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건귁”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여자용 머리쓰개. [내용] ‘머릿수건’이라고도 한다. 여자가 일을 할 때 흩어지는 머리카락을 손쉽게 처리하기 위한 수발방법(修髮方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구당서』 고려조에 부인이 머리에 을 쓴다는 기록과 고구려 고분벽화의 그림...
    이칭별칭머릿수건
  • TD_N2_D_0079 장신구 女子, 首 高勾麗 唐書 D_20_01_45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4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4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N3_O_0010 帷帽 복식제도 騎馬, 蓋頭, 羅兀, 蓆帽, 羊毛, 氈帽, 羃䍦, 圍帽, 席帽, 皁羅, 胡帽, 羃䍦, 面衣, 牋帽, 公裳, 駟馬赤 秦漢, 唐永徽, 開元初 奇中樞虔, 楊愼, 隋煬帝, 王圻 名臣錄, 格致叢書, 丹鉛錄, 三才圖...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7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竹笠, 上服, 殷物, 三代之禮, 后之三服, 編髮, 蓋首, 王化, 內服, 同軌, 覆首之制, 夏禮, 纚, 笄, 舅姑, 櫛纚笄總, 繒帛, , 簂, 緇布冠缺項, 首絰, 緇布, 頍項, 雲鬂, 花䯰, 典禮 羅濟句麗時 東邦, 西周, 東都, 洛邑, 殷墟, 周, 我邦,...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6권 1장 9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簂步搖, 髮鼓, 假紒, 鼓, 簪簧, 步搖, 幗, 婦人喪冠, , 曇籠, 於如摩尼, 圍首, 僭戴, 髻高, 官帽, 梳髮, 丫髻, 禁步, 梁冠, 紅袍, 拖帶, 百花袍, 唐衣, 袡衣, 束髮, 北髻, 童女裝, 東國制, 夷風, 笠子, 道袍, 雙紒繞首, 辮髢, 雄黃版, 法琅簪...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5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

  • 鄭風 出其東門(출기동문)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7:19:1 女無巾飾, 或指纚總之屬. 又或有之制, 以巾爲卷幘, 貧女服也. 喩之於士, 則凡世之美儀華飾, 衆情之歆悅者何限, 而所取獨在於貧賤自守者, 是可姱矣.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萬物門3_髮䯰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笄總而已, 不過過: 와세다대본에는 ‘過’ 뒤에 ‘以’가 있다. 繒帛爲飾也. 史云: “孔明遺司馬懿婦人之服.” “幗”, 本作簂, 卷幘也. 以巾爲之, 故從巾而作幗. 如䯰本髮紒, 而以絲爲之, 則從絲而作紒. 紒者, 䯰也, 《字書》“諧聲”, 其義的然可推也. 簂者, 何也? 按,...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蜀漢羣臣賀司馬懿畏蜀如虎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人苦不自量耳,寧知蹈尾之危。 幸玆祁山圍郃之辰, 厥有賈詡嘲懿之語。 每兩軍掎角之日,縮然似龜。 何三巴捫參之墟,畏之如虎? 蓋我后委任元輔,克藉韜略之雄。 肆敵人自戢奸豪,恐遭呑噬之厄。 嗟爾曹餘幾首尾, 幸賢臣爲王爪牙。 布衣儒者之威,殆天所授。 婦人之服,使人代慚。 麾下豼貅...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婦人雜服 【笄ㆍ帶ㆍ掩ㆍ屨ㆍ襦ㆍ裙ㆍ裹裙ㆍ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所以云宜用也。 《備要》 女喪,有綵鞋則用之。○鏞案 襲鞋宜以繒紙綴成,勿用皮革糊糨,致生蟲蛀也。其用充耳幎握,與男子同也。總之婦人之服,雖以圓衫ㆍ唐衣之等爲其上服,若其親身之衣,宜用短襦一二領,以當三領之數。又用裙子一事,【紅藍唯所尙】 以爲下服裏裙,用白苧布,【其制宜短小】 生時袴管太闊...
    권차명喪禮四箋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情理之恕 八 【室女被誣,自殺奸婆,根因奸淫,實因被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無累,彼仇之可報,而不效髥婦,旣犯殺變,反事變化,以丐其僥倖一縷者流。此誠熱血漢子所難辦,而又非褊性弱女,匿冤憤而經溝瀆之比也。若使玆事,在列國之時,其外死生尙氣節,可與聶嫈而齊名,太史公亦當取,而書之於〈游俠傳〉末。【分叱不喩】 往在數十年前,【卽英宗朝】 海西有似此獄事,按道者請原之,朝廷下...
    권차명欽欽新書 卷八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1)

  • 역사 속 妖賊이 소설 속 英雄이 되기까지- 청대 『여선외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아, 게재일 : 2018
    19801 김경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중국학회 2018 역사 속 妖賊이 소설 속 英雄이 되기까지- 청대 『여선외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주제어사전(1)

  • / [생활/의생활]

    여자용 머리쓰개. 여자가 일을 할 때 흩어지는 머리카락을 손쉽게 처리하기 위한 수발방법(修髮方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구당서』 고려조에 부인이 머리에 을 쓴다는 기록과 고구려 고분벽화의 그림으로 미루어 고구려에서는 이미 수식(首飾)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