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상도지” 에 대한 검색결과 5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2)

사전(29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구‧안동‧경주‧울산‧창원‧상주‧진주‧성주‧김해 등 9개 지역의 지도가 누락되어 아쉽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도 / 거창 ...
  • 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으로서 내용이 매우 풍부하고 상세하여, 조선 전기의 지방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를 원본으로 하여 1938년 조선 총독부 중추원에서 ≪경상도속찬지리지 慶尙道續撰地理誌≫와 함께 합본하여, ≪교정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라는 제목 하에...
  • 하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어간 지 20여 년 간 문안에 사알(私謁)을 들이지 않았고 법을 잘 지켜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으로 일컬어졌다. 1454년에 문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숙종 때 진주의 종천서원(宗川書院), 합천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제향되었다. 편서로 『리지(...
    이칭별칭 연량(淵亮)| 경재(敬齋), 신희(新稀)| 문효(文孝)
  • 가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속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별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가리현이 지금의 어디인가는 확실하지 않으나, ≪리지≫ 가리현의 사방계역(四方界域) 기사 및 <대동여지도> 등으로 보아 성주군 용암면과 고령군 성산면‧다산면 일대로 추정된다. ...
    이칭별칭기성(岐城)|일리현(一利縣)
  • 신찬팔도지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다만 이 전국지리지의 저본(底本)이 되었던 각 도별 지리지 가운데 1425년 작성된 『리지』가 남아 있어 그 내용을 짐작하게 한다. 1454년(단종 2) 『세종실록』을 편찬할 때 지리지를 첨재하자는 의논에 따라 『신찬팔도지리지』를 실록에 부록한 것이...

고서·고문서(197)

  • 리지(理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때문에 관찰사 하연은 편찬한『리지』를 관찰사 본영인 경주부에 둔 것이다. 본문에 들어가서는 경상도 전체에 대해 개괄한 다음, 각 고을을 경주도(慶州道), 안동도(安東道), 상주도(尙州道), 진주도(晉州道)의 네 구역으로 분속하여 차례로 기록하였다. 속현도 본읍...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리지(理志)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931년〜1932년에 경성제국대학에서 본관에서 소장하고 있던 『리지』와 『경상도속찬지리지』를 필사하여 만든 책이다. 2책으로 되어 있는데, 제 1책이 『리지』이고 제2책이『경상도속찬지리지』이다. 경상도의 명칭은 고려 때 성립한 것으로 조선왕조도 이를...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교정리지 ; [교정]경상도속찬지리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조선지지 | 소장처프린스턴대학
  • 31530 B031530 금산 錦山 산악 理志 晉州道 南海縣 名山 名山二 錦山 在島東 望雲山 在島南
    출처전거慶尙道地理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720 B036720 내포 內浦 군사교통 理志 晉州道 古會原 部曲 部曲一 亐北 驛一 近珠 鄕一 內浦
    출처전거慶尙道地理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2)

  • ) 칭칭이.jpg (금산 42) 칭칭이.mp3 칭칭이는 본시 방의 장원질소리 또는 파연곡이던 것이 경상도 모노래의 전파와 함께 금산군에 전파되었음.
    녹음지역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 녹음날짜1992.4.1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12) 모노래 곡풍 논매기.mp3 * 백천리에서는 논맬 때 호미쓰지않는다. * 함양군은 무후렴의 경상도 모노래를 논매면서 부르는 곳이 적지않다. 외국에서 밭벼 볍씨를 뿌리면서도 노래하는 예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역의 모노래는 2,3인이 논맬 때도 불리우고 볍씨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백천리 | 녹음날짜1989.4.21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나 논맬 때에 무후렴 모노래를 부른다. * 함양군은 무후렴의 경상도 모노래를 논매면서 부르는 곳이 적지않다. 외국에서 밭벼 볍씨를 뿌리면서도 노래하는 예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역의 모노래는 2,3인이 논맬 때도 불리우고 볍씨 직파 때도 불리웠으리라 예측된다.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손곡리 | 녹음날짜1989.4.21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p3 * 손곡리에서는 모심을 때나 논맬 때에 무후렴 모노래를 부른다. [함양 13]에 이어 한번 해보겠다며 가창함.* 함양군은 무후렴의 경상도 모노래를 논매면서 부르는 곳이 적지않다. 외국에서 밭벼 볍씨를 뿌리면서도 노래하는 예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역의 모노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손곡리 | 녹음날짜1989.4.21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mp3 * 구양리에서는 여름 논매기 때에 여름가사를 가진 무후렴 모노래를 즐겨 부른다. * 함양군은 무후렴의 경상도 모노래를 논매면서 부르는 곳이 적지않다. 외국에서 밭벼 볍씨를 뿌리면서도 노래하는 예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역의 모노래는 2,3인이 논맬 때도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구양리 | 녹음날짜1985.8.29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기초학문(4)

  • 역 상무사의 변화와 보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경희, 게재일 : 2014
    53015 임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역 상무사의 변화와 보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朝鮮後期 域 還穀制 釐正의 方向 -단성.진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찬섭, 게재일 : 2008
    12659 송찬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朝鮮後期 域 還穀制 釐正의 方向 -단성.진주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논매는 소리와 모심는 소리의 관련성 연구-강원도 지역의 미나리 계통 민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진호, 게재일 : 2012
    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8357&local_id=10040922 역 모심기소리와 논매기소리의 관련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고려ㆍ조선 초기 낙동강유역 교통 네트워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정훈, 게재일 : 2013
    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5204&local_id=10046572 고려말‧조선초 交通 네트워크 연구 - 역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6)

