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검서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46)
- 검서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1781년 내각인 규장각으로 옮겨졌다. 이 관직은 특별히 서얼 출신들을 위해 마련되어, 명문가의 서얼 가운데서 학식과 재능이 탁월한 자들로서 임명하였다. 결원이 생기면 전임 검서관들이 2인씩 후보자를 추천, 제학(提學) 이하의 규장각의 관료들이 시험을 보여...
- 검서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규장각에 두었던 종7품 관직.정의조선 후기 규장각에 두었던 종7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eomseogwan | MR표기kŏmsŏ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겸검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규장각에 정원 외로 두었던 관직. [내용] 정식명칭은 겸검서관(兼檢書官)이다. 규장각의 검서관 4인은 임기 30개월을 채우면 전임시켰는데, 그 중 2인을 홍문관에서 임의로 선임하여 겸검서관으로 호칭하고, 무반의 직함 즉 서반체...이칭별칭겸검서관
- 서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柳得恭) 등과 함께 정조의 특명으로 규장각검서관(奎章閣檢書官)에 임명되었고, 승문원이문학관(承文院吏文學官)을 겸임하였다. 당시 이 네 사람은 4검서로 유명하였다. 1788년에 검서관 취재(取才)가 있었는데, 이때 진사 성해응(成海應)과 지난해 합격자 이공무(李功...이칭별칭 이중(而仲)
- 내각일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좌기관으로 차츰 승정원과 홍문관의 기능 일부까지 맡게 되었다. 이 일력은 규장각의 이문원(摛文院 : 규장각 관원의 入直處)에 입직한 각신(閣臣)이 『승정원일기』의 예에 따라 매일 기록, 수정하고 검서관이 편사(編寫)해 완성된 것이다. 내용은 어제의 편사...
고서·고문서(19)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地, 持平韓啓玉時在咸鏡道咸興地, 持平姜世鷹時在慶尙道尙州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上曰, 依啓。 出擧條 龍秀曰, 新檢書官啓下之後, 兼檢書官不但數多, 且年老病多, 無以堪當於檢書之役, 兼檢書官朴宗山·元有鎭·李功懋竝姑減下, 前檢書官柳本學差下, 何如? 上曰, 依此爲之。 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入來擧行矣。 上曰, 使檢書官輩, 竝力擧行, 則似可速了矣。 浩修曰, 似難於數日內了當, 而此是深嚴之地, 檢書官輩出入, 亦甚惶悚矣。 上曰, 何妨之有? 使檢書官入來分力, 可也。 浩修曰, 外閣釐正事, 臣旣伏承下敎, 故向與外閣掌務官徐鼎修會同, 考出前後文簿, 更定新節目及式例, 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2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은 죄인의 至親 前 檢書官 趙猷善이 의정부가 올린 내용을 보고 公道를 잊고 사심을 써서 일을 방해하였으니 체포해서 죄를 다스린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68)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使 鄭完默, 前檢書官 吳友泳을 모두 遠惡島 定配하라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307)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者製之, 蔡領府事製進書進事, 令檢書官傳諭, 日子則問于留守, ?期書入, 東門·西門上樑文, 亦令留守, 臨時報于內閣, 文任中製進事, 令內閣及留守, 知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검서관 / 檢書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규장각 소속의 관원. 정원은 4인이다. 정규직이 아닌 잡직으로서, 5∼9품에 해당하는 서반 체아직을 받고 규장각에서 일하였다. 이 관직은 서얼 출신들을 위해 마련되었다. 명문가의 서얼 가운데서 학식과 재능이 탁월한 자들로서 임명하였다.
-
박제가 / 朴齊家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50∼1805). 1779년 3월 규장각에 검서관직을 설치해 서얼 출신들이 하급관리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리자, 이덕무·유득공·서이수과 함께 초대 검서관으로 임명되었다. 1794년 2월 춘당대무과에 장원하여 오위장이 되었다가 영평현령으로
-
성해응 / 成海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0∼1839). 1783년(정조 7)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88년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명되었다. 뒤에 내각에 있으면서 북학파 인사들과 교유하였으며 각종 서적을 두루 섭렵하였다. 관직은 금정찰방·음성현감 등을 지냈다. 문집으로《연경재전
-
이덕무 / 李德懋 [종교·철학/유학]
외각검서관이 되었다.
-
내각일력 / 內閣日曆 [역사/조선시대사]
관으로 차츰 승정원과 홍문관의 기능 일부까지 맡게 되었다. 이 일력은 규장각의 이문원(摛文院 : 규장각 관원의 入直處)에 입직한 각신(閣臣)이 『승정원일기』의 예에 따라 매일 기록, 수정하고 검서관이 편사(編寫)해 완성된 것이다. 내용은 어제의 편사·봉안, 편서(編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