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기우도”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6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하였다가 충숙왕 때 양광도(楊廣道)로 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 처음으로 경기를 갈라 좌도ㆍ우도로 나누고 도성에서 바라볼 때 경기의 오른쪽 지방을 라 하였다. 1413년(태종 13) 좌도ㆍ우도를 합하여 경기도로 하고 관찰사를 두었...
  • 급주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각 역에 소속된 급주노(急走奴)에게 주어진 토지. [내용] 급주노는 역노(驛奴)로 충원되는데, 공무의 수행상 여행하는 관인(官人)의 역마를 견인하거나 긴급한 공무의 전달을 맡는 자였다. 1424년(세종 6) ()와...
  • 평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272년(원종 13) 복흥군(復興郡)을 합쳤다가 충렬왕 때 이를 다시 나누었다. 1391년(공양왕 3)()에 예속되었다가 1394년(태조 3)황해도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평산도호부(平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 동파역(東坡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파역 동파역 東坡驛 영서도(迎曙道) 동파참(東坡站) 청교도(靑郊道), 통파역(通波驛), 정역(程驛), 전운노비(轉運奴婢),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사행로(使行路),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
    상위어영서도(迎曙道) | 동의어동파참(東坡站) | 관련어청교도(靑郊道), 통파역(通波驛), 경기우도정역(京畿右道程驛), 전운노비(轉運奴婢),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사행로(使行路),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장단부(長湍府)
  • 청교역(靑郊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교역 청교역 靑郊驛 영서도(迎曙道) 개성(開城), 정역찰방(程驛察訪), 보정문(保定門), 역도(驛道), 역로(驛路), 청교도(靑郊道) 경제교통/육운 집단 기구 개성 조선 정요근 고...
    상위어영서도(迎曙道) | 관련어개성(開城), 경기우도정역찰방(京畿右道程驛察訪), 보정문(保定門), 역도(驛道), 역로(驛路), 청교도(靑郊道)

고서·고문서(14)

  • 3295 B003295 강도 江都 정치행정 仁祖實錄 十五年(1637) 正月 인조실록_11501017_003 ○以李敏求爲觀察使。【時, 敏求以檢察副使, 方在江都。】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037 B01503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世祖實錄 二年(1456) 二月 세조실록_10202010_001 ○己酉 / 點馬別監趙淸老啓: “江華府鎭江、中塲、吉祥三牧場連設, 各設木柵限隔, 逐年修治, 功役不息, 馬亦越逸相混, 牧子難別, 以致爭訟, 請合三場爲一。”...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357 B032357 길상산 吉祥山 산악 世宗實錄 五年(1423) 五月 세종실록_10505021_004 ○各牧場臨津、無知串、江華、鎭江山、北一串、吉祥山、煤島、注叱文島、信島牧養雌雄馬, 總計一千六百四十二匹內, 今年孶息二百八十八匹。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命罷職。 踏檢災傷, 以定年分, 爲任至重, 不可不擇。 全羅左道尹勉, 李憙, 名論素輕, 請竝命改差。” 答曰: “依啓。”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343 B039343 달산 達山 산악 京畿道邑誌 水原郡邑誌 水原郡 古蹟 八達山[주:在府西李學士皐驪州人官至集賢殿提學見麗末政亂退去光敎山南麓塔山恭讓王遣中使問所樂何事對以宅背有小山處於野中四通八達登臨四望無壅蔽是爲最樂蓋寓諷意也入我朝太祖大王二年以按廉使屢徵不起太祖命圖畵所居...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지리/인문지리]

    으며, 1390년(공양왕 2) 처음으로 경기를 갈라 좌도ㆍ우도로 나누고 도성에서 바라볼 때 경기의 오른쪽 지방을 라 하였다.

  • 유습 / 柳濕 [종교·철학/유학]

    1367(공민왕 16)∼1439(세종 21).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고려 말 시중 탁이다. 음보로 합문인진사가 되었고, 조선건국 후 태조의 꿈에 탁이 나타나 그의 아들에게 관직을 줄 것을 청하였다 하여 과의상장군에 특진되었다. 도총제, 개천도감제

  • 조세창 / 漕稅倉 [경제·산업/산업]

    조운할 전세를 보관하는 창고. 초기의 조창은 아래 세주에 명기되었다. 그 가운데 황해도의 금곡포창과 조읍포창 등은 수운판관이 겸하는 벽란도승의 관장 아래 수참선으로 전운되었다. 금곡포창은 배천군의 동쪽 20리에 소재하며, 배천·해주·연안·풍천·강령·옹진·장

  • 김영렬 / 金英烈 [종교·철학/유학]

    ?∼1404(태종 4). 조선 전기의 무신. 1394년에 전서로 있던 중 그해 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1395년에 수군절제사로 발탁되었다. 1400년(정종 2)에 지삼군부사로 있을 때에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태종을 왕위에 오르게 한 공으로, 14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