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상도읍지” 에 대한 검색결과 4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9)

사전(8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읍지들이 대부분 전 시대의 것을 그대로 베껴서, 편찬된 시기와 기록된 내용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이 많다. 그러한 점에 비추어볼 때 ≪≫의 가치는 더욱 두드러진다. 각 읍의 호구가 모두 신묘식(辛卯式, 1831년)으로 되어 있고, 전부도 시기전(時起田...
  • 군위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誌)』ㆍ『』ㆍ『영남읍지』에 수록된 것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ㆍ읍호(邑號)ㆍ관직(官職)ㆍ성씨(姓氏)ㆍ산천(山川)ㆍ풍속(風俗)ㆍ방리(坊里)ㆍ호구(戶口)ㆍ전부(田賦)ㆍ요역(徭役)ㆍ군액(軍額)ㆍ성지(城池)ㆍ창고ㆍ군기고(軍器庫)ㆍ봉수(烽燧)ㆍ학...
    이칭별칭경상북도군위군읍지(慶尙北道軍威郡邑誌)
  • 동래부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영남읍지(嶺南邑誌)』 동래부읍지 동래부읍지 ...
    이칭별칭경상남도동래부읍지(慶尙南道東萊府邑誌)
  • 밀양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책과, 『』와 『영남읍지』에 수록된 것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ㆍ관직(官職)ㆍ군명(郡名)ㆍ성씨(姓氏)ㆍ풍속(風俗)ㆍ형승(形勝)ㆍ방명(坊名)ㆍ산천ㆍ제언(堤堰)ㆍ토산(土産)ㆍ성곽(城郭)ㆍ봉수(烽燧)ㆍ목장(牧場)ㆍ관방(關坊)ㆍ...
    이칭별칭경상남도밀양군읍지(慶尙南道密陽郡邑誌)
  • 웅천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9년에 편찬된 경상남도 웅천군(지금의 진해시 웅천동) 읍지.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32년(순조 32)에 편찬된 『()』와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영...

고서·고문서(352)

  •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 2, 목(牧) 3, 도호부(都護府) 13, 군(郡) 13, 현(縣) 39의 총 71개 고을이었다. 본 『』가 준거로 하고 있는 신묘년(1831) 통계에 따르면 경상도는 원호(元戶) 34만 8천633호, 남 70만 4천885구, 여 81만 271구(전국: 원...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31159 B031159 근민당 近民堂 정치행정 長鬐郡邑誌 長鬐郡 公廨 客舍近民堂 巡校廳 人吏廳 戶籍庫 軍器庫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752 B032752 낙제 絡蹄 경제산업 泗川郡邑誌 泗川邑 物産 柿 竹 藿 鰒 蛤 文魚 銀口魚蠏 石花 海參 絡蹄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512 B040512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鎭海郡邑誌 鎭海郡 土産 文魚 大口魚 石花 蜂蜜 沙魚 青魚 石首魚 海蔘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246 B030246 굴암 窟菴 문화 熊川郡邑誌 熊川郡 佛宇 聖興寺(在郡東十五里佛母山下) 窟菴(在聖興寺左邊上今爲草罷)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통해 17세기경에 지붕을 번와한 기록이 있고, 그 후 100여 년이 지난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영남지도에 최초로 묘장암이라는 사명이 등장한다. 대동지지, , 영해부읍지, 경상북도영해군읍지, 등 조선 후기의 문헌에는 묘장사라고 현 위치에 기록되어 있다. 특히...
    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농업기반공사영덕지부 | 발굴지역경상북도
  • 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서󰡕(1760), 󰡔󰡕, 󰡔영남읍지󰡕, 󰡔증보문헌비고󰡕(1908) 등의 지리지에서 그 내용이 확인된다. 광제산 봉수는 남쪽 망진산 봉수의 신호에 응하여 북쪽 입암산 봉수로 연결하는 중계소로 1425년 이전에 축조되어 있었던 것은 분명하나 그 시기는...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7)

  • / [지리/인문지리]

    조선 순조 때 편찬된 경상도 지지. 필사본. 편찬 시기는 호구·전부(田賦)·환적(宦蹟 : 벼슬에 있을 때의 행적) 등의 내용으로 볼 때 1833년경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경상도 관찰사의 명에 따라 각 군현에서 편찬한 읍지를 경상감영에서 수취, 책으로 꾸며 만든 읍지이

  • 봉화군읍지 / 奉化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봉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여지도서(輿地圖書)』·『()』·『영남읍지(嶺南邑誌)』 등에 수록된 것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

  • 고령 안림수 / 高靈 安林藪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림리에 있는 숲. 『』를 보면 ‘고령임수안림수좌현남십리(高靈林藪安林藪左縣南十里)’라는 기록이 있고, 『동국여지승람』에도 안림역(安林驛)이라는 역원(驛院)의 기록이 있다. 이 숲은 대가야읍에서 남쪽으로 4㎞ 되는 안림천(安林川)의 강가

  • 경산현읍지 / 慶山縣邑誌 [지리/인문지리]

    1832년(순조 32)에 편찬한 『』의 일부로 수록된 경상북도 경산현(지금의 경산시) 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慶山縣邑誌(경산현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영조 연간에 편찬된 『경산현읍지』 1책, 경상북도 『경

  • 동래부읍지 / 東來府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동래부(현 부산광역시 동래구)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東萊府邑誌(경상남도동래부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외에 영조 때 편찬된 『동래부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