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경성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6)
사전(82)
- 경성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성군] 함경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동해와 면하여 있고,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길주군과 명천군, 북쪽은 부령군과 접한다. 동경 128°59′∼149°49′, 북위 41°15′∼41°58′에 위치하며, 면적 2,801.01㎢,...
- 경성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함경북도 경성군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붙은 사본. 표지에는 '咸鏡北道鏡城郡邑誌(함경북도경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종래 전해오던 경성의 읍지를 참고하고 갑오(甲午)‧을미(乙未) 개혁 후 지방행정에서
- 정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재직 중 인심이 불순하다고 논란되고 있는 단주ㆍ청주(靑州)에 파견될 것을 자청하여, 특별히 중훈대부(中訓大夫)로 가자되면서 지경성군사 겸 지병마방어사(知鏡城郡事兼知兵馬防禦事)에 제수되었다. 그 뒤 첨절제사ㆍ판사 등을 역임하였다. 1406년 본처를 버리고...이칭별칭 사고(師古)| 죽당(竹堂)
- 나북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함경북도 경성군 고성군 고성산(高城山)과 대연곡산에서 발원하여 군의 북부를 남류하여 동해의 청진만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42.6㎞. 함경산맥의 동사면을 흐르므로 경사가 급하며, 중‧상류에는 유역평야가 전혀 발달하지 못하였고 하류에만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북쪽 수...
- 구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과 경성군 주을읍(지금의 함경북도 연사군)의 남쪽 관모봉(冠帽峰, 2,541m)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연면수로 흘러드는 강. 길이 56.1㎞, 유역넓이 581㎢. 여러 지류가 모여 신양저수지(新陽貯水池)를 이루며, 다시 연면수를 만들어 두만강으로
고서·고문서(368)
- 鏡城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五 咸吉道 鏡城郡 23 知郡事一人兼吉州道左翼兵馬判官一人【今上十四年壬子五月加設】古號亏籠耳久爲胡人所據高麗大將尹瓘逐胡人置九城時郡名未詳本朝太祖戊寅始置郡祖白山【在郡西郡人以爲鎭山】江龍山【在郡東南人登則忽有雲氣】名山曰白山【在郡西高大至五月雪始消七月復有雪山頂...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경성군 용성면협의회회의록(鏡城郡龍城面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경성군 용성면협의회회의록 역사 문헌 근대 한국 고문서 국가기록원 소장 '청진부관계서류'철의 '답신서(용성면)(회의록첨부)'에 포함된 1934년 05월 05일 경성군 용성면협의회회의록 부군관할구, 재산처분 일본어 CJA0003069 ...대표표제어경성군 용성면협의회회의록(鏡城郡龍城面協議會會議錄) | 건명답신서(용성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4년 05월 | 회의일05일 | 키워드부군관할구, 재산처분
- 미납세전에 대한 경성군수와 영천군수의 보고 내용을 알리는 공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는 殖利錢 上納에 執摠하여 內藏院에 상납함(鏡城郡守 康昌魯 보고, 1901년 2월 26일). / 榮川郡 1894년 이후 未上納條를 嚴加督刷할 것이며, 그 중 平恩驛과 昌保驛의 陳廢結은 區處할 길이 없어 이유를 原狀 중 보고한다 함(榮川郡守 鄭淑度 보고, 1901년 4월...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탁지부 전환국의 조폐에 사용할 금을 사기위해 경성군 공전 가운데 30,000량을 북청군에 수송하고 북청군수 영수증을 받아 보내라는 훈령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군부 조회에 근거하여 훈령을 내리니 명천군과 경성군 공전 중에서 종성지방대 1899년도 경비를 지급하고 영수증을 받아 올리고 중요한 군향이니 지체하지 말라는 훈령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신문·잡지(55)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陸軍步兵叅尉 皇太子 垠 八月十六日 任內部治道局技手孫應模 八月九日 免本官 鏡城郡主事鄭元一 八月十二日 任經理院技師 宮內府秘書官金鳳善 任宮內府秘書官 學部書記官尹世鏞 兼任 宮內府大臣 官房秘書課長 宮內府秘書官尹世鏞 以上八月十四日게재일1907년 8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 함북로동신문_1947_0718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팀) 160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경성군, 함북, 어방천, 경성, 주을, 일제 함북의 곡창으로 유일한 농촌지대를 가지고 있는 경성군 일대의 농촌에서 보는 풍양한 농항과 농민들의 향상된 생활에서 자기 농촌을 건설하고 발전...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718_02_01 | 책임주필김윤복
