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결송입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입안
연구성과물(25)
사전(9)
- 결송해용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민사소송인 사송(詞訟)에서 승소자가 판결서인 결송입안(決訟立案)을 발급받기 위해서 관아에 납부하던 백지수수료(白紙手數料). [내용] 일명 ‘작지(作紙)’라고도 하였다. 처음에는 전답‧가사(家舍)‧노비에 관한 소송에서 소...
- 결송(決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결송 결송 決訟 형조(刑曹), 한성부(漢城府), 장례원(掌隷院), 사헌부(司憲府), 결송입안(決訟立案), 결송법(決訟法) 정치사법/재판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강석화 [정의]관련어형조(刑曹), 한성부(漢城府), 장례원(掌隷院), 사헌부(司憲府), 결송입안(決訟立案), 결송법(決訟法)
- 이문잡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각종 서식(書式)의 이두문(吏讀文)을 모아 간행한 이두학습서. [내용] 목판본. 보장식(報狀式)‧소지식(所志式)‧상언식(上言式)‧중수동추식(重囚同推式)‧결송입안식(決訟立案式)‧매득사출식(買得斜出式)‧이관하체식(移關下帖式) 등
- 한국법제사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3장 재판의 제도와 기능은 부동산소송법, 현종 2년의 한성부(漢城府) 결송입안(決訟立案), 재판제도의 근대화, 변호사 및 사법서사제도의 연혁을 다루고 있다. 제4장 가족법편도 솔서혼속(率婿婚俗)에 유래하는 친족과 금혼범위(禁婚範圍), 이성계후(異姓繼...
- 유서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종, 문권류(文券類) 서식 6종, 통문투(通文套) 1종만 수록되어 있고, 현재 전하고 있는 중간본에는 목록에도 보이지 않는 방각본(坊刻本) ≪이문잡례 吏文雜例≫에서 옮겨 실은 <이두휘편 吏讀彙編>과 보장식(報狀式)‧서목식(書目式)‧중수동추식(重囚同推式)‧결송입안식(決訟...이칭별칭신식유서필지
단행본(1)
- 조선시대 결송입안집성 [조선시대 결송입안(決訟立案) 집성 - 탈초 및 역주 | 연세대학교]저자 : 심희기, 박경, 손경찬, 이혜정, 한효정, 김경숙, 김현영, 한상권, 권이선, 김...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220225이 책(조선시대결송입안집성)은 조선시대 결송입안에 대한 2021년 현재 대한민국 학계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적 성과물이다. 이 집성에 포함된 결송입안은 70개이다. 더 많은 결송입안이 수집되었지만 결락缺落이 너무나 심하여 내용을 전달하기 어려운 것은 최종단계에...
고서·고문서(13)
- 결송입안(訣訟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임경수(林慶秀) 결송입안(訣訟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고맹필(高孟弼) 결송입안(訣訟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600년대 전반 결송입안(決訟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560년 손광현(孫光晛) 결송입안(決訟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60년(명종15) 경주부(慶州府)에서 피고 손광현(孫光睍)에게 내려준 소송 판결문이다. 이 소송은 손광현의 계조모가 되는 최씨(崔氏: 1483~1545)의 친정집에서 그녀의 상속재산을 돌려달라고 제소하면서 시작되었다. 최씨는 손중돈(孫仲暾: 1...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기초학문(1)
- 16세기의 결송입안과 소송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상혁, 게재일 : 200312894 임상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3 16세기의 결송입안과 소송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6유형논문 | 게재일2003
연구결과보고서(1)
- 조선시대 결송입안(決訟立案) 집성 - 탈초 및 역주 [조선시대 결송입안(決訟立案) 집성 - 탈초 및 역주 | 연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연구과제(1)
-
조선시대 결송입안(決訟立案) 집성 - 탈초 및 역주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심희기 | 연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
-
결송입안 / 決訟立案 [정치·법제/법제·행정]
어떤 소송사건에 대한 판결문. 결송입안의 내용은 당해 사건에 대한 판결의 의사표시만을 기입하지 않고 원고·피고의 소지(所志)와 제출된 증거의 전부를 소송진행순서에 따라 기입하고 말미에 판결사항을 기입하였으므로 매매·상속의 입안보다 훨씬 장문이었다.
-
이문잡례 / 吏文雜例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각종 서식(書式)의 이두문(吏讀文)을 모아 간행한 이두학습서. 보장식(報狀式)·소지식(所志式)·상언식(上言式)·중수동추식(重囚同推式)·결송입안식(決訟立案式)·매득사출식(買得斜出式)·이관하체식(移關下帖式) 등 7종의 서식이 실려 있다. 부록으로 이상국거관훈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