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겸전의”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태의원(太醫院)의 의관(醫官). [내용] 1894년 종래의 내의원을 태의원으로 개편하면서 두었다. 정원은 4인이며, 직급은 판임관으로 주임관인 전의의 하위직이었다. 1895년 관제개정 때 전의보(典醫補)로 개칭되었다...
    이칭별칭전의보(典醫補)
  • 노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5(헌종 1)∼? 대한제국시대의 의관(醫官). [내용] 1898년 7월 태의원(太醫院)가 되었고, 같은 해 9월 고종의 병을 치료하여 회복되자 상금을 받았다. 1902년 7월 태의원전의보(太醫院典醫補) 판임관...
  • 방사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말 조선 초의 의원. [내용] 1391년(공양왕 3) 3월에 시승(寺丞)으로서 시무(時務) 11조를 올렸다. 1399년(정종 1)에 간행한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과 『신찬집성마의방우의방(新...
  • 윤자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8(고종 5)∼1939. 조선 말기의 의병장ㆍ독립운동가ㆍ종교인. [내용] 일명 자신(滋新)ㆍ내경(來卿). 충청남도 예산 출신. 1891년(고종 28)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을 지냈다. 병서와 경서를 두루 섭렵한 문무 지장(智...
    이칭별칭자신(滋新)|내경(來卿)
  • 허백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지를 보인 시‧서‧화 전형적 남종화가로서 호남 서화계의 상징적 거봉으로 추앙되었다. 1973년에 대규모 회고전이 서울에서 동아일보사에 의하여 개최되었다. 『의재허백련(毅齋許百鍊)-작품(作品)과 생애(生涯)-』(전남일보사, 1...
    이칭별칭 의재(毅齋)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태의원 의관. 1894년 종래의 내의원을 태의원으로 개편하면서 두었다. 정원은 4인이며, 직급은 판임관으로 주임관인 전의의 하위직이었다. 1895년 관제개정 때 전의보로 개칭되었다가 1896년에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