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건어물” 에 대한 검색결과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4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인류가 어패류를 어획하여 이용한 데서부터 비롯된다고 추정된다. 고려시대는 이 진상품으로 많이 공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수산가공품의 종류가 다양해져서 명태‧조기‧청어‧멸치‧새우‧전복‧홍합 등과 같이 많이 잡히는 어패류의 건제품은 내륙지방에까...
  • 어물새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장식을 위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칼로 오려 만든 . [내용] 우리 나라 조리 기술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혼례ㆍ회갑 등의 잔치상이나 제상에 장식으로 올린다. 궁 중의 의례 기록인 의궤(儀軌) 중
  • 고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 不然則西江之波 恐無補於枯肆 千萬千萬.念, 이충익(李忠翊), 21(智)-17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해채(海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 하고, 그중 구체적으로 미역을 칭하기도 한다. 1424년(세종 6) 6월 1일에 예조(禮曹)에서 중국 사신의 무역 의뢰와 그 수급에 관해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이번 사신이 을 무역할 것을 의뢰하여 왔으니, 청컨대 함길도와 강원도에 건연어(乾鰱魚)·대...
    관련어곽(藿), 미역
  • 건어(乾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복은 쪄서 말렸다. 중에서 상태가 특히 좋은 것은 왕실이나 중국에 진헌하였다. 그리고 잉여품으로 필요한 물품을 교환하기도 하였다. 건어는 제사에 꼭 필요한 중요한 제물로 인식되었으며, 때로는 선물이나 뇌물로도 사용되었다. [내용 및 특징] 어물은 생물과...
    관련어어물(魚物)

고서·고문서(40)

  • 18527 B018527 건어 乾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孝宗 3年 10月 17日_022 ... 納收米, 通計春秋兩等, 幾至四百六十石, 逐年折半題給, 以爲補用之地, 且江都, 曾有輸送之事, 而江都亦設圍籬之後, 使之各自支供矣。 今則江都旣撤圍籬, 依前例添助於喬桐,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533 B018533 건어 乾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孝宗 3年 10月 17日_022 ... 納收米, 通計春秋兩等, 幾至四百六十石, 逐年折半題給, 以爲補用之地, 且江都, 曾有輸送之事, 而江都亦設圍籬之後, 使之各自支供矣。 今則江都旣撤圍籬, 依前例添助於喬桐,...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496 B018496 건어 乾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仁祖 21年 2月 8日_010 ○工曹草記。 答曰, 別定禁軍有弊, 入送時, 付送。 金敬漆送瀋 以上內記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521 B018521 건어 乾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仁祖 21年 2月 8日_010 ○工曹草記。 答曰, 別定禁軍有弊, 入送時, 付送。 金敬漆送瀋 以上內記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528 B018528 건어 乾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孝宗 1年 8月 8日_006 ○傳于黃㦿曰, 義順公主處所送生梨, 非但節果, 今年稀貴云, 減去, 代以一二種, 似可, 言于該曹, 使之斟酌爲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김득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아버지를 부산에서 재회함 5. 군 제대 이후 장사, 무허가 약국 등의 일을 전전하다 국제시장 상무를 지내고 그 후 화물자동차 회사 등지에서도 일함 6. 남포동에서 천막집을 경영하며 주로 파라솔을 만들다가 2003년 은퇴 7. 통일에 대한 회한, 고향 및 어머
    구술자김득렬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 인민의용군의 탈출과 국군으로 참전한 전쟁의 기억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 요 중앙이는 것이 지금 해수욕장 있는 데. 그라면 율포 그라믄 옛날에는 포변항이라고 바닷가. 그란께 바닷가는 가난하는 살 땐께 암만해도 우거지인이 많애. 말 하자믄 얻어먹고 다니다가 그래도 ‘해변에 오면 그래도 이라도 줏어 먹고, 김 발이라도 줏워 먹고 어떻게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3년 5월 22일

신문·잡지(19)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申龍浩(점 ) 수원 申龍浩 점 榮町 16 - - 해산물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申龍浩(건어물점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해산물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伴康衛(奉仕社) 인천 伴康衛 奉仕社 本町 4-8 - - 식료잡화 소매 46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伴康衛(奉仕社)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식료잡화건어물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永井桃吉(-) 인천 永井桃吉 - 本町 4-2 - - 식료잡화 소매 36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永井桃吉(-)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식료잡화건어물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小南彦十郞(-) 인천 小南彦十郞 - 本町 1-21 - - 식료잡화 소매 34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小南彦十郞(-)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식료잡화건어물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廣川房次郞(-) 인천 廣川房次郞 - 本町 3-2 - - 식료잡화 소매 11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廣川房次郞(-)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식료잡화건어물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기타자료(1)

  • 17.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인 만주와 경쟁하는 품목이다. (만주산 수입 강낭콩은 한국과 거의 같은 양이다). 한국산 수입품의 마지막 3분의 1은 기타 품목으로 그것들에 대해서는 구분이 필요하다. 분명 일본은 위에서 지적한 바의 이유로 자국이 채택한 규칙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생선이나 ,...
    집필자미상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10월 12일 | 발신자미상 | 수신자미상

주제어사전(2)

  • / [생활/식생활]

    된다고 추정된다. 고려시대는 이 진상품으로 많이 공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수산가공품의 종류가 다양해져서 명태·조기·청어·멸치·새우·전복·홍합 등과 같이 많이 잡히는 어패류의 건제품은 내륙지방에까지 널리 유통되었다고 한다. 조선 말기에는 대체로 48종

  • 서울경동시장 / ─京東市場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과 청량리 사이 고산자로(古山子路) 부근에서 열리는 상설시장. 1995년 현재 경동시장은 대지면적 8,058㎡, 건물연면적 2만 35㎡, 점포수 678개 등의 규모이고, 종사자수는 1,100명이다. 주된 상품은 산채류·인삼··기타 농수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