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기감영도”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서대문 밖의 지역 모습을 그림을 그리듯이 쉽고 생생하게 그린 작품으로, 지도와 회화를 결합시킨 회화식 명품 지도 중의 하나이다.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병풍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물 제1394호. 인왕산의 연봉들 아래로 넓게 펼쳐진 서대문 밖 경기감영(京畿監營)의 풍경을 12폭의 화폭에 담아낸 병풍.
    정의보물 제1394호. 인왕산의 연봉들 아래로 넓게 펼쳐진 서대문 밖 경기감영(京畿監營)의 풍경을 12폭의 화폭에 담아낸 병풍.[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광부표기Gyeonggi Gamyeong Do Byeongpung | MR표기Kyŏnggi Kamyŏng To Pyŏngp’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계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고, 중국에 비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은 주나 치밀성은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기법으로 그려진 대표작으로는 한시각(韓時覺)의 <북새선은도 北塞宣恩圖>, 김홍도(金弘道)의 <삼공불환도 三公不換圖>, 작가 미상의 < >와 <동궐도 東闕圖> 등이 있...
  • 서궐도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궐도(東闕圖)」나 「()」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던 표현법이다. 앞뒤의 깊이 감은 45°기울인 투시선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거의 모든 건물이 제왕의 거처답게 남향을 하고 있어서 건물의 정면(남면)과 우측면(동면)만 볼 수 있도록 그려져 있다.
  • 서지(西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록』 20년 2월 21일]. 「()」를 보면, 서지 가운데에 원도가 있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길지혜 외, 「조선시대 한양도성 연지(蓮池)의 입지 및 공간적 특성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권 4호, 2015.
    관련어모화관(慕華館), 숭교사(崇敎寺)

주제어사전(1)

  • / [지리/인문지리]

    연대·작자 미상의 경기도 관찰사영 지도. 12폭의 채색필사본 병풍. 세로 136cm, 가로 444cm. 그림의 회화적 기법 등으로 보아 1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재의 경기도청에 해당하는 경기감영(京畿監營)과 그 주변지역의 자연환경, 건물, 인물,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