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거향잡의”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자례 / 조선 중기의문신 김성일이 만든 아동용 예절 교과서. 1책. 규장각도서.
  • 예서유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례(祭禮)ㆍ국휼례(國恤禮)ㆍ학교례(學校禮), 권12는 거가잡의(居家雜儀)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침묘(寢廟)」는 정침(正寢)과 가묘(家廟)에 대한 해설인데, 인도(人道)로써 조상을 섬김은 정침에서 천(薦)하는 것이며, 신도(神道)로써 조상...
  • 열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롯한 경전 내용을 토의한 것이 많다. 발에는 집안에서의 일상생활을 경계하기 위해 지은 책인 『유가일용(有家日用)』과 향촌 사회에서 지켜야 할 것들을 제시한 『()』 등에 붙인 것이 있다. 잡저의 「심의재제(深衣裁制)」는 심의를 재단해 만드...
  • 동자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적인 지식보다는 전인 교육에 노력해 완전한 인격을 육성하는 데 전심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동자례 / 동자례 /
  • 지오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국화를 몹시 사랑하였음을 나타내 주는 글이다. 「십구조(十九條)」는 향리에서 지켜야 할 예의 등을 기술한 것이다. 특히, 상가에 가서는 바둑이나 노름을 하지 말고 술도 마시지 말며 고담준론(高談峻論)도 하지 말라는 등의 내용이 들어 있어 주목을...

고서·고문서(1)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여씨향약』과 향교·마을에서 행하는 예를 모아 만든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1910년 후손 김도연 등이 편집하여『동자례』와 합간하였다. 김도화·이중곤의 서문과 김발·김종하·김휘철·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배항지등·상견지례·왕환지수·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