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견성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15)
- 견성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우로는 법당과 화양루‧요사채가 있으며, 화양루에는 「견성암중수기(見聖庵重修記)」‧「견성암우화루기」‧「견성암중수각부탱화신성기」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조맹이 홀로 수도할 때 마셨다 하여 독정(獨井)이라고 불리는 우물이 있는데, 아무리 가물어도 샘이 마르지 않는다고...
- 견성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만공(滿空)이 창건하고 1930년 도흡(道洽)이 중건한 이래 여러 차례 중수를 거듭하면서 비구니들의 수련도량으로 사용되어 왔다. 창건 당시에는 지금의 환희대(歡喜臺)에 견성암이 있었으나 그 뒤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현재 덕숭총림(德崇叢林)으로 이름을 바꾼 이...
- 월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법게를 받았다. 1905년 예산 덕숭산(德崇山)에 금선대(金仙臺)를 짓고, 깨달음 후의 공부를 하면서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그 뒤 대부분의 생애를 덕숭산에 머무르며 선을 지도하였으며, 덕숭산 수덕사(修德寺)‧정혜사(定慧寺)‧견성암(見性庵...이칭별칭 만공(滿空)
- 지장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현재 전하는 책은 1762년(영조 38)에 문천(文川) 두류산(頭流山) 견성암(見性菴)에서 간행한 것과 1765년에 약사전(藥師殿)에서 간행한 것, 그리고 1791년(정조 15)에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간행한 것과 1879년(고종 16)에 경기도 양주 천마산 보정사...
- 대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된 뒤 8년 동안 폐허가 되었으나, 1955년 승려 법일(法一)이 다시 중창한 뒤 비구니선원(比丘尼禪院)을 개설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의 선원은 석남사(石南寺)ㆍ견성암(見性庵)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비구니 참선도량으로 손꼽힌다. [내용]이칭별칭평원사(平原寺)|대원암(大源庵)
고서·고문서(14)
- 무제 ‘용수사 방생기도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어설 마음 비워 배례하고사천왕문 들어설 모든 악귀 소멸 부탁석탑에 소원 빌고 대웅전 들어서서처음 만난 부처님 내 마음 소해하고견성암 국공하고 ‘국궁하고’의 오기. 국궁(鞠躬)하다 : 윗사람이나 위패 앞에서 존경하는 뜻으로 몸을 굽히다. 각 암자 배례 후시간업...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수졸당 | 시대해방이후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至佛智菴. 越小嶺, 投吉祥菴. 由菴東行, 巖圓而水潔. 投策弄水, 調米屑, 以解暑渴. 因渡流, 行五里餘, 洞壑深邃, 蹊路犖确. 穿援藤葛, 崎嶇十里. 而又若上復下者, 行十五里, 上內水岾. 土衍林茂, 目不得遙聘. 由岾東下, 大壑谽谺. 行十五里, 有上見性菴, 菴前石臺, 高立百...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성제원(成悌元)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금강내외산제기(遊金剛內外山諸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상대할 만 했다. 동쪽으로 푸른 바다에 접해 있고, 서북쪽으로는 12폭포가 보이는데 매우 기이하고 빼어났다. 북쪽에는 율사(栗寺)와 외도솔(外兜率)이 있다. 은신암에서 동남쪽으로 10여리에 상견성암(上見性菴), 하견성암(下見性菴) 등의 암자가 있고 또 몇 리를 가면 지...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신익성(申翊聖)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풍악록(楓嶽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靈臺‧下靈臺, 皆小庵而上靈廢. 又有靈隱庵, 庵之西北, 乃萬景臺也. 登臺則北望毗盧, 西見白馬, 南眺五臺, 東俯瀛渤, 日出之處. 自靈隱庵, 緣崖而西一里許, 有九淵洞, 眞見性庵在焉. 庵之西北踰一小嶺, 則有香爐‧香積庵而俱廢. 由香積而北登, 則有下內院‧中內院‧上內院三庵, 而上內...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경석(李景奭)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금강산기(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물이 하늘에 닿아 구름이 밥을 뜸들일 때 김이 나듯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가려져 안 보이는 곳 때문에 나도 모르게 정신이 오싹하였다. 은선대에서 내려와 옛 길을 따라 상견성암(上見性庵), 하견성암(下見性庵) 두 암자를 지났다. 땅이 제법 넓게 트인 곳에 유점사(楡岾寺)...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만부(李萬敷)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