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결역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5)
- 결역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러한 물건들은 현물로 직접 납부하는 대신 토지세에 부가하여 징수하도록 했는데, 거기에서 ‘잡역가’ 내지 ‘결역가’의 명칭이 나오게 되었다. 처음에 그 액수가 얼마였는지는 지방 수령의 임의 징수에 맡겼으므로 분명하지 않다. 대개 18세기 초인 숙종 말에 이미 치...
- 잡역가(雜役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잡역가 잡역가 雜役價 잡역(雜役) 결역가(結役價), 호역가(戶役價) 민고(民庫), 잡역세(雜役稅), 대동법(大同法) 경제재정/잡세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광해군~고종 김덕진 [정의] 조선...상위어잡역(雜役) | 하위어결역가(結役價), 호역가(戶役價) | 관련어민고(民庫), 잡역세(雜役稅), 대동법(大同法)
- 잡역세(雜役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잡역세 잡역세 雜役稅 잡역(雜役) 결역가(結役價), 호역가(戶役價), 결역미(結役米), 결역전(結役錢), 호역미(戶役米), 호역전(戶役錢) 잡역미(雜役米), 잡역전(雜役錢), 잡역조(雜役條) 대동법(大同法), 지방 재정(地方財政), 잡역...상위어잡역(雜役) | 하위어결역가(結役價), 호역가(戶役價), 결역미(結役米), 결역전(結役錢), 호역미(戶役米), 호역전(戶役錢) | 동의어잡역미(雜役米), 잡역전(雜役錢), 잡역조(雜役條) | 관련어대동법(大同法), 지방 재정(地方財政), 잡역가(雜役價), 사정(四政)
- 양역(良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균부균역(均賦均役)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결포론은 군포의 완전한 폐지와 결포의 전면적인 실시를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 단지 2필인 군포 부담을 1필로 감하고 그 대신 각 읍의 결역가로 부족해진 재정을 보충하자는 내용이었다. 이상과 같은 대변통론은 당시...상위어군역(軍役) | 관련어양역변통(良役變通), 군제변통론(軍制變通論), 유포론(遊布論), 호포론(戶布論), 구포론(口布論), 결포론(結布論), 균역법(均役法)
- 공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특정한 공물 자체에 대한 역가가 있었다. 그러한 역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각공역가(各貢役價)‧채소계역가(菜蔬契役價)‧압도계역가(鴨島契役價)‧사복시초공역가(司僕寺草貢役價), ② 군자감‧광흥창‧풍저창의 전세(田稅), 사도시공인(司導寺貢人)의 지배(地排...
고서·고문서(4)
- 구관조사(영광‧담양‧무안‧부여‧공주)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1926년(대정 15) 중추원 참의 한영원(韓永源)이 1926년 2월 22일부터 3월 2일까지 전라남도 관내의 영광, 담양, 무안군과 충청남도 관내 부여, 공주군에서 구관조사를 목적으로 출장하여 그 결과를 3월 25일에 보고한 복명서이다.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문충집_文忠集 권169 泛丹遊山錄3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翻銀漢浪冷下太古雪跳波落丹井勢殺聲自歇散漫歸平川與世濯煩熱飛梁瞰靈碧洞視竦毛髪連峰翳層隂老木森羽節洪崖古仙子煉秀搗殘月丹成已蟬蜕井臼見遺烈我亦辭道山浮盃愛清絶攀松一舒嘯靈風被林●尚想騎雪精重來飲芳㓗亦佳作也前登長老應通廬陵人過其寮飲湯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 戊寅은 乾道丁亥十...국가중국 | 서명문충집 | 왕대의종(毅宗) 21
- 화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순천부사로 있을 때 어떤 卿宰의 권유를 받고 지은 글이라고 하였고, 글 머리에 良役 變通을 거행한다는 소식을 듣고 지방에서 인근 수령들과 반복 상의하고 경내 품관들에게 상황을 탐문하여 관견을 열거하였다고 밝혔다. 서울 各司와 지방 각 營門의 운영, 結役價의 징수, 불법...분야문학 | 유형문헌
- 出使條款章程並吏部保舉限制(出使에 관한 條款章程 및 吏部의 保擧 제한)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立限給假休息三載考績卓異遞升出使大臣有缺亦可於參贊中遴員請 簡各節臣等查向章出洋參贊隨員三年期滿照異常勞績給獎其到差不能勝任者隨時遣撤回華均由出使大臣奏請黜陟誠以使臣遠涉殊方必須與隨使各員指臂相聯畀以舉察之權方獲贊襄之效但恐瞻徇遷就任使不得其人亦不免轉滋 32면 流弊是以臣部屢經釐訂章程限...문서명出使條款章程並吏部保舉限制(出使에 관한 條款章程 및 吏部의 保擧 제한) | 자료생산外務部 | 관련인물許臺身
주제어사전(1)
-
결역가 / 結役價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토지에 부과하던 부가세. 법정 세금으로 전세·대동미·삼수미·결전 및 거기에 따른 수수료 등이 징수되었으나, 그와 별도로 지방 관서의 여러 가지 비용 마련을 위해 징수하는 부가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