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검상조례사”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정부의 국정총할권이 없어지자 예조에 소속되었다가 세조 때 『경국대전』 제정에 따른 관제개혁으로 폐지된 것으로 짐작된다. 가 관장하던 업무는 법령의 수집‧정리, 새로운 법령의 역사적 근거의 조사, 법전편찬의 세부적인 사무 등이었다. 태조 때에 조준(趙浚...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의정부(議政府), 예조(禮曹),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 속육전수찬소(續六典修撰所)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용한 1...
    관련어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의정부(議政府), 예조(禮曹),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 속육전수찬소(續六典修撰所)
  • 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5품의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상위의 사인(舍人), 하위의 사록(司錄)과 함께 실무를 담당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의 책임자로서 녹사(錄事)를 거느리고 법을 만드는 업무를 관장하였다.
  • 검상(檢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검상 검상 檢詳 (), 의정부(議政府) 검상관(檢詳官) 검의(檢擬)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김경수 1392년(태조 1) 1895년(고종 32) 의정부 정...
    상위어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 의정부(議政府) | 동의어검상관(檢詳官) | 관련어검의(檢擬)
  • 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관으로 ()가 새로이 설치되고 그 속관으로 검상과 함께 3관(三館)이 겸하는 녹사(錄事) 3인이 설치되면서 원형이 성립되었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되면서 녹관(祿官)이 되고, 1414년(태종 14)...

고서·고문서(1)

  • 1464년 이숭원(李崇元)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4년(世祖 10) 6월 25일 세조가 이숭원을 봉정대부부지통예문사의정부검상지제교겸춘추관기주관으로 봉하는 문서이다. 행서체로 작성되어 있으며, 작성연도위에 「과거지인」이 찍혀있다. 이숭원은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1471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익산 삼기 연안이씨 현동사 어서각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에 법제업무를 관장하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 관제를 제정할 때에 도평의사사 아래에 설치되었고, 검상 2인, 녹사 3인을 두었으며 겸직이었다. 1414년(태종 14)에 의정부의 국정총할권이 없어지자 예조에 소속되었다가 세조 때 ≪경국대전≫ 제정에

  • 검상 / 檢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5품의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상위의 사인, 하위의 사록과 함께 실무를 담당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의 책임자로서 녹사를 거느리고 법을 만드는 업무를 관장하였다.

  • 경제육전 / 經濟六典 [역사/조선시대사]

    1397년 편찬·반포된 조선시대 최초의 공적인 법제서. 1397년(태조 6) 12월 26일 공포, 시행되었다.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의 부속기관으로서 법령의 정비와 법전 편찬업무를 관장하던 ()에서 영의정 조준(趙浚)의 책임 아래 편찬된 것이다. 13

  • 사록 / 司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8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상위의 사인(정4품) 및 검상(정5품)과 함께 실무를 담당하였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되면서 녹관이 되고, 1414년(태종 14) 4월 6조직계제로 의정부 기능 축소와 가 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