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거푸집” 에 대한 검색결과 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7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內范)을 별도로 만들기도 한다. 용범(鎔范), 혹은 의 접합면 가장자리에는 주물을 부어 넣는 구멍인 탕구(湯口)가 마련되고 합범(合范)인 경우 양면을 맞추기 위한 합인(合印) 표시가 있어 짝을 맞추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의 실례를 보면 우선...
    이칭별칭용범(鎔范)
  • 전 영암 일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231호. 활석(滑石)으로 만들어진 주물도구.
    정의국보 제231호. 활석(滑石)으로 만들어진 주물도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 Yeongam Geopujip Ilgwal | MR표기Chŏn Yŏngam Kŏp’ujip Ilgw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주형, (鋳型)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1003 주형, 자항 鋳型 イガタ (풀이) : 주물 공장(鑄物工場)에서 예로부터 이제까지 쓰고 있는 우리말이다 (풀이) : 주물 공장(鑄物工場)에서 예로부터 이제까지 쓰고 있는 우리...
    출전우리말 도로찾기[문교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상공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제련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조철부로 볼 때, 적어도 서기전부터 제련로가 사용되었으며, 노 주변에서는 주조철부, 〔鎔范〕과 안틀〔范芯〕, 도가니 등이 발견된다. 현재 국내에서 발견된 제련로는 대부분 철생산 유적에서 확인되며 경기도 화성 발안리‧기안리, 충청북도 진천 석장리, 경상북도 경주시...
  • 용인초부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내용] 1965년 주민이 동검의 [용범(鎔范)] 3매를 발견, 신고함으로써 알려졌으나, 곧이어 실시된 국립박물관의 조사에서는 아무런 유구도 확인되지 않았다.

고서·고문서(2)

  • 부여 구아리 출토 '一斤'명 석제용범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편우물지에서 출토된 납석제 용범은 도량형에 사용되었던 유물로 보인다. 유물의 모양을 보면 윗부분에 주물을 넣을 수 있는 홈이 있다. 옆에는 끈으로 감은 것과 같은 실선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한 쌍으로 이루어진 형태였을 것이다. 형태는 직사각형이며 납작한 滑石으로...
    연대7세기 | 서체. | 소재지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5 (국립부여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주역대전 : 說卦傳:제11장(第十一章)_2절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의 보물이다. 동전과 솥이 모두 쇠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과 풀무에서 변화를 받아 이루어지니, 이것이 곤괘를 본받게 되는 까닭이다. 동전은 돈을 말한다. 또 말하였다. 인색하다는 것은 화합하여 지키는 것이다. 균등하다는 것은 열어 펼치는 것이다. 자루라는 것은 일을...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신문·잡지(1)

  • 恒崎鶴松(恒崎型製作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恒崎鶴松(恒崎型製作所) 서울 恒崎鶴松 恒崎型製作所 元町 2-23 기계기구 - 흙(土型) 제작 2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
    대표표제어恒崎鶴松(恒崎型製作所)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흙거푸집(土型)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3)

  • / Ⅴ.고찰 / Ⅵ.맺음말 울산 둔기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조선시대 무쇠솥 제작과 관련된 유적으로 범요(范窯) 3기, 용해로 1기, 단야로 3기, 폐기장 1기, 수혈 10기 등 총 18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이 유적의 특징은 제철과정과 을 제작...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전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이서~용정간) 문화유적 발굴조사-완주 갈동유적(II)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시대 토광묘 17기가 확인되었다. 무덤은 대부분 순수 토광묘와 목관묘가 사용되었으며 일부 목곽묘로 판단되는 유구도 있다. 2003년 조사당시, 토광묘내에서 세형동검의 이 출토된 데 이어서 이번 2007년 조사에서는 세형동검을 비롯해 다뉴세문경, 동모, 동부, 동사...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익산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전라북도
  • 라 건물에 쓰엿던 유물은 거의 포함되지 않았고, 조사면적이 넓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번에 출토된 2점의 작은 금동불은 모두 통일신라시대 말기인 9세기로 편년되는 것이다. 제작 방법을 살펴 보면, 밀랍으로 만든 에다 구리를 녹여 대좌, 통견 등을 무문(無紋...
    발행연도1995 | 발굴기관경주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8)

  • / [역사/선사시대사]

    鎔范), 혹은 의 접합면 가장자리에는 주물을 부어 넣는 구멍인 탕구(湯口)가 마련되고 합범(合范)인 경우 양면을 맞추기 위한 합인(合印) 표시가 있어 짝을 맞추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 고성거진리유적 / 高城巨津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물산포지 유적. 유물로는 동검(銅劍) [鎔范], 석기, 토기 등이 있다. 은 2장이 1조를 이루는 합범(合范) 중 1장의 작은 파편으로, 크기는 길이 4.15㎝, 너비 2.45㎝, 두께 1.88㎝이다. 양쪽

  • 고주법 / 鼓鑄法 [예술·체육/공예]

    주로 화폐나 활자를 만들기 위하여 풀무질로 금속을 녹여 에 넣어 기물을 만드는 방법을 가리키는 공예용어. 『한서 漢書』 종군전(終軍傳)에 “교동(膠東)과 노국(魯國)을 시켜서 염철(鹽鐵)을 고주하였다.”고 하였고, 그 주(注)에 “동철(銅鐵)을 녹여서

  • 금야유적 / 金野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자귀ㆍ돌살촉 등과 함께 십자형 칼자루끝장식이 출토되었고, 부채도끼[扇形銅斧]ㆍ청동방울[銅鐸]ㆍ동모(銅矛)의 활석제 도 출토되었다. 청동기의 이 집터에서 출토된 것은 그 예가 드문 것으로, 청동기의 제작이 국내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 명도전 / 明刀錢 [역사/선사시대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중국 전국시대의 화폐. 크기는 일반적으로 길이 12.4∼13.5㎝, 너비 1.5∼1.9㎝이고, 무게는 12∼19g이다. 손잡이끝에는 고리〔環〕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에는 3조의 직선문양이 길이로 나 있다. 재료는 모두 청동이며, 〔鎔范〕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