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건국신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2)
사전(77)
- 건국신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가의 기원을 신성하게 설명하는 신화.정의국가의 기원을 신성하게 설명하는 신화.[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문학사전] | 문광부표기geon-guk sinhwa | MR표기kŏn’guk sin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아란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구려의 건국신화에 의하면 북부여의 재상. [내용] 하늘 혹은 천제(天帝)의 계시를 받고, 북부여왕 해부루(解夫婁)에게 동해바닷가의 가섭원(迦葉原)이라는 곳으로 천도할 것을 권유하여 이를 실행하게 하였다 한다. 이와 같은
- 우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건국신화에 나오는 북부여의 왕족. 백제의 건국시조인 비류(沸流)와 온조(溫祚) 형제의 아버지이다. 북부여의 왕인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으로 졸본(卒本)사람 연타발(延陁勃)의 딸 소서노(召西奴)와 결혼하여 비류‧온조 형제를 얻었...
- 해모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구려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인물. [내용] 시조 주몽(朱蒙)의 아버지이다. 천제(天帝)의 아들로서 천제의 명령에 따라 서기전 58년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와 인간세상을 다스렸는데, 세상에서는 그를 천왕랑(天王郎)이라 하였다...이칭별칭천왕랑(天王郎)
- 양을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탐라국(耽羅國) 건국의 시조. 제주양씨(濟州梁氏)의 시조. [내용] 탐라국 건국신화에 의하면 한라산 북녘기슭의 모흥혈(毛興穴)에서 고을라(高乙那)ㆍ부을라(夫乙那)와 함께 땅에서 솟아났다고 한다. 이들은 뒤에 섬의 동해안에 표착한
단행본(1)
- 일본 신민족주의 전환기에 『국체의 본의』를 읽다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체험⋅기억⋅상생의 스펙트럼 - | 一橋大學 (Hitotsubashi University)]저자 : 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 기획, 형진의ㆍ임... | 출판사 : 어문학사 | 출판일 : 20170831유형단행본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 번역총서 시리즈로 기획되었다. 센터는 설립과 동시에 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 커뮤니티를 결성한다는 취지 아래 일본 국내외에 산재한 인력풀을 조직하고, 한국 거주 히토츠바시대학 출신 연구자에게 번역을 의뢰했다. 번역 대상은 운영위원회에서 조정하고...
고서·고문서(18)
- 90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혜현, 리씨, 방송국, 편지, 지금까지, 소식없어, 기다림, 저, 방송국, 문제풀이, 정신, 1월, 23일, 24일, 문제풀이, 정답, 1월, 23일, 정답, 고구려건국신화대표표제어90년 | 성씨이
- 조선총독부시정15주년기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제작한 3매 세트 기념 엽서이다.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을 받으며 신사 가운데 가장 높은 신격을 갖는 관폐사이며 일본건국신화의 주신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와 메이지천황을 모신 조선신궁의 신전을 왼쪽 위에 배전을 오른쪽 아래에 배치하여 국가신도의 최정점에 위치한 천황이 조...자료명조선총독부시정15주년기념: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신궁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도서관 자리)으로 정하고, 여기에 들 제신(祭神)으로는 그들이 건국신화의 주신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와 한국을 병탄하고 1912년에 죽은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으로 결정하였다. 수년에 걸친 기초조사와 준비를 끝낸 총독부는 1918년 12월 16일 ‘조선신사 창...자료명조선신궁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신궁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위치는 서울 남산의 한양공원(구 남산식물원 ·안중근의사기념관 ·남산도서관 자리)으로 정하고, 여기에 들 제신(祭神)으로는 그들이 건국신화의 주신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와 한국을 병탄하고 1912년에 죽은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으로 결정하였다. 수년에 걸친 기초...자료명조선신궁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신궁 봉찬전.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하던 총독부는 1912년부터 조선신사(朝鮮神社) 설립 예산을 편성하여 이 일을 추진하였다. 설립 위치는 서울 남산의 한양공원(구 남산식물원 ·안중근의사기념관 ·남산도서관 자리)으로 정하고, 여기에 들 제신(祭神)으로는 그들이 건국신화의 주신인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神...자료명조선신궁 봉찬전. | 발행처朝鮮神宮社務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5)
