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산현읍지”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2년(순조 32)에 편찬한 『경상도읍지』의 일부로 수록된 경상북도 경산현(지금의 경산시)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영조 연간에 편찬...

고서·고문서(3)

  •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785년(정조9) 무렵에 편찬된 경상도 경산현(慶山縣)의 읍지(邑誌)이다. 경산현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남산면, 남천면 일대에 해당되며, 읍치(邑治)는 삼남동, 삼북동 일대에 있었다. 경산은 본디 압량소국(押梁小國)으로, 신라 지미왕(祗味王, 지마왕)...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경상도(慶尙道)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749년(영조25) 무렵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경상도 경산현(慶山縣)의 읍지(邑誌)이다. 경산현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남산면, 남천면 일대이며, 읍치(邑治)는 삼남동, 삼북동 일대에 있었다. 경산은 본디 압량국(押梁國)으로, 신라 지미왕(祗味王, 지마...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경산군읍지(慶山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과 금포림(錦鋪林)의 위치를 적어 놓았다. 또 전결(田結)과 호구(戶口), 인구수는 1785년(정조9)경에 편찬된 『()』에 기록된 수치에 비해 대폭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읍지는 19세기 말 경산군의 실정을 파악하여 간략히 작성한 것...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1)

  • / [지리/인문지리]

    1832년(순조 32)에 편찬한 『경상도읍지』의 일부로 수록된 경상북도 경산현(지금의 경산시) 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영조 연간에 편찬된 『』 1책, 경상북도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