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리청” 에 대한 검색결과 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0)

사전(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있었다. 그런데 산성 안에 비축할 군량미가 5, 6만석이나 되어 그것을 썩지 않게 보관하면서 산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담관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아, 이듬해에 이 산성 안에 설치되었다. 당시의 은 활동이 활발하여서 군수미 확보면에서도 3...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문(軍門) 북한산성(北漢山城), 총융청(摠戎廳)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숙종~고종 양진석 [정의] 1712년(숙종 38)에 북한산성의 관리를 담당하기
    상위어군문(軍門) | 관련어북한산성(北漢山城), 총융청(摠戎廳)
  • 북한관성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의 곡물의 출납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무관직. [내용]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을 쌓은 뒤에 을 설치하고 곡물의 출납을 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성장 1인을 임명하였다. 처음...
    이칭별칭아병천총겸관성장(牙兵千摠兼管城將)|행궁소위장(行宮所衛將)|도별장(都別將)
  • 관성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의 정3관 직품. [내용] 정원은 1인으로 무관직이다. 북한산성의 방어와 관리를 담당한 책임자였다. 1714년(숙종 40) 산성 내 시설물의 관리와 성곽의 수비를 주관하기 위해 처음으로 별장(別將)이 파견되었는데...
  • 보령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적(糶糴)ㆍ전세(田稅)ㆍ대동(大同)ㆍ균세(均稅)ㆍ봉름(俸廩)ㆍ군병(軍兵)ㆍ책판(冊板)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형승조에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한 이경전(李慶全)의 시 8편이 수록되어 있고, 조적조에 군자창(軍資倉)ㆍ상평청(常平廳)ㆍ()ㆍ균역청...

고서·고문서(89)

  • 1714년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4년 6월 17일, 사노 안상이 에 7마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거래문서이다. 거래대금으로 동전 50냥을 받았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영암군, 해남군 소재 전 둔의 감관을 차정하여 보내니 작인들에게 엄칙하고 만약 거부하는 자가 있으면 잡아들여 속히 탁지부로 보고하여, 둔감으로 하여금 10월내에 요감 상납하게 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1719년 무안수세군관(務安收稅軍官) 서목(書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9년 1월, 무안수세군관이 함평, 나주, 영암, 해남의 세금을 걷는 와중의 제반 사항을 에 보고를 온린 문서이다. 이에 대해 은 29일에 처결을 적어 다시 내려보냈다.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서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平安道庄土文績_제12책 : 平安道永柔郡蘇湖垌所在庄土閔泳喆提出圖書文績類 50. 折衝尹貴成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6891 奎 19305 平安道庄土文績 제12책 : 平安道永柔郡蘇湖垌所在庄土閔泳喆提出圖書文績類 12-050 50. 折衝尹貴成 소지 1 44.4x73.4cm 한지, 관인(), 관리의 題音, 하단 일부 마모 1장,
    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何如? 文命曰, 五千石, 自江都運來, 五千石, 自他處推移, 則似好矣。 上曰, 何處可以推移乎? 文命曰, , 或可推移矣。 在魯曰, 見在米, 爲數萬石, 主管之臣, 以爲他處則固不可移用, 而若以地部經用之窘急取用, 則當許之云矣。 上曰, 數萬石, 豈云多乎? 前頭都下濟活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으로 생각되는 것들이다. 기형 상 큰 특징은 없고 내면 저부에는 소성과정에서 생긴 굽받침 자국이 있다. 태토는 모두 정선되었고 소성도도 양호하다. 옹기편은 저부편으로 유약이 발리지 않은 소형이다. 상평통보는 순조 39년(1830) 이후 에서 주조한 것이다. 목재는...
    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동아대학교 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북한산성의 관리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이 축성되자 축성에 참가한 3군문, 즉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에서 감관을 파견하여 산성을 분담, 관리하도록 하는 조처가 있었다.

  • 북한관성장 / 北漢管城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의 곡물의 출납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무관직.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을 쌓은 뒤에 을 설치하고 곡물의 출납을 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성장 1인을 임명하였다. 처음에는 병사나 수사의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 계청, 임명하여 행궁소위장

  • 남정록 / 南征錄 [역사/근대사]

    백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천도교서. 회고록. 『남정록(南征錄)』의 내용과 소장자로 미루어 저자는 백낙완(白樂浣, 1845∼?)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저자가 대관(隊官)으로 임명된 1893년부터 을 사직한 1896년까지의

  • 관성장 / 管城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의 정3품 관직. 정원은 1인으로 무관직이다. 북한산성의 방어와 관리를 담당한 책임자였다. 1714년(숙종 40) 산성내 시설물의 관리와 성곽의 수비를 주관하기 위해 처음으로 별장이 파견되었는데, 당시에는 종2품 무관 가운데에서 명망 있는 자를 선임

  • 군무아문 / 軍務衙門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설치된 군사에 관한 일을 담당한 중앙행정부서. 군무아문은 그 이전의 병조와 연무공원, 총어영, 통위영, 장위영, , 호위, 훈련원, 군직청, 용호영, 기기국, 선전관청, 수문장, 부장청 등의 관장업무를 포함하여, 전국 육해군정을 통할하는 부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