- 용과 불사조의 자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의붓자매 떰과 깜〉을 구연한 제보자는 이어서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가정 먼저 배우는 베트남의 건국신화를 들려주겠다고 했다. 조사자가 제목을 묻자 〈용과 신의 자식〉이라고 대답했다. 제보자가 구연을 마치자 조사자가 제보자에게 용의 자손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물었다. 그러자국가베트남 | 제보자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베트남_호민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교에서 배운 건국신화, 유래담, 민요 위주로 구연하였는데 구연 과정에서 매이야기마다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구연할 때 이야기 내용을 최대한 자세하게 구연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베트남 특유의 억양이 많이 남아있다. 제보자가 구연한 이야기 중 4편을 최종 DB화하였다.원국적베트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만주족 기원 신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거 고구려 땅이었고 굉장히 뭔가 많은 복잡한 게, 기억은 잘 안 나는 데 있드라구? 있드라구요? 근데 그 만주가 왜 만주냐면, 만주족이 거기 있어요. 그래서 만주족이 사는 곳이 거기를 만주라고 표현했는데. 만주족의 건국신화예요. 근데 그 백두산 자락이 만주족의 본거지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네팔이라는 나라가 생겨난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서는 ‘교’로 시작하는 왕을 마지막으로 국왕 제도가 없어지고 공화국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네팔, 건국신화, 브리티비, 구르카, 카트만두, 신탁, 비멀, 경기도, 고양시, 신화 네팔이라고 하는 나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아세요? [조사자3: 아니요, 잘 몰라요.]국가네팔 | 제보자비멀 [네팔, 남, 1987년생, 유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자장가 메유건(엄마는 아들을 사랑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포함 4인 조홍윤, 황승업, 김자혜 〈건국신화 용과 불사조의 자손〉의 구연이 끝난 후에 또 들려줄 이야기는 없는지 조사자가 묻자 제보자는 베트남의 민요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겠다고 하였다. 경동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말하기 시험을 준비하며 베트남의 민요를 소개할 계획이었국가베트남 | 제보자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잉카와 한국의 건국신화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병일, 게재일 : 201041397 최병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잉카와 한국의 건국신화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한국 건국신화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지영, 게재일 : 200439038 이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004 한국 건국신화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3)
- 사목_1973_03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60 실존주의적 역사관의 방향 임석진 71 건국신화 구상 83 지혜의 개념에 관한 비교연구 (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 민족단결_2000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3) 조안 리 52 고조선의 건국신화 단군신화 56 해당기사는 56쪽만 해당. 57쪽은 다른기사. 중_민족단결_2000_02_056으로 수정요망. 쉽고 재미있는 이지은의...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0
- 한양_1965_04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건국신화와 삼국시문 양주동 211 조국이 없던 청춘, 말을 뺏기던 날 박기원 224 이완용에게, 이또 히로부미에게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65
멀티미디어(216)
-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강의자이정재 | 주차건국신화와하늘_2주차
-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강의자이정재 | 주차건국신화와하늘_2주차
-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강의자이정재 | 주차건국신화와하늘_2주차
-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강의자이정재 | 주차건국신화와하늘_2주차
- 의이해: 창세신화와한울님 2주차. 건국신화와하늘 3주차. 샤마니즘과무속1:종류,분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강의자이정재 | 주차건국신화와하늘_2주차
연구과제(1)
-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성주 | 경북대학교 | 2013 | 국내 | 대구
주제어사전(9)
-
건국신화 / 建國神話 [문학/구비문학]
나라의 창업 기원을 다룬 신화. 건국신화는 나라를 처음 세운 왕에 관한 신화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가 있으므로 건국시조신화 또는 왕조시조신화라고도 할 수 있다. 고조선의 건국신화를 비롯하여 북부여와 신라·고구려 및 가락의 건국신화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 밖에 고려
-
조선국조신화 / 朝鮮國祖神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의 건국신화. 조선 왕조의 건국신화를 종합적인 체계로 세운 것으로는 「용비어천가」가 있는데, 이 작품을 통하여 「조선국조신화」를 엿볼 수 있다. 이 신화의 특징은 국조의 인물들을 모두 용(龍)으로 상징한 점이다. 조선의 국조신화에 비하면 고려의 국조신화는 훨씬 규
-
동명왕신화 / 東明王神話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건국신화. <동국이상국집>, <삼국유사>, <삼국사기> 광개토왕릉비문의 서두, <여지승람>의 평양조, <청장관전서> 등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에 관한 문헌들의 기록은 서로 차이를 보인다. 동명왕신화는 영웅서사시로 일컬어지고 있다.
-
박혁거세신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에 관한 신화. 상고대 왕국에 관한 건국신화의 하나이다. 이 신화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제왕운기』에는 조금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는 합리주의 사관에 터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 신화에 관한 가장 중요
-
신화 / [문학/구비문학]
이른바 건국신화 또는 시조신화를 으뜸으로 꼽아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까지 전해지는 것으로는 각 성씨의 시조신화인 씨족신화와 여러 마을의 수호신에 관한 마을신화, 그리고 무당사회에 전승된 무속신화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