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격몽요결” 에 대한 검색결과 1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7)

사전(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栗谷의 敎育思想(孫仁銖, 博英社, 1976) 栗谷全書 上‧下(栗谷思想硏究院, 大提閣, 1978) (孫仁銖, 敎育名著解題, 한국능력개발사, 1979)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7년 이이(李珥, 1536-1584)가 일반 학도들에게 도학(道學)의 입문을 지시하기 위해서 저술한 책.
    정의1577년 이이(李珥, 1536-1584)가 일반 학도들에게 도학(道學)의 입문을 지시하기 위해서 저술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yeongmong yogyeol | MR표기Kyŏngmong yogy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학서 한문 한국 조선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6 이이 미상 1577 2권 1책 필사본 () 오죽헌시립박물관 [정...
  • 이이수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강원시오죽헌시립박물관에 있다. 이제사는 1788년(정조 12) 왕이 강릉 오죽헌(烏竹軒)에 이이 수고의 『』이 간직되어 있음을 듣고 가져오게 하여 본 다음 직접 지은 것이다. 1577년에 쓴 자서가 있으며, 본문은 입지(立志)‧혁구습(革舊習)‧지신...
    연계항목이이수필격몽요결(李珥手筆擊蒙要訣)
  • 삼선생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박세채(朴世采)가 이황(李滉)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성혼(成渾)의 『위학지방(爲學之方)』, 이이(李珥)의 『()』을 합편한 책. [내용] 3권 1책. 목판본. 1635년(숙종 11)에 간행되었다. 국...

고서·고문서(42)

기초학문(3)

  • 이이‧후쿠자와 유키치 외, 『산수(刪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1366 한국연구재단 한림과학원 2015 이이‧후쿠자와 유키치 외, 『산수(刪修)』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에서의 인간관계 능력개발 시퀀스와 스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수동, 게재일 : 2016
    15597 김수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16 「」에서의 인간관계 능력개발 시퀀스와 스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산수(刪修)』 연구 ― 서구 격언과 일본 근대 행동규범의 번역을 통해 굴절된 한국 고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9413 한국연구재단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2011 『산수(刪修)』 연구 ― 서구 격언과 일본 근대 행동규범의 번역을 통해 굴절된 한국 고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

기타자료(1)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이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이이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이이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李珥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길수 | 사료철명문교행정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9.7×19.3cm이다. 표제는 ()이다. 조선시대 이이(李珥)가 쓴 책으로, 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의 권 27에 있는 만을 필사한 책이

  • /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이이가 저술한 학문 입문서. 초학자들이 습득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쉽게 풀어 해설한 책이다. 구성내용은 입지, 혁구습, 지신, 독서, 사친, 상제, 제례, 거가, 접인, 처세 등의 10장으로 되어 있다. 책의 뒷부분에는 사당지도, 정침시제지도와 출

  • 자경별곡 / 自警別曲 [문학/고전시가]

    ‘果(과)’로 표기하여 이두식 잔흔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은 향약(鄕約)의 ‘덕업상권(德業相勸)’, 『()』의 ‘학습지도요목(學習指導要目)’, 『학규(學規)』의 ‘모범사목(模範事目)’ 등과 관련이 깊다. ‘덕업상권’의 20개 조목과는 특히 관련이 깊다.

  • 한자교육 / 漢字敎育 [언어/언어/문자]

    로 쓰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동몽선습 童蒙先習≫·≪ ≫ 등이 한자·한문 교재로 쓰였고, 다음 단계에서 본격적으로 사서오경(四書五經) 등을 가르쳤다. 1962년 4월 17일 <한글전용 특별심의회 규정>이 나오고, 1968년 12월 24일에 국무총리 훈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