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거창군” 에 대한 검색결과 1,1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4)

사전(148)

  • 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9년에 편찬된 경상남도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邑誌(경상남도읍지)’로 되어 있다. 1894년에 편찬된 『거창부지(居昌府誌)』는 8장에 불과하며, 앞 읍지의 항목대로 전사한
  • (경상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적은 804.09㎢이고, 인구는 6만 3,268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1개 면, 266개 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남도 거창읍 상림리에 있다. [자연환경] 경상남도 최서북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의 준령을...
  • 감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거창 지역의 옛 지명. [내용] 신라 때 남내현(南內縣)이었으나 경덕왕이 여선현(餘善縣)으로 고쳐 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감음현(感陰縣)으로 바꾸었고, 1161년(의종 15) 정서(鄭敍)의 처...
    이칭별칭남내현(南內縣)|여선현(餘善縣)
  • 화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채집된 144구의 「화류가」는 규방가사이지만 작중 화자가 남자라는 특색이 있다. [내용 및 평가] 화자가 집안의 종매(從妹)들에게 말하는 형식으로 시작되어 옛날 문장재사(文章才士)들의 풍류를 들고, 지금의 우리들이 춘하추동 좋은 때 아니 놀고 무...
  • 마두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하면 지역에 마두성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가소성이 서쪽으로 백제에 접하고 있었다고 했는데, 가소성은 경덕왕 때 가조현(加祚縣)으로 바뀌었고 오늘날에도 가조면으로 존속한다. 가소성은 『대동여지도』에 옛 산성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두성이 남쪽으로...

고서·고문서(668)

  • 읍지(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899년(광무3)경 경상남도 ()에서 만든 읍지이다. 은 현재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남도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소백산맥을 통해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등과 접해있으며, 동쪽은 합천군, 남쪽은 함양군, 북쪽은 경상북도 김천과 경계를 맞대고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880년 수 제사(題辭)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0년에 안의강동에 사는 정연학 등이 문간공 정온의 산소가 있는 산의 사산경계를 확정하기 위하여 수에게 올린 청원서에 대한 판결문이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제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제사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제34회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第三十四回居昌面協議會會議錄拔萃)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제34회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 역사 문헌 근대 한국 고문서 국가기록원 소장 “읍면기채인가서류”철에 포함된 1932년 3월 18일 제34회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  지방의회, 회의록 일본어 CJA0003039 읍면...
    대표표제어제34회 거창군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第三十四回居昌郡居昌面協議會會議錄拔萃) | 건명경남거창군거창면시장부지매수비기채의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2년 03월 | 회의일18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제42회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第四十二回居昌面協議會會議錄拔萃)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제42회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 역사 문헌 근대 한국 고문서 국가기록원 소장 “읍면기채인가서류”철에 포함된 1934년 3월 27일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지방의회, 회의록 일본어 CJA0003039 읍면기채인가서류 경남거...
    대표표제어제42회 거창군 거창면협의회 회의록 발췌(第四十二回居昌郡居昌面協議會會議錄拔萃) | 건명경남거창면면사무소신축비기채의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4년 03월 | 회의일27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고령군에 사는 이공일이 범용한 의 공전 1,000양을 조속히 독봉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張逸煥의 訴告에 따르면 의 公錢 1,000兩을 高靈郡에 사는 李公一이 몇 년 동안 犯用하고 끝끝내 납부하지 않았다 함. 이에 탁지부가 살펴보니 해당 公錢은 公貨로서 일개 보잘것없는 민인이 어찌하여 몇 년 동안 犯用한 채 납부하지 않아 公納을 未勘하게 하는지 실로...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구술자료(85)

  • 06_040 경남 경상남도 경상남도 _상사 상사 어허 눌눌 상사 경상남도 웅양면 군암리 송산 2004.9.9 素04-9-9②A 유근목 유근목(1935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상사 류 멕받형(선후창) 어허 눌눌 상사디야 살피 메끼를 훌쳐 주고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군암리 송산 | 녹음날짜2004.9.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6_041 경남 경상남도 경상남도 _상사 상사 어허 어루 상사 경상남도 가북면 용산리 2004.9.9 素 MD 04-9-9 n.4 임무철 임무철(1936년생.남.) 이소라 이소라 상사 류 멕받형(선후창) 어 허어루 사앙사 디여 논을 매세 논으을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 녹음날짜2004.9.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6_042 경남 경상남도 경상남도 _상사 상사 어 널널널 상사 경상남도 가조면 석강리 생초 1989.4.20 素89-4-20A 정상칠 정상칠(1915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상사 류 멕받형(선후창) 어 널널널 상사 디야 진주 남강에 물질러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 생초 | 녹음날짜1989.4.20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6_023 경남 경상남도 경상남도 _모노래 곡풍 논매기 모노래 곡풍 논매기 무후렴 논매기 경상남도 남하면 무릉리 원무릉 1985.8.27 素85-8-27①A 정욱환 정욱환(1918년생.남. 14대째 거주 토민) 이소라 이소라 모노래 곡풍 교창(교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리 원무릉 | 녹음날짜1985.8.27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06_024 경남 경상남도 경상남도 _모노래 곡풍 논매기 모노래 곡풍 논매기 무후렴 논매기 경상남도 거창읍 가지리 개화 1985.8.27 素85-8-27①A 박종석, 정조한 박종석(1934년생.남. 6대째 거주 토민), 정조한( .남. 거창읍 양평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 녹음날짜1985.8.27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신문·잡지(54)

