 滄厓亭偶...분야문학 | 유형문헌
- 경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鏡巖集序 1804년에 嘉善大夫原任司諫院行大司諫泗水 睦萬中이 쓴 서문이다. 前冬에 應允의 高足 八關上人으로부터 서신을 전해 받은 후 아직 회신을 하지 않고 있던 차에 그의 입적소식과 아울러 文集의 影讚과 序를 부탁받았음을 밝히고, 응윤이 聰明雅祥한 자태로 일찍이 秋...분야문학 | 유형문헌
- 〈俗字略字辭典(1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록편찬실, 正字俗字對照表, 고순종실록편찬실, 1930 3. 金魯洙, 「字學考」, 敬庵集, 1945 4. 金榮華, 韓國俗字譜, 亞細亞文化社, 1986 5. 국립국어연구원, 漢字 略體 調査硏究, 국립국어연구원, 1993 ■주제어 한자, 이체자사전...대표표제어〈俗字略字辭典(1권)〉 해제 | 편저자 원영섭 | 권수 1책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체찰사(體察使) 이원익(李元翼)의 종사관으로서 삼남지방(三南地方)을 순찰하여 순조롭게 일을 처리하였고, 1597년 전란의 상황을 자세히 보고하여 선조의 신임을 얻었다. 사헌부 지평・예조 정랑・성주 목사 등을 지냈으며 승정원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저술로는 경암집이...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노경임(盧景任)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1)
- ??鏡巖集??에 나타난 유불교류관(儒佛交流觀)의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상현, 게재일 : 201554791 조상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鏡巖集??에 나타난 유불교류관(儒佛交流觀)의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5
주제어사전(4)
-
경암집 / 敬菴集 [종교·철학/유학]
경암 이한응의 문집. 13권 6책. 목판본 <규 4208> 손자 이흥로 등에 의해 1885년(고종 22)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권1에 시 180여수, 권2에 시 150여수, 권3에 서 22편, 권4에 서 19편, 권5에 서 40 여편, 권6에 서 12편, 권7에
-
이한응 / 李漢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78∼1864). 서예와 시문에 탁월한 솜씨를 보였으며, 만년에 제자 양성에 주력했다. 헌종 때 추천으로 가감역에 올랐고, 철종 때 통정대부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돈녕부도정을 지냈다. 저서로《경암집》13권이 있다.
-
노경임 / 盧景任 [종교·철학/유학]
임하였다. 저서로『경암집』7권이 있다.
-
오여벌 / 吳汝橃 [종교·철학/유학]
, 울산판관·영천군수·대구도호부사·청송부사·창원부사·연일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천지만물도>· <중국역대총론>, <동국역대기사>, <경암집> 6권 3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