  • 선문강요집(禪門綱要集)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2x15.8 刊記: 嘉靖十年辛卯(1531)異山鐵窟開刊以傳臣興 H6, p.850. 個人所藏(金敏榮)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金敏榮 所藏)古書目錄, 2007, p.115.
    대표표제어선문강요집(禪門綱要集) 5 | 대표서명禪門綱要集 | 한글서명선문강요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1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8 刊記: 嘉靖十年辛卯(1531)日 異山鐵庵開刊以傳臣興寺 H6, p.469.; X64, p.807. 個人所藏(金敏榮)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金敏榮 所藏)古書目錄, 2007, pp.115-116.
    대표표제어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10 | 대표서명禪門寶藏錄 | 한글서명선문보장록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강요집(禪門綱要集)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23.6x13.8 刊記: 嘉靖十年辛卯(1531)異山鐵窟開刊以傳臣興 H6, p.850. 국립중앙도서관 貴-17, 한貴古朝21-185 국립중앙도서관 전체제공(흑백) 1. 無紋暗色厚褙表紙, 고서목록1(국립중앙도서관, 1970), p.77...
    대표표제어선문강요집(禪門綱要集) 4 | 대표서명禪門綱要集 | 한글서명선문강요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8年(中宗 33) 線裝(土紅絲綴) 22.2x14.0 刊記: 嘉靖十七年戊戌(1538)孟夏日異山新興開板 H7, p.217. 국립중앙도서관 貴-19, 한貴古朝21-167 국립중앙도서관 전체제공(흑백) 1. 無紋黃色厚褙表紙 고서목록1(국...
    대표표제어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8 | 대표서명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 한글서명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9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8年(中宗 33) 1冊 20.5x12.3 刊記: 嘉靖十七年戊戌(1538)孟夏日異山新興開板 H7, p.217. 個人所藏(金敏榮)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金敏榮 所藏)古書目錄, 2007, p.108.
    대표표제어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9 | 대표서명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 한글서명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5)

  • 수에서는 다시 고성 천왕점과 곡산을 거쳐 진해 가을포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주목해 볼 것은 미륵산봉수대가 처음 기록에 나타나는 󰡔리지󰡕나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가라산봉수에 응한다고 하였다가 󰡔동국여지승람󰡕의 기록부터는 계룡산봉수에 응한다고 기록하고 있...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통영시/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김해 생림면 봉림리 청자요지(Ⅰ)(부: 김해지역 도요지 지표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서 청자요지가 발견되었고 낙동강 수운이 일찍부터 발달한 점을 상기하면 김해지역이 일찍부터 청자생산과 수급의 중심지로 자리잡고 있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이는 조선 초기 김해가 역에서 자기생산 중심지로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곧 김해 봉림...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한국문물연구원/김해시 | 발굴지역경상남도
  • 마산 합포성지 - 마산 합성동 73-10번지 주택신축부지내 시굴조사 보고서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경상도에는 여진과 왜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하여 병사와 수사를 3명씩 두었다. 따라서 합포성에 설치된 병마절도사영은 경상도에 설치된 병마절도사진 가운데 좌도병마절도사진인 울산과 더불어 지방관이 겸하지 않는 순수한 군사기지였던 것이다. 󰡔세종실록지리지󰡕와 󰡔리...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입시설 또한 특정한 규칙 없이 봉수대에 오르내리고 출입하기 좋은 곳을 선정하고 그 시설을 축조해 이용한 것으로 보여 진다. 진주 광제산 봉수대는 󰡔리지󰡕(1425)에 등재된 이래 󰡔세종실록지리지󰡕(1445), 󰡔신증동국여지승람󰡕(1540), 󰡔여지도...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祭)는 이곳에만 한정되는 것인지 아니면 방의 조선묘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인지는 다각도로 검토해 보아야 할 사항이지만 무촌 조선묘와 구조적인 유사성이 지적될 수 있는 경상도의 삼한묘 특히 조기의 무덤인 목관묘에 대해 일별해 보고자 한다. 먼저 평토제를 확인할 수...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22)

  • /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이현식(李鉉式), 구한회(具翰會)편, 신연활자, 구한회방(1936), 28권 2책. 판권기는 1936년(소화 11) 11월 15일, 구한회로 되어 있다. 2책이 합철되어 있다.

  • 도 / [지리/인문지리]

    경상감영에서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1872년에 제작된 지도.군현지도. 9책. 채색 필사본. 크기는 세로 35cm, 가로 25cm이고, 개별 지도의 크기는 모두 다르나 세로 120cm, 가로 80cm 내외가 다수이다. 1871년 신미양요를 겪은 뒤 전국적인

  • 리지 / 理志 [지리/인문지리]

    1425년(세종 7)에 편찬된 경상도 지지. 1책. 필사본. 서문에 의하면 세종의 명으로 ≪신찬팔도지리지 新撰八道地理志≫를 편찬하게 되자, 예조를 통하여 각 도의 도지를 만들어 춘추관에 송치할 것을 통첩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하연(河演)

  • 김밥 / [생활/식생활]

    밥에 여러 가지 속을 넣고 김으로 말아 싼 음식. 『리지(理志)』와『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전라남도 광양군 태인도의 토산품으로 김이 처음 등장한다. 이를 통해 김을 이용해 밥과 반찬이 될 만한 음식을 싸서 먹는 문화는 조선시대부터 존재하였음을 알

  • 하연 / 河演 [종교·철학/유학]

    등을 역임하였다. 편서로『리지』·『진양연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