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결두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결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결두전으로 거두었다. 이것은 전결(田結)의 세율을 인상시킨 것이었는데, 그래도 부족하여 이를 충당하기 위하여 도성을 출입하는 사람들로부터 문세(門稅)를 징수하기도 하였다. 당시의 원납전은 ‘원납(怨納)’, 결두전은 ‘신낭전(腎囊錢)’이라고 불릴 만큼 백성...이칭별칭신낭전(腎囊錢)
- 결두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원군 정권 때, 경복궁 중건 비용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전세(田稅)에 덧붙여 징수한 일종의 부가세정의대원군 정권 때, 경복궁 중건 비용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전세(田稅)에 덧붙여 징수한 일종의 부가세 | 문광부표기Gyeoldujeon | MR표기Kyŏltu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원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만 5,326냥, 1868년 85만 7,869냥 등으로 1865년의 징수액과 합치면 전체가 710만 2,600여냥에 이르렀다. 이러한 실적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노동력을 강제로 동원하고, 문세(門稅)‧결두전(結頭錢)을 징수하였으며, 당백전을 주조하여 국가경...
- 재무행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고 말았다. 고종 때에는 경복궁의 중건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결두전(結頭錢)‧문세(門稅)‧원납전(願納錢) 등 각종 세금과 기부금을 받았으며 당백전(當百錢)을 주조하여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였다. 1894년(고종 31) 6월 중앙관제개...
고서·고문서(1)
- 도유사(都有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601 B063601 도유사 都有司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1年 12月 18日_009 聖贊處, 校任差給次, 捧賂四百兩, 因校儒沮戲, 賂錢還出給時, 不給條一百兩, 各人技贖一百六十八兩, 結頭錢剩餘取用三百兩, 已上合錢六千二十八兩內, 三千一百七十兩, 因營査輸納, 一百...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