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겸교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36)
- 겸교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겸교수로 고치고 시종(侍從 : 3사‧예문관 등의 하급관리로서 사관을 겸하는 왕의 측근 신하)으로서 겸직시켰다. 숙종 때 이원정(李元楨)의 건의로 폐지하였다가 뒤에 다시 부활시켰다. 시종의 겸교수제는 유능한 인재를 보내어 4학의 교육을 활성화하고자...
- 겸교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호조‧형조‧관상감‧사역원‧혜민서(惠民署)의 관직. [내용] 사역원의 한학(漢學 : 중국어)겸교수(2인)와 혜민서의 의학 겸교수(1인)는 조선 초기부터 설치되어 있었고, 호조의 산학(算學) 겸교수(1인), 형조의 율학(律學) 겸...
- 겸교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호조‧형조‧관상감‧사역원‧도화서‧사학(四學) 등에 둔 종6품 관직으로 각 관청에서 필요한 기술을 가르쳤던 직책.정의조선시대 호조‧형조‧관상감‧사역원‧도화서‧사학(四學) 등에 둔 종6품 관직으로 각 관청에서 필요한 기술을 가르쳤던 직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yeomgyosu | MR표기kyŏmgyos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명과학겸교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에 소속된 종6품의 교관. [내용] 음양학의 하나인 명과학의 교육을 담당하던 교관의 하나이다. 이 관직은 ≪경국대전≫ 반포시까지만 해도 없었던 것이었으나, 중종초에 1인이 설치되어 ≪속대전≫에 수록되어 있다. ...
- 율학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는 율학교수(律學敎授, 종6품)‧겸교수(兼敎授, 종6품)‧명률(明律, 종7품)‧심률(審律, 종8품)‧율학훈도(律學訓導, 정9품)‧검률(檢律, 종9품) 등이 있었다. 그리고 각 지방에 검률과 율학훈도를 배치하여 지방에서도 율학교육을 실시하였다. 율학생의 정원은...
고서·고문서(10)
- 대정학교(大靜學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3866 B043866 대정학교 大靜學校 사회교육 太宗實錄 十八年(1418) 夏四月 태종실록_11804018_002 ○復差濟州儒學敎授官。 禮曹據濟州牧官呈上言: “州及任內儒生二百餘人, 詞訟雜務煩劇, 雖以判官兼敎授官, 實難敎訓。 請依前例, 別差敎授官, 旌義、大靜學校,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是矣。 上曰, 王令當信, 旣已定製之後, 今番下敎, 關係則大, 前後處分中, 特寢妻孥下敎事, 卽爲分付。 出傳敎 上曰, 漢·學兼敎授, 率訓上譯官及年少譯官中, 漢淸學各二人, 持文語入侍。 出榻敎 澤孚承命出來, 與漢學兼敎授洪相簡·金夏材, 漢學訓上洪大成·金弘喆, 淸學訓上李惠迪, 漢...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于京, 取米、醬, 兼招輸石物人口。○畢刻碣。 1536년 4월 16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4536 B044536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年 9月 30日_037 ... 之遲滯, 誠極駭然, 此則灣尹宜有別樣申飭, 以此分付,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尙喆曰, 譯院方有擧行之事, 前漢學兼敎授沈念祖·鄭志儉, 還差,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배량(加背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司畜別提安釴, 崇陵參奉趙祺錫, 忠淸都事趙祉錫, 慶尙右兵使白瑞翰, 中部主簿朴世寶, 蛇梁萬戶宋必興, 呂島萬戶李世寬, 典籍羅瑄許垕·金正夏, 同知尹深, 禮賓別提金以昌, 知事權愉, 加背梁萬戶呂夢天, 監察姜相周, 同春秋吳挺緯, 副摠管靑川君濂, 唐浦萬戶鄭時昌, 西學兼敎授權瑍, 忠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겸교수 / 兼敎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한성부 4학의 종6품 관직. 조선 초기의 4학에는 각기 교수 2인, 훈도 2인을 두고 성균관의 전적 이하 관원이 겸직하게 하였다. 그러나 1654년(효종 5) 김익희의 건의로 교수 1인을 겸교수로 고치고 시종(侍從)으로 겸직시켰다.
-
명과학겸교수 / 命課學兼敎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상감에 소속된 종6품의 교관. 음양학의 하나인 명과학의 교육을 담당하던 교관의 하나이다. 이 관직은 ≪경국대전≫ 반포시까지만 해도 없었던 것이었으나, 중종초에 1인이 설치되어 ≪속대전≫에 수록되어 있다. 그 뒤 ≪대전통편≫에는 보이지 않다가 ≪대전회통≫에
-
경외학교절목 / 京外學校節目 [교육/교육]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제1조는 교원의 선임에 관한 것으로, 문관 중에서 학문과 행동이 모범이 될만한 사람이나 경학(經學)에 정통한 사람을 각각 선임하여, 성균관에는 종3품인 사성(司成)부터 정6품인 전적(典籍)까지의 직위에 한 사람씩을, 사학에는 겸교수(兼敎授) 한 사
-
사학합제 / 四學合製 [교육/교육]
조선시대 사학 유생들의 학업권장을 위하여 실시하였던 과거. 1659년(효종 10) 사학 및 동재의 원점법 및 제술지규가 많은 폐단이 있어 폐지, 학관 및 겸교수가 매계절마다 한번씩 순회하여 유생을 모아 고강과 제술시험을 실시하였다. 4기 동안 ≪소학≫·사서로 40인
-
율학청 / 律學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청을 설치하였다. 율학청의 관원으로는 율학교수(종6품)·겸교수(종6품)·명률(종7품)·심률(종8품)·율학훈도(정9품)·검률(종9품)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