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경교장”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양극장 건너편, 지금의 종로구 평동 208번지 고려병원 자리이고, 면적은 연건평 265평(지상 2층, 지하 1층)이었다. 1938년 완공 당시 그 일대가 죽첨정(竹添町)이어서 건물 이름이 ‘죽첨장(竹添莊)’이었으나, 김구가 이라 개명하였으며, 정치활동이 본격화되...
    이칭별칭첨장(竹添莊)|서대문 경교장
  • 김세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인계받았다. 이 시기에 그가 참여하였던 순수 건축설계 작품으로는 동덕여자고등학교 교사 일부와 강당, 1938년의 최창학저택 ( : 지금의 삼성강북병원)이 있으며, 옛 중동중고등학교‧휘문고등학교와 풍문여자중고등학교 등의 학교교사 일부가 있다.
  • 안두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4발의 총탄으로 김구를 암살하였다. 1949년 8월 5일 국방경비법 위반으로 중앙고등군법회에서 종신형의 선고를 받았으나 같은 해 11월 국방장관신성모(申性模)가 육군참모총장 채병덕(蔡秉德)의 상신을 받아들여 징역15년으로 감형되었다. 서울육군...
  • 엄항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으며, 1944년에는 하였다. 1945년 11월 23일 임정요인의 제1진으로 환국하여 ()을 중심으로 조완구(趙琬九)와 함께 김구의 유일한 측근으로 김구를 보좌하였으며, 문장에 뛰어나서 김구 명의로 발표하는 모든 성명이나 국민에게 발표하...
    이칭별칭 일파(一波)
  • 강북삼성병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 자리에서 고려병원이란 이름으로 개원하였으며, 당시 의료진은 국내 유수 대학의 교수 중 심장질환‧소화기질환‧대장질환‧여성 암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영역 개척에 노력한 중진들로 팀워크를 갖추었다. 또한 장비면에서도 감마스캐너,...

고서·고문서(9)

  • , 皆宜節損, 如年例歲缺固是浮文末節, 而卽今則尤不可不停罷也。 上曰, 今年則歲缺停罷, 可也。 擧行條 載崇[載嵩]曰, 伏見公洪監司尹啓, 則領府事宋時烈處, 月廩輸送, 則只受鹽與乾魚, 穀物則留置於其近處曰, 當待窘乏時取用云, 蓋其意難於每每不受, 有此待乏取用之語, 似將有別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301 중국 문집 동강속집 001 기타 桐江續集29 海東青賦 大徳三年己亥七月十三日 皇帝命榮祿大夫髙公興爲浙江等處行中書省平章政事 五年辛丑二月十九日 驛使爰來 有海東青之賜 於杭之錢塘門外昭遺基 築亭鑿池以養之 紫陽方回撰賦一首拜手稽首言曰詩不云乎涼彼武...
    국가중국 | 서명동강속집 | 왕대기타  
  • 雙井丁家山小丁家山橋 高麗寺側曰惠因橋 淨慈寺北慶樂園前曰長橋錢湖門外沿城海子口隅下曰淸化橋淸波門外流福水路橋聚景園前曰聚景橋顯應觀前曰顯應觀橋湧金門外城北水口上曰相國西橋九曲小渡咸淳新建橋曰九曲昭慶橋大昭慶寺前曰昭慶廣濟橋寺西寨前曰策選寨橋昭西曰教塲橋教塲橋北曰崇福橋霍山大路口曰羊坊橋霍山行...
    국가중국 | 서명몽양록 | 왕대기타  
  • 추안급국안 : 신유년(1681, 숙종 7) 박상한(朴相漢)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334 009 辛酉 朴相漢推案單 신유년(1681, 숙종 7) 박상한(朴相漢) 신문기록 ○ 흉악한 제문에 대한 공청 감사의 보고서 康熙二十年六月初八日成貼公淸監司尹啓卽接淸安 縣監朴一開牒呈內兼任淸州牧祈雨祭設行次以祭文使儒生製 述是如乎同祭文製述一度乙送來爲有去...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9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榮)見贈韻 (1952), 山城五老會次尹樺田韻, 次鵝湖亭重 建韻, 家姪正熙之任聞慶也鄕儕友會餞有贈韻 聊以和寄, 挽林庚友, 病中無寐謾成二絶, 病中 呈肯堂調几, 次肯堂見寄韻, 挽柳德升(宗黙), 李元與丁魯叟(泰鎭)高文一高載卿(永 泰)共賦, 李右尹墓道竪碣時會席韻, 全州柳孝...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기타자료(2)

  • 13. Translation No. 1,069 : 기록자료, 1948.04.09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동신문, 자유신문, 한성신문, 서울신문, 현대일보, 경향신문 등을 포함하고 있음. 경향신문(1948/04/03) : 평양회담 어떻게 될 것인가. 남북정치협상 지도자들 에서 심야까지 논의. 이들은 김규식, 홍명희, 이극노, 김붕준, 김구 등 Kore...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수신자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Office of the A.C. of S., G-2, Language and Document Section
  • 38. Translation no. 1,118:기록자료, 1948.06.07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동신문, 자유신문, 한성신문, 서울신문, 현대일보, 경향신문 등을 포함하고 있음. 동아일보(1948/05/29) 보도 자료: 남북 지도자 협상 성공 못할 것임. 김구, 김규식을 비롯한 남북협상 추진자들은 단선, 단정 반대. 이들은 6월 1일 에서 중요 문제를 토...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수신자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Office of the A.C. of S., G-2, Language and Document Section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정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가 1945년 11월 중국에서 환국한 이래 생애를 마칠 때까지 생활하던 사저. 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인들뿐만 아니라 민족진영 인사들의 집결처로, 김구가 주도하는 반탁, 건국, 통일운동의 민주적 총본산격이어서 이승만의 돈암장 혹은

  • 김구 암살사건 / 金九暗殺事件 [정치·법제/정치]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에게 권총으로 살해된 사건. 1949년 6월 26일 오전 11시 30분경 육군정복 차림의 안두희는 김구가 거처하던 을 방문하여 면회를 요청, 김구를 만나자 권총을 쏘아 살해했다. 안두희는 현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