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신환국” 에 대한 검색결과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

사전(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韓國精神文化硏究員, 1992) 中央五軍營制의 成立過程(李泰鎭, 朝鮮後期의 政治와 軍營制變遷, 1985) 과 金錫胄(李熙煥, 全北史學 10, 1986)
    이칭별칭경신대출척
  • 목임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宋時烈)의 처벌을 주장한 바도 있었다. 그 뒤 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체직당하였다가 1689년부터 남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승지‧강춘도관찰사(江春道觀察使)‧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694년 갑술환국 이후 남인이 실각하면서 삭출(削黜)되었다가 이듬해...
    이칭별칭 사아(士雅)
  • 송규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大功說)을 주장했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이 귀양가게 되자 이들의 신원(伸寃)을 주장했다가 파면당하였다. 1680년(숙종 6) 으로 서인들이 다시 집권하게 되자 다시 기용되었다. 이후 사간ㆍ수찬ㆍ대사간ㆍ승지ㆍ이조참의ㆍ부제학ㆍ대사성 등을 거쳐 대사간...
    이칭별칭 도원(道源)| 제월당(霽月堂)| 문희(文僖)
  • 이인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체차시켰다. 그러나 곧바로 ()이 발생하여 남인이 대거 축출됨으로써 이후 약 10년 동안 침체해 있다가 기사환국 이후인 1691년에 다시 장령으로 기용되었다. 그 해 숙종이 현종(顯宗)의 능침(陵寢)을 살피기 위해 능행을 준비하자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행...
    이칭별칭 은경(殷卿)| 설루(雪樓)
  • 남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하는 인물들이 나타나 활동했는데, 이들을 북인계 남인라고도 부른다. 남인은 현종대 예송(禮訟)을 거친 후 숙종이 즉위하자 정권을 잡았다. 이후 1680년(숙종 6)의 (: 庚申大黜陟)으로 정권을 잃었으며 이때 윤휴(尹鑴)‧허적(許積)‧이하진(李夏...

고서·고문서(6)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80년 의 발단이 되었던 고변 과정에 참여하였던 공신들을 녹훈한 기록을 담고 있는 의궤이다. 당시 영의정 허적의 서자였던 허견 및 복선군 이남에 대한 고변이 발생하여 이들에 대한 토역이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을 매우 상세하게 담고 있다. 본 의궤는 경신년의...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복훈도감의궤(復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94년 갑술환국으로 인해 서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1689년의 당시 공신 녹훈이 취소되었던 보사공신을 복훈시키는 과정에 대한 의궤이다. 본래 보사공신은 1680년 당시 정원로 및 복선군 이남에 대한 고변의 처리과정을 주도한 인물들에 대한 녹훈이었...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현종대왕실록개수청의궤(顯宗大王實錄改修廳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80년 ()으로 정국을 주도하게 된 서인(西人)들은 그 기록에 소략하고 잘못된 곳이 많다고 비판하며 개수(改修)를 건의하였다. 이를 숙종이 윤허한 뒤, 곧 실록개수청(實錄改修廳)을 설치하고 수정 작업을 시작하여 28권의 개수실록을 완성하였다. 이는 서인의...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봄에 돌아왔다. 1680년(庚申 숙종6) 庚申大黜陟(이라고도 한다)에 西人측에 의해 南人들이 대거 몰려날때 함께 축출당하였다. 이해 부친의 상을 당하고 제천에 은거하여 초옥을 짓고 유유자적했다. 1689년(己巳 숙종15) 후궁 昭儀張氏 소생을 원자로 定號하는 문...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풍악록(楓樂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우찬성에 올랐으나 1680년 때 허견(許堅)‧복창군(福昌君)과 친했다는 죄목으로 사사(賜死)되었다. 그는 당색이 적었으나 예송(禮訟)으로 인하여 서인(西人)과 사이가 멀어져 출사 후에는 남인(南人)으로 활약하였다. 기해예송 때 송시열의 오류를 가장 먼저 지적했...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윤휴(尹鑴)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정치]

    1680년(숙종 6) 남인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 남인은 1674년(현종 15)의 갑인예송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았으나, 그 해 즉위한 숙종은 모후인 명성왕후 김씨의 영향으로 모후의 족질 김석주를 요직에 기용, 남인을 견제. 1680년 3월

  • 이희조 / 李喜朝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단상 아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80년(숙종 6) 이 있은 뒤 유일로 천거되어 건원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다시 천거되어 전설별검에 임명, 이어서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지내고 진천현감이 되어

  • 자산서원 / 紫山書院 [교육/교육]

    서인계의 집권으로 인하여 훼철되었다가 허목(許穆)·윤선도(尹善道) 등의 상소로 1677년(숙종 3)에 복원되었으며, 1678년에 ‘자산(紫山)’이라고 사액되어 1680년에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관찰사 임규의(任奎毅)와 유경서(柳景瑞)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