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기체가”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57)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사대부층이 한문투로 지어 부른 별곡(別曲)체의 시가형식.
    정의고려시대 사대부층이 한문투로 지어 부른 별곡(別曲)체의 시가형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yeonggichega | MR표기kyŏnggich’eg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관동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30년(충숙왕 17) 안축(安軸)이 지은 .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근재집(謹齋集)』 권2에 전한다. 작자가 49세 때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및...
  • 안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82(충렬왕 8)~1348년(충목왕 4). 고려 후기 문신‧문인.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할아버지는 희서(希諝), 아버지는 석(碩)이며 어머니는 안성기(安成器)의 딸이다. 「관동...
    이칭별칭 당지(當之)| 근재(謹齋)| 문정(文貞)
  • 엄연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 [구성 및 형식] 전 7장. 1541년(중종 36)부터 1544년까지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 지었다. 『죽계지(竹溪誌)』와 『무릉잡고(武陵雜稿)』 별집 권8에 수록되어 있다. [...
  • 상대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에 권근(權近)이 지은 () 형식의 가요. [내용] 조선 초기에 권근(權近)이 지은 () 형식의 가요. 총 5장.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주로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

고서·고문서(1)

  • 관동기행(關東記行)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세 왕의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작품에 인 「관동별곡」과 「죽계별곡」, 저술로 󰡔근재집󰡕이 있다.이 쓴 기문이 봉우리를 가로질러 우뚝하게 바다를 바라보고 있었다. 봉우리의 벼랑에 매달린 바위는 빗살처럼 서서 마치 네모난 기둥 같았으며, 둘레는 사방 1척 정...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임홍량(任弘亮)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1)

  • 16세기 후절의 분리 독립 양상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류속영, 게재일 : 2010
    41322 류속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16세기 후절의 분리 독립 양상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25)

  • /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 장가(長歌)의 한 형태.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계속된 시가형태이다. 대부분 ‘경(景)긔엇더니잇고’ 또는 ‘경기하여(景幾何如)’라는 구절이 제4·6구에 있어서 붙여진 장르상의 명칭이다.

  • 기우목동가 / 騎牛牧童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승려 지은(智訔)이 지은 . 작자가 그의 ≪적멸시중론 寂滅示衆論≫을 12장의 장편 로 지은 것으로, ≪적멸시중론≫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의 생몰년은 확실하지 않다. ≪적멸시중론≫의 말미에 의하면 대시주명(大施主名) 다음의 증명(證明)에서 효

  • 독락팔곡 / 獨樂八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 제목에는 8곡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7곡만이 작자의 문집인 『송암별집 松巖別集』에 수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가운데 가장 마지막 작품이어서 주목된다. 1860년(철종 11)에 민규(閔圭)가 지었다

  • 화전별곡 / 花田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의 문신 김구(金絿)가 지은 . 작자의 문집인 『자암집(自菴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남해도(南海島)로 유배되어 갔을 때 그곳의 뛰어난 경치와 향촌(鄕村)의 인물들과 어울려 풍류를 즐기던 정서와 감회를 노래하였다. 이 작품은 총 6장(章)으로

  • 화산별곡 / 華山別曲 [문학/고전시가]

    1425년(세종 7)변계량(卞季良)이 지은 . 총 8장.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서 악장문학에 속한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종실록』과 『증보문헌비고』에도 소개되어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5년에 지은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