  • 赤布橋架設과 負擔問題決定 釜山府二千圓五千圓 總工費卄一萬圓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赤布橋架設과 負擔問題決定 釜山府二千圓五千圓 總工費卄一萬圓 1933년 6월21일 부산 부산 경남도가 1933년부터...
    대표표제어赤布橋架設과 負擔問題決定 釜山府二千圓居昌郡五千圓 總工費卄一萬圓 | 연월일1933년 6월21일 | 지역부산
  • 郡守 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부에셔 군슈 십여과를 쥬본다데동감리 리무영씨 슈 리응익씨와 상환이된다더라
    게재일1906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孰是孰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북도 수 김원호씨 군에  김쥰을 무샴 송에 락과일로 혐의야 김쥰의가 군수얼거 평리원에 쳥원얏 작일 군셩 십여명이 법부문전에 도야 김군수 죠금도 과실이업다고 쳥원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살옥 졍범죄인 손영슈난 쥭은 박밀양과 이왕 혐의가잇셔셔 그일을 셜파다 며 쥭은 박가의 집에가셔 셜왕셜에 시비가 되얏 졍범 손가가 찻던칼을 야 쥭은쟈의 다리와 볼기근쳐 세곳을 질너 당장에 치고로 쳐교고
    게재일1901년 7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勳章頒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시죵무관쟝 리죵건 학부학무국쟝 쟝셰긔 슈 리응익 군부관방쟝 신영 씨난 훈등극쟝이오 륙군참령 박이병 궁부비셔관 김규진 량씨난 훈오등극쟝이오 륙군참쟝 셩긔 탁지협판 류졍슈 한셩부윤 박의병 삼씨난 훈삼등팔쾌쟝이오 뎨실심샤관 박용규 륙군참령 쟝봉환 량씨난
    게재일1906년 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09)

  • 교육위원회위원비용변상규칙(제15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회위원비용변상규칙(제15호) 교육위원회위원비용변상규칙(제15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미상 | 사료철명규칙공포원부
  • (지상 국토 순례3) 아림의 문화를 자랑하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지상 국토 순례3) 아림의 문화를 자랑하는 (지상 국토 순례3) 아림의 문화를 자랑하는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부 | 사료철명교육경남
  • 사회교육시설에대한군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중개정조례공포(1140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교육시설에대한군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중개정조례공포(1140호) 사회교육시설에대한군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중개정조례공포(1140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거창군수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 교육위원회위원비용변상규칙폐지규칙공포(제103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회위원비용변상규칙폐지규칙공포(제103호) 교육위원회위원비용변상규칙폐지규칙공포(제103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거창군수 | 사료철명규칙공포원부
  • 사회교육시설에대한군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제920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교육시설에대한군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제920호) 사회교육시설에대한군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제920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거창군수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주제어사전(50)

  • / [지리/인문지리]

    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1개 면, 267개 행정리(94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남도 거창읍 상림리에 있다. 경상남도 최서북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의 준령을 경계로 경상북도·전라북도와 접경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남부지방에서는 유일한

  • 읍지 / 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경상남도 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邑誌(경상남도읍지)’로 되어 있다. 1894년에 편찬된 『거창부지(居昌府誌)』는 8장에 불과하며, 앞 읍지의 항목대로 전사한 것이나 미완성된 채 내용이 조잡하다.

  • 감음 / 感陰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거창 지역의 옛 지명. 신라 때 남내현(南內縣)이었으나 경덕왕이 여선현(餘善縣)으로 고쳐 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감음현(感陰縣)으로 바꾸었고, 1161년(의종 15) 정서(鄭敍)의 처 임씨(任氏)를 무고한 ‘자화(子和)의 무고사건’이

  • 거열성 / 居烈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창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통일신라의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거열성은 의 북서쪽에 위치한 해발 572m의 건흥산 정상부와 앞쪽의 봉우리 양옆의 계곡을 둘러싼 형태로 축성된 통일신라시대의 포곡식산성이다. 거열성은 ‘거열산성(居烈山

  • 국도37호선 / 國道37號線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거창읍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거창~파주선이라고도 한다. 경상남도 거창읍을 기점으로 전라북도(무주) 및 충청남북도(금산, 옥천, 보은, 청원, 괴산, 음성) 내륙산간 지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외곽의 경기도 남부, 동부,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