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거창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고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여러 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文化遺蹟總覽(文化財管理局, 1977)
    연계항목거창향교(居昌鄕校)
  • 거창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07년 12월 에서 신교육 실시를 목적으로 사립학교의 설립인가를 받았다. 1908년 5월에 사립 거창보통학교로 개칭하고 7∼...
  • 거창군(경상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書堂,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5호)을 비롯해 1415년(태종 15)에 창건되고 1623년(인조 1)에 중건된 거창읍 가지리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0호), 1661년(현종 2)에 건립되고 이듬해에 사액된 가조면 일부리에 도산서원(道山書院), 1664년에...

고서·고문서(5)

  • 계미년 회원(會員)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767년 별보소안(別補所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거창 거창향교
  • 1980년 거창 () 간행 거창향안(居昌鄕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980년 거창 ()에서 발간한 자료이다. 원래 향안(鄕案)이라는 것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의 자치기구로 설치된 유향소(留鄕所)와 향청(鄕廳) 구성원의 명부로, 고을 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양반 세력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조선후기에 접어들...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거창 거창향교
  • 19세기 전반(?) 용천정사(龍泉精舍)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문서는 용천정사에서 안의향교로 보낸 통문과 안의향교에서 용천정사로 보내는 답 통문, 그리고 예천도정서원에서 안의향교‧로 보내는 통문 3점을 초서로 베껴 기록해 놓은 문서이다. 3점 모두 동계선생의 위토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고 있어 동계선생의 위토환급과 관...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龍泉會儒通安義校院文 외 通文草 2건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문서는 용천정사에서 안의향교로 보낸 통문과 안의향교에서 용천정사로 보내는 답 통문, 그리고 예천도정서원에서 안의향교‧로 보내는 통문 3점을 초서로 베껴 기록해 놓은 문서이다. 3점 모두 동계선생의 위토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고 있어 동계선생의 위토환급과 관...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에 있는 향교. 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15년에 대성전을 설립하고 1572년에 현감 서의(徐誼)가 중건하였으며, 1574년에는 현감 장문한(張文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