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도잡지” 에 대한 검색결과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9)

사전(15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유득공이 지은 세시풍속지. 규장각도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지은 세시풍속지.
    정의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지은 세시풍속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yeongdo japji | MR표기Kyŏngdo chapch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느티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후기의 『()』부터 나오고 있다. 농가의 살림을 노래한 「농가월령가」의 사월령에도 “파일(八日) 현등함은 산촌에 불긴(不緊)하니 느티떡 콩찐이는 제때의 별미로다.ㆍㆍㆍㆍㆍㆍ”라고 하며 초파일의 절식에 관하여 노래하고 있다. 만드는...
    이칭별칭유엽병
  • 담배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담배를 담는 용기. [내용] 한자어로는 연합(煙盒)이라 하며, 담배서랍ㆍ초합(草盒) 등으로도 불린다. 조선시대 중기에 담배가 수입되면서 퍼지기 시작한 담배합은 목재ㆍ석재ㆍ금속재 등으로 만들어 그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다. 『...
    이칭별칭연합|담배서랍|초합
  • 머슴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면서 농사일을 준비해야 한다. 그래서 고된 일이 시작되기에 앞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여 즐겁게 놀도록 하는 것이다. 일꾼 머슴에게 돈을 주어 쓰도록 하며, 음식을 장만해서 배불리 먹고 취흥에 젖도록 한다. 『()』에 의하면, 이날 정월대보름에...
    이칭별칭노비일|일꾼날

고서·고문서(4)

기초학문(2)

  • 연구--저술 과정과 이본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윤조, 게재일 : 2011
    39799 김윤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한문학회/동양한문학회 2011 연구--저술 과정과 이본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유득공 󰡔󰡕 윷점의 易哲學的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채우, 게재일 : 2012
    40168 임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학연구원 2012 유득공 󰡔󰡕 윷점의 易哲學的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8)

  • / [생활/민속]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세시풍속지. 2권 1책. 필사본. 완성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내용으로 보아 정조 때 쓰여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같은 세시기(歲時記)인 ≪열양세시기 洌陽歲時記≫·≪동국세시기≫ 보다 먼저 집필된 것이다.제1권 풍속에는 건복(巾服

  • 가래떡 / [생활/식생활]

    멥쌀로 둥글고 길게 만든 떡. 흰떡[白餠]·권모(拳模)라고도 한다. 흰떡이란 말은 『』·『동국세시기』 등에 보이고 있다. 『』에서는 “멥쌀로 떡을 만드는데, 치고 비벼 한 가닥으로 만든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래떡은 멥쌀가루를 시루에 쪄서

  • 느티떡 / [생활/식생활]

    쌀가루에 느티나무의 잎을 넣어서 찐 시루떡. 유엽병(楡葉餠)이라고도 하며, 사월초파일에 먹는 절식의 하나이다. 석가탄신일인 사월초파일에 연등을 하며 축하를 하였다는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오고 있으나 이날 먹는 음식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 후기의 『()』

  • 동국세시기 / 東國歲時記 [생활/민속]

    기증함으로써 1911년 김매순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유득공의 <()와 합본하여 최남선이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 유득공 / 柳得恭 [역사/조선시대사]

    풍천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영재집(泠齋集)』·『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앙엽기(盎葉記)』·『사군지(四郡志)』·『발해고(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