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검열” 에 대한 검색결과 15,3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190)

사전(1,2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예문관과 춘추관에 두었던 정9품 관직. [내용] 예문관에는 본래 이라는 관직이 없었으나,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예문관에 춘추관의 기능을 병합하여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으로 바꾸면서 정9품의 2인을 두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예문관의 정9품 관직. [내용] 조선 태조 1년(1392)에 고려관제를 따라 예문춘추관을 설치하면서, 정9품인 직관(直館)으로 개칭하였다가 1401년(태종 1) 7월에 춘추관‧예문관을 분리하면서 다시 로 고치고 예문관에 속하...
    이칭별칭한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언론‧출판‧예술 등의 분야에 대한 표현내용을 공권력에 의하여 검사, 열람하는 행정제도. [내용] 의 목적은 국가사회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 공서양속(公序良俗:공공질서와 선량한 풍속)의 보호, 기밀 유지 등에 있다. 의 대상은 일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예문관의 정9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예문관의 정9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omyeol | MR표기kŏmy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녹관(祿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하관(參下官), 청직(淸職) 직관(直館) 근시(近侍), 기사관(記事官), 사관(史官), 외사고(外史庫), 자천제(自薦制), 춘추관(春秋館), 한림(翰林), 허참...
    상위어녹관(祿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하관(參下官), 청직(淸職) | 동의어직관(直館) | 관련어근시(近侍), 기사관(記事官), 사관(史官), 외사고(外史庫), 자천제(自薦制), 춘추관(春秋館), 한림(翰林), 허참례(許參禮)

단행본(2)

  • 정전 기억 [정전과 검열 그리고 기억 | 고려대학교]
    저자 : 강영미 ... | 출판사 : 미정 | 출판일 : 201712
    유형단행본
    본 연구는 남북한에서 정전 형성과정에 작용한 특이성을 동시적 국면에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남북한은 식민지시기부터 해방 직후까지 동일한 시적 자산을 공유했음에도, 분단 이후 체제의 차이로 인해 각기 다른 문학 정전을 구축해 왔다. 한쪽에서 배제하고 금기한 논리가 다...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7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 북한대학원대학교]
    저자 : 구갑우, 김성경, 김성수, 배인교, 이우영, 이지순, 이하나, 전영선, 천현식,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10325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총서. 자생적 근대와 번역된 근대가 충돌하던 시점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문학예술이 분단의 역사와 어떻게 접속하는지 탐색한다.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 상황이 사실은 개념의 분단으로 매개되고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으로, 현대사의 ’잃어버린...

논문(4)

고서·고문서(466)

  • 5986 P-SDK-05986-P-C-32-32 P-SDK-05986-P-C-32-32-1 P-SDK-05986-P-C-32-32-2 을 맞이해 일렬로 선 군인의 엽서 영내 생활 전집 봉투 있음. 32매 세트. 사제엽서 ...
    자료명검열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十八 墓誌銘 21 (趙公)墓誌銘 18_125_053.jpg (趙公)墓誌銘 撿...銘: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趙翰林墓誌銘". 珥友趙君公保歿三年, 其孤存信, 求壙銘于珥。 珥欲辭不可, 銘又不忍, 遲回逾歲, 始克就。 謹按: 趙氏爲漢...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이등이 하얼빈에 도착하고 러시아 군대의 사열을 받을 때 자객에 의해 중상을 입음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宣統01年09月13日;1909-10-26
  • 「郵便(우편)」되레 강화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郵便(우편)」되레 강화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한, 불온문서 1...
    대표표제어「郵便(우편)검열」되레 강화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불온문서
  • 「郵便(우편)」되레 강화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郵便(우편)」되레 강화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한, 불온문서 1...
    대표표제어「郵便(우편)검열」되레 강화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불온문서

구술자료(5)

