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거중기”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적으로 알려주는 예로서 주목된다. 華城城役儀軌 與猶堂全書 奇器圖說 韓國科學技術史(全相運, 正音社, 1965) 화성성역의궤 / 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던 기구.
    정의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던 기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eojunggi | MR표기kŏjung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상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능력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역관으로서 언어에 대한 탁월한 재능은 그의 작품에 그대로 드러나, 쓰인 시어가 섬세하고 화려하며 때로는 맑고 우아하다는 평을 얻었다. 「몽(夢)」이라는 작품으로 사대부들 사이에 명성을 얻었으며 헌종이 그의 시를 읊어 ‘은송(恩誦...
    이칭별칭 혜길(惠吉)| 우선(藕船)
  • 기계목(機械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계목 기계목 機械木 가설재(假設材), (), 녹로(轆轤), 비계(飛階) 문화예술/건축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시대 신지혜 [정의] 비계(飛階), 기중기와 같이 건축 공사에 사...
    관련어가설재(假設材), 거중기(擧重機), 녹로(轆轤), 비계(飛階)
  • 기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이상적(李尙迪)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원제목은 ‘몽(夢)’이지만 흔히 줄여서 ‘기몽’이라고 한다. 작자의 문집 『은송당집(恩誦堂集)』과, 『대동시선(大東詩選)』에 실려 있다. [내용]...
    이칭별칭거중기몽

고서·고문서(29)

  • 236230 B236230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6年 1月 7日_013 ○政院啓曰, 卽伏見黃海兵使閔成鎬, 水使申樂熙, 去秋冬等褒貶啓本, 則邊將無一人下, 殊無嚴明殿最之意, 竝推考警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6242 B236242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3年 2月 7日_005 ○又啓曰, 卽伏見黃海水使閔成鎬, 去乙亥秋冬等褒貶啓本, 則邊將無一人下, 殊無嚴明殿最之意, 推考警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6291 B236291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7年 8月 7日_015 ○權膺善啓曰, 卽伏見黃海兵使吳晉泳今春夏等褒貶啓本, 則邊將無一人下, 殊無嚴明殿最之意, 推考警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6229 B236229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4年 12月 15日_029 ○政院啓曰, 卽伏見諸道今秋冬等褒貶啓本, 則江原監司閔泳緯, 黃海監司李根弼, 咸鏡監司李會正, 守令無一人下, 京畿監司尹滋悳, 平安監司金尙鉉, 慶尙監司朴齊寅, 無一人居下, 殊無嚴明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6245 B236245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22年 6月 16日_002 ○鄭光淵啓曰, 卽伏見諸道今春夏等褒貶啓本, 則京畿監司朴齊寬, 江原監司閔致序, 忠淸監司沈相薰, 黃海監司尹宇善, 咸鏡監司鄭基會, 守令無一人下。 咸鏡北道按撫使趙秉稷, 無一人居下, 殊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분야가 창건되고 있다. 여러 공장들에서는 자동차 복잡한 공작기계 착공기볼베야링 쾌속기관차광산시설품 기타 등 종전에 국내에서 생산치 못하던 수십종의 기계를 생산하고 있다. 농업기계생산도 새로 창설되였다. 무한궤도 뜨락또르의 대량생산이 확립되였으며 꼼바인도 전...
    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917_04 | 책임주필김원선
  • 한 기만적 통신에 대하여는 평범한 일로 인정한다. 부르죠아 출판물에서는 벌서 여러 해재 정직성과 공정성의 요소조차 전부 없는 그런 □위의 기자들을 양성하고 있다. 법적으로 이런 어리석은 비방자-필자들과 기자들의 등 뒤에는 그들의 주인들-수십억장자- 사에 대하여 훌...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522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1)

  • / [과학/과학기술]

    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던 기구. 조선시대 정조 때에 수원성곽을 쌓는 데 사용되었으며, 정약용(丁若鏞)의 ≪기중도설 起重圖說≫에는 그림과 함께 설명되어 있는데 도르래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게끔 되어 있다.1627년 야소회(耶蘇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