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성제국대학” 에 대한 검색결과 7,2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53)

사전(2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령>을 공포하고 우리 나라에 대학을 설립하게 된 것이다. 1924년에 먼저 초기 중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2년제 예과(豫科)만으로 개교하였다가, 1926년에 3년제 법문학부와 4년제 의학부를 설치하여 총장에는 조선총독부 정무총...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4년 일제가 서울에 설립한 관립 종합대학.
    정의1924년 일제가 서울에 설립한 관립 종합대학.[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yeongseong Jeguk Daehak | MR표기Kyŏngsŏng Cheguk Tae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구서울대학교본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있는 건물. [내용] 사적 제278호. 지정면적 1,628.1㎡. 1924년 5월 「관제」에 따라 법문학부‧의학부 설치가 규정되고, 5월 예과가 개강됨으로써 1926년부터 일련의 학교시설...
    연계항목구서울대학교본관(舊서울大學校本館)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1916 가항 의법문과(法文科)에지원을하얏다가 실패한병화가 일년을 부모가잇는해주로 나려가서 다음해의입학시험준비를 하고잇다가 의 법문과에 지원을 하였다가 실패한 병화가 일 년을 부모가
    출전朝鮮日報[朝鮮日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교육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조선교육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원까지 참여하였다. 그러자 일제는 이것을 민족운동으로 파악하고 1923년 5월 ‘령’을 발표, 이어서 민립대학 모금운동을 방해하였다. 또한 민족 자본 형성이 미숙해 1차모금 목표도 달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1924년 예과, 1926년 학부...
    이칭별칭조선교육회

단행본(1)

고서·고문서(41)

기초학문(8)

  • 시기 독일 미학 ‧ 예술학 수용사에 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심혜련, 게재일 : 2004
    10127 심혜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학회 2004 시기 독일 미학 ‧ 예술학 수용사에 관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군기(軍旗)와 과학—만주사변 이후 의 방향전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9248 한국연구재단 만주학회 2015 군기(軍旗)와 과학—만주사변 이후 의 방향전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과 식민지 시기 "중인층"의 상승 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차남희, 게재일 : 2010
    11549 차남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역사학회 2010 과 식민지 시기 "중인층"의 상승 이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소장 미학 및 예술학 관련 외서(1925-1945)의 해제 작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48629 한국연구재단 소장 미학 및 예술학 관련 외서(1925-1945)의 해제 작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부속도서관 장서구성에 관한 일고찰: '식민'항목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9775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사학회 2015 부속도서관 장서구성에 관한 일고찰: '식민'항목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96)

기타자료(6,840)

  •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문헌 현대 학교사 대학사 단행본
    범주1학교사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이충우
  • 어철;魚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252 남한 경성 1-16 일람 1942 264면 3. 졸업생 성명;3) 의학사;(2) 1931년 3월 졸업 어철;魚澈 (본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규;許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267 남한 경성 1-16 일람 1942 265면 3. 졸업생 성명;3) 의학사;(3) 1932년 3월 졸업 허규;許逵 (본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경;張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279 남한 경성 1-16 일람 1942 265면 3. 졸업생 성명;3) 의학사;(3) 1932년 3월 졸업 장경;張慶 (본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요;李鍾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6429 남한 경성 1-16 일람 1934 240면 3. 학위수여;1) 의학박사 이종요;李鍾緰 (본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근대 한국학의 서구적 기원과 일본 식민시대 조선학의 계보: 지식·권력·역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육영수 | 중앙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서울시 귀속재산불하문서 DB화를 통한 활용도 제고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염복규 | 서울시립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2)

  • / [교육]

    1924년 일제가 경성부에 설치한 관립 종합대학.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을 설치하는 것이 이롭지 못하다고 판단 억압정책을 폈다. 그러나 3.1운동 이후 조선인의 고등교육열이 높아지자, 법문학부, 의학부로 구성된 을 세우고 1924년 예과를

  • 금석첩 / 金石帖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편, 영인본, 1932, 불분권 1책(155면).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등 비문, 액문 기타 필적의 석인본(石印本)을 에서 영인한 책이다.

  • 계훈제 / 桂勳梯 [사회/사회구조]

    1921∼1999. 사회운동가. 본관은 수안(遂安). 평안북도 선천 출신. 아버지 계봉집(桂鳳集)과 어머니 이형저(李亨姐)의 5남매 중에 막내로 출생하였다. 선천 신성(神聖)학교를 졸업한 뒤, 1943년 법문학부에 입학하여, 1948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 고려사절요 / 高麗史節要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김종서(金宗瑞) 등 봉교찬, 조선사편수회 편, 영인본, 1932, 32권 24책. 김종서 등 춘추관에서 1452년(문종 2)에 편성한, 고려사(高麗史)이다. 장구규장각본 을해자 잔존본 32권(전35권)을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

  • 구서울대학교본관 / 舊서울大學校本館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있는 건물. 사적 제278호. 1924년 5월 관제에 따라 법문학부, 의학부 설치가 규정되고, 5월 예과가 개강됨으로써 1926년부터 일련의 학교시설을 갖춘 뒤 이 건물을 지었다. 박길룡이 설계하였는데, 우리나라 최초의 건축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