  • 김진형, 함태현, 유영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조선족, 영화 ‘풍산개’, 서신, 휘발유, 북한 보안(경찰), 냉면, 숭실보통고보(崇實普通高普), 단고기, 대동강소주, 해당화(북한식당), 분통, 경희대학교 대학원, 대한석탄공사, 갱목, 영주, 노동운동, 도계(道溪), 도계광업사, 시공관, 영락상고, 영락교회,
    구술자김진형, 함태현, 유영희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 지 혼나고. 내한테 참 많이 혼 많이, 많이 는 아니지만, 걸리면 이제 좀 혼났지. 혼 나가지고, 나는 결국에 이제 그 내가 뭐 언제 또 이런, 그러다가 결국에 그런 알력, 그런 것 으로 인해가지고 불시보안을 헌다 그래가지고, 불시보안 그 아무 것도 아닌 것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4년 4월 21일
  • 전쟁이 끝난 후 더욱 치열해진 동네 빨갱이들의 횡포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퍼트린다고 한발이가. 벌컥 먹네 질이 터지잖아. 그래가지고 애통을 먹어노믄 이거 아니다야. 그러다 보믄 어떤 때는 날 새울 때가 있었 다니까. 진짜 재밌었어 그 연대장님하고. 지고 그런거 한번 오믄 통신장비 수리 다 해야지. 서울 퇴계로 가지 와가지고 부속을,
    조사지역전북 무주 | 조사일2013년 8월 20일
  • 시방 젊은 애들 같으먼 못 산다구. 그때는 하- 저기하니께. [조사자 : 누가 달달 볶아 요?] 누가 볶아 부대에서 높은 사람들이 그저 맨날 뿐이여 그렇게 되면은 높은 사람들이 와가 지고 부대 제일 어른이라는 사람이 대위여 응? 포병 일개 중대, 대위가 제일 어른이
    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3년 4월 4일
  • 해서이 결국 이제 그 둘이만 허는디. 그때 못빼먹을 게 있어? 다. 그 놓을때는 예비로 해놨다 가 어떤데 원주까지도 차가 매진. 저거 팔아먹을라. 모재르게 되면, 모재르면 이제 원, 원주갈 때 헌거 사가니까게. 찢어진 것도 숫자만 채와놓는거. 그 식을 많이 해놨으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7일

기초학문(83)

  • 의 미메시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7674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13 의 미메시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중앙과 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수일, 게재일 : 2017
    59557 최수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17 중앙과 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1960년대 체재와 민간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봉범, 게재일 : 2011
    40784 이봉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1960년대 체재와 민간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사적 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성기, 게재일 : 2011
    39537 황성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사적 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식민지 조선에서의 의 사상과 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지연, 게재일 : 2007
    29849 손지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식민지 조선에서의 의 사상과 방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3,172)

  • 亦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한 일신보 로경무고문부검렬을 밧지안이던 터이더니 근간에 엇지된 리허인지 그신문도 쟝검렬을 밧게된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新聞의廢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년젼 졍△이로 경셩리텽에셔 일본인이 발 각신문을 더니 작일부터 을 폐지엿스나 ○○○○○○○○ ○○○ ○○ 긔치 안키로 엿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21) 사상 및 취체 문제 출판여적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1년 11월 안가사랑 국민문학 창간호 서신/정책보고서 5 1940년 단행본, 잡지, 지도, 사진, 팜플렛, 리플렛, 삐라 등에 대한 건수는 총 1만건이다.
    대표표제어출판검열여적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안가사랑 | 출처국민문학 창간호 | 키워드검열, 출판법, 신문지법, 불온문서임시취체령, 예약출판법
  • 教科書의申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휘문 의슉과 국민교육회 박동 보셩학교에 신칙야 젼후에 발간 교과 셔을 져져히 학부로 압송야 을 밧게라 얏더라
    게재일1907년 9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國民報停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국민신문은 일젼론셜에 뎨국신문 뎡간된일에야과격히론란지라 을밧을에 발간치말나고효슈얏난그론셜판을 젼에 다박혓난고로 다시글를 뒤집어박혓더니그먼져박힌획이능히실을 알계되얏다야 뎡간을식혓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2)