- 투사신문_1948_110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청진 30일발 조선중앙통신】 11월 20일까지 우량곡으로 현물세를 완납하자는 경성군 어장면 농민들의 호소에 호응한 함북도내 각지 농민들은 부락 상호간에 경쟁조직을 체결하고 농가의 전력을 현물세 납부에 경주하고...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04_02 | 책임주필한효
- 함북로동신문_1947_092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13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경성군 경성면, 명천군 남면, 경성군 주북면, 경원군, 경성군 어랑면, 경원군 경원면, 일제, 남조선, 쏘, 미 농맹, 쏘미공위, 공위 2. 현물세제에 대한 감상과 현물세 납부 준비에 대하...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921_02 | 책임주필김윤복
- 함북로동신문_1947_0721_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팀) 163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현공린 어랑면, 경성, 경성군 어랑면 이업리, 이업리 로동당 【경성】 경성군 어랑면 이업리 로동당 세포원들은 솔선 모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마을은 72호의 농가로 되어 있는데...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721_01_02 | 책임주필김윤복
기타자료(141)
- 이환;李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6975 중국 용정 大成中學校 제4회졸업동창생 졸업앨범 1930―03 0 이환;李煥 함경북도 경성군 4회 1930년학교소재지역용정 | 학교명大成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록주구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301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록주구오 新潟縣中頸城郡矢代村大字西福全新田633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신극;韓信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韓信極 (현주소)鏡城郡 華方공립보통학교;(본적)함북 鏡城郡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용남;玄勇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567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6면 1. 강습과 주소록;3) 3조 현용남;玄勇男 함북 경성군 송북면 용중동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지정헌;池楨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568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6면 1. 강습과 주소록;3) 3조 지정헌;池楨憲 함북 경성군 용성면 송정동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6)
-
경성군 / 鏡城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동해와 면하여 있고,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길주군과 명천군, 북쪽은 부령군과 접한다. 동경 128°59′∼149°49′, 북위 41°15′∼41°58′에 위치하며, 면적 2,801.01㎢, 인구 11만 7894명(1945년 현재
-
경성군읍지 / 鏡城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함경북도 경성군 읍지. 1책. 지도가 붙은 사본. 표지에는 '咸鏡北道鏡城郡邑誌(함경북도경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종래 전해오던 경성의 읍지를 참고하고 갑오(甲午)·을미(乙未) 개혁 후 지방행정에서 변경된 내용을 읍지 기록 순서에 따라서 ‘원(原
-
경성백목련 / 鏡城白木蓮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경성군 하온포리에 있는 백목련. 경성군 하온포리 온천요양소의 정원 안에서 자라고 있는 백목련으로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429호. 이 백목련은 목란과의 넓은잎키나무이며, 암수의 생식세포가 한 그루에 있는자웅동주(雌雄同株)의 활엽(闊葉)교목(喬木
-
도정산 / 渡正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상온포리의 북서쪽 연사군과의 경계에 있는 산. 도정산의 높이는 2,200m이고, 관모봉(冠帽峰, 2,541m)ㆍ입석산(立石山)ㆍ남하석산(南下石山)과 더불어 함경산맥 동북쪽에 솟은 고봉으로서 무산군ㆍ경성군의 분수령을 이룬다. 약 10㎞에 걸쳐서 북쪽으로
-
광포설화 / 廣浦說話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면 광포의 지명 유래에 관한 설화. 이 전설의 분포 지역은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장연호(長淵湖),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곡동의 영감바위, 전라북도 군산 앞바다인 고군산 열도(古群山列島), 전라북도 부안군의 계화도(界火島) 등 주로 서해안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