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신환국” 에 대한 검색결과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

사전(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韓國精神文化硏究員, 1992) 中央五軍營制의 成立過程(李泰鎭, 朝鮮後期의 政治와 軍營制變遷, 1985) 과 金錫胄(李熙煥, 全北史學 10, 1986)
    이칭별칭경신대출척
  • 목임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宋時烈)의 처벌을 주장한 바도 있었다. 그 뒤 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체직당하였다가 1689년부터 남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승지‧강춘도관찰사(江春道觀察使)‧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694년 갑술환국 이후 남인이 실각하면서 삭출(削黜)되었다가 이듬해...
    이칭별칭 사아(士雅)
  • 송규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大功說)을 주장했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이 귀양가게 되자 이들의 신원(伸寃)을 주장했다가 파면당하였다. 1680년(숙종 6) 으로 서인들이 다시 집권하게 되자 다시 기용되었다. 이후 사간ㆍ수찬ㆍ대사간ㆍ승지ㆍ이조참의ㆍ부제학ㆍ대사성 등을 거쳐 대사간...
    이칭별칭 도원(道源)| 제월당(霽月堂)| 문희(文僖)
  • 이인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체차시켰다. 그러나 곧바로 ()이 발생하여 남인이 대거 축출됨으로써 이후 약 10년 동안 침체해 있다가 기사환국 이후인 1691년에 다시 장령으로 기용되었다. 그 해 숙종이 현종(顯宗)의 능침(陵寢)을 살피기 위해 능행을 준비하자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행...
    이칭별칭 은경(殷卿)| 설루(雪樓)
  • 남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하는 인물들이 나타나 활동했는데, 이들을 북인계 남인라고도 부른다. 남인은 현종대 예송(禮訟)을 거친 후 숙종이 즉위하자 정권을 잡았다. 이후 1680년(숙종 6)의 (: 庚申大黜陟)으로 정권을 잃었으며 이때 윤휴(尹鑴)‧허적(許積)‧이하진(李夏...

고서·고문서(6)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80년 의 발단이 되었던 고변 과정에 참여하였던 공신들을 녹훈한 기록을 담고 있는 의궤이다. 당시 영의정 허적의 서자였던 허견 및 복선군 이남에 대한 고변이 발생하여 이들에 대한 토역이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을 매우 상세하게 담고 있다. 본 의궤는 경신년의...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복훈도감의궤(復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94년 갑술환국으로 인해 서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1689년의 당시 공신 녹훈이 취소되었던 보사공신을 복훈시키는 과정에 대한 의궤이다. 본래 보사공신은 1680년 당시 정원로 및 복선군 이남에 대한 고변의 처리과정을 주도한 인물들에 대한 녹훈이었...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현종대왕실록개수청의궤(顯宗大王實錄改修廳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80년 ()으로 정국을 주도하게 된 서인(西人)들은 그 기록에 소략하고 잘못된 곳이 많다고 비판하며 개수(改修)를 건의하였다. 이를 숙종이 윤허한 뒤, 곧 실록개수청(實錄改修廳)을 설치하고 수정 작업을 시작하여 28권의 개수실록을 완성하였다. 이는 서인의...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봄에 돌아왔다. 1680년(庚申 숙종6) 庚申大黜陟(이라고도 한다)에 西人측에 의해 南人들이 대거 몰려날때 함께 축출당하였다. 이해 부친의 상을 당하고 제천에 은거하여 초옥을 짓고 유유자적했다. 1689년(己巳 숙종15) 후궁 昭儀張氏 소생을 원자로 定號하는 문...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에 대해 靜과 至靜은 의미의 깊이가 다르다는 내용이다. 答李同甫 (3) 이희조에게 답장한 편지이다. 1680년 이후 禍福에 관한 이야기에 대해 문자로 증거 삼을만한 없다는 것, 사간원의 趙氏(미상)와 성균관 유생의 상소 사건에 간여한 바가 없다는 것, 윤증...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정치]

    1680년(숙종 6) 남인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 남인은 1674년(현종 15)의 갑인예송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았으나, 그 해 즉위한 숙종은 모후인 명성왕후 김씨의 영향으로 모후의 족질 김석주를 요직에 기용, 남인을 견제. 1680년 3월

  • 이희조 / 李喜朝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단상 아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80년(숙종 6) 이 있은 뒤 유일로 천거되어 건원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다시 천거되어 전설별검에 임명, 이어서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지내고 진천현감이 되어

  • 자산서원 / 紫山書院 [교육/교육]

    서인계의 집권으로 인하여 훼철되었다가 허목(許穆)·윤선도(尹善道) 등의 상소로 1677년(숙종 3)에 복원되었으며, 1678년에 ‘자산(紫山)’이라고 사액되어 1680년에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관찰사 임규의(任奎毅)와 유경서(柳景瑞)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