  •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_1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 상허학보 59.- (2020)_ 401-449. 이화진. 소리(聲音)의 정치. 서울_ 현실문화_ 2016. 외 다수 [가이드북] 이화진 1주차.pdf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_1주차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_1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 상허학보 59.- (2020)_ 401-449. 이화진. 소리(聲音)의 정치. 서울_ 현실문화_ 2017. 외 다수 [가이드북] 이화진 1주차.pdf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_1주차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_1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 상허학보 59.- (2020)_ 401-449. 이화진. 소리(聲音)의 정치. 서울_ 현실문화_ 2018. 외 다수 [가이드북] 이화진 1주차.pdf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_1주차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의 태동_2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 상허학보 59.- (2020)_ 401-449. 이화진. 소리(聲音)의 정치. 서울_ 현실문화_ 2019. 외 다수 [가이드북] 이화진 2주차.pdf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의 태동_2주차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의 태동_2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8월 15야(夜)의 찻집〉과 탈식민 냉전 한국의 영화 ." 상허학보 59.- (2020)_ 401-449. 이화진. 소리(聲音)의 정치. 서울_ 현실문화_ 2020. 외 다수 [가이드북] 이화진 2주차.pdf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의 태동_2주차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55)

  • 유감-예술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유감-예술과 유감-예술과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최동...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동식 | 사료철명문교월보
  • R173 ЦАМО,ф.379,оп.166654,д.1,лл.33-42. Замечания по поверке 1 ПД корейской армии 조선군대 제1사단 에 대한 소견 군사 문서
    키워드조선군대, 제1사단, 검열 | 대표주제어조선군대 | 수신자제25군 참모부
  • 우리나라 외국 영화 상영과 각국 영화 제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우리나라 외국 영화 상영과 각국 영화 제도 우리나라 외국 영화 상영과 각국 영화 제도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육매체 교육총류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예술과 사무관 김순경 | 사료철명문교공보
  • 우리나라 외국영화 상영과 각국 영화 제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우리나라 외국영화 상영과 각국 영화 제도 우리나라 외국영화 상영과 각국 영화 제도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공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상 김원봉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лики - Ким Вон Бо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상 김원봉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김원봉, 국가상 레베데프 ...
    키워드김원봉, 국가검열상 | 대표주제어김원봉 | 발신자레베데프

연구과제(4)

주제어사전(11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문관의 정9품 관직. 1392년(태조 1)에 고려관제를 따라 예문춘추관을 설치하면서, 정9품인 직관으로 개칭하였다가 1401년(태종 1) 7월에 춘추관·예문관을 분리하면서 다시 로 고치고 예문관에 속하게 하였다.

  • 교열 / 敎閱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대 왕조에서 행해진 열병의식 및 군사 훈련 제도. 넓은 의미로는 진법·무예 훈련, 군사 동원 점검, 병기·군마 점검, 강무의식(사냥대회)·열병의식 등 전반적인 군사 훈련 을 뜻한다.

  • 봉교 / 奉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문관의 정7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예문관의 정8품 대교(待敎) 2인과 정9품 () 4인과 더불어 ‘8한림(八翰林)’이라고 하여 춘추관의 기사관(記事官)을 겸하는 사관이었다.

  • 한림소시 / 翰林召試 [문학]

    예문관 후보자에 대한 특별 시험. 적임자를 선발하여 임금께 아뢰면, 왕명으로 시•부•논•책문 등의 시험을 보아 합격자를 임용하였음.

  • 포쇄관 / 曝曬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고의 서적들을 점검하고 햇빛과 바람을 쏘이던 일을 맡은 사관. 일반적으로 외사고의 포쇄에는 춘추관의 기사관급인 예문관의 봉교·대교·이 파견되었지만 별겸춘추관인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가 파견되는 경우도 상당히 있었다. 많이 파견된 사관을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