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거북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8)
사전(107)
- 거북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만들어 왜적을 쳐부순 거북모양의 배. [내용] 기 원 거북선[龜船]에 관한 기록이 문헌상에 보이기 시작한 것은 조선 초기의 ≪태종실록≫으로서, 1413년(태종 13)에 “왕이 임진강 나루를 지나다가 귀선과 왜...
- 거북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만들어 왜적을 쳐부순 거북 모양의 배.정의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만들어 왜적을 쳐부순 거북 모양의 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obukseon | MR표기kŏbuk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거북선축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일원에서 행해지는 향토문화제. [내용] 이 행사는 매년 5월 5일부터 3일간 펼쳐진다. 1967년부터 시작되어 1998년 현재 32회에 이르고 있다. 1967년 제1회 진남제에서는 거북선 모형이 여수에서 처...
- 거북선해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거북선과 여러 종류의 전선(戰船)들의 포진상황을 나타낸 그림. [내용] 세로 120㎝, 가로 40㎝의 병풍식 10폭으로 되어 있다. 현재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帥(수)'자 깃발을 단 좌선(座船)을 중심으로 하여
- 거북선(龜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00 물품도구 거북선(龜船) 거북선 龜船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만들어 왜적을 격파한 거북이 모양의 배. 거북선에 관한 기록이 문헌상에 보이기 시작한 것은 『태종실록(太宗實錄)』이며, 왜구 격퇴를 목적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장갑선(裝...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47)
- 거북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거북선 정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보산향 신툰촌3대 2 2 거북선, 관한, 문제, 시간, 문제, 식물이름, 달리...대표표제어거북선 | 성씨정
- 이름사전 : 작명을 위한 갈잡이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이름사전 : 작명을 위한 갈잡이 인문학 철학 동양철학 이름사전 : 작명을 위한 갈잡이 이우각 李愚珏 거북선 서울 2005 ...대표표제어이름사전 : 작명을 위한 갈잡이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철학 | 소분류동양철학
- 작명을 위한 길잡이 이름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작명을 위한 길잡이 이름사전 인문학 철학 동양철학 작명을 위한 길잡이 이름사전 이우각 지음 거북선 서울 2004 전문사전;...대표표제어작명을 위한 길잡이 이름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철학 | 소분류동양철학
- 초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이야기, 역사, 민족, 통일, 재난, 고통, 충실, 아들, 먼나라, 객관환경조건, 변화, 서울, 인민, 초상, 문학, 거북선, 심정, 평정, 방송, 노래, 질레꽃, 남족나라, 고향생각, 마음대표표제어초면 | 성씨송
- 22일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직전, 10만, 군사, 양성, 주장, 이순신장군, 전남, 수군지휘관, 거북선, 군사, 훈련, 임진왜란, 수군, 총지휘자, 희생, 22일, 문제, 답, 이순신장군, 23일, 문제풀이, 요르단, 팔레스티나, 나라, 수도, 예루살렘대표표제어22일 | 성씨박
구술자료(4)
- 거북선 조선소 선소마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쌍봉에 있는 정장군 이야기에 이어서, 조사자가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당시에 어떻게 싸웠다 하는 이야기가 있냐고 묻자, 김주봉 할아버지가 바로 이순신 장군의 사당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2011. 1. 24(월)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관기리 상관마을 관기 1구 경로당 | 제보자김주봉
- 이순신의 기지와 퇴계 선생의 거북선 설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명대사 이야기를 구연한 뒤 제보자는 곧바로 이순신 장군 이야기를 하겠다며 구연을 시작하였다.조사일시2010. 2. 7(일)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대곡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조낙주
- 성우향 심청가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신라의 원효대사 불교에 대성이라 고해중생 보살피고, 율곡 선생 경제학설 세계선관 허였으며, 전무후무 충무공은 거북선 창조하야 팔진법 빛난 공적 만세에 혁혁하고, 실학가 정다산은 오는 세계 예측허니 과학자의 참견이라. 어화 우리 후인들아 전철의 장한 업적 계승하고 본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성우향
- 성우향 심청가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신라의 원효대사 불교에 대성이라 고해중생 보살피고, 율곡 선생 경제학설 세계선관 허였으며, 전무후무 충무공은 거북선 창조하야 팔진법 빛난 공적 만세에 혁혁하고, 실학가 정다산은 오는 세계 예측허니 과학자의 참견이라. 어화 우리 후인들아 전철의 장한 업적 계승하고 본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준
기초학문(1)
- 조선후반기의 統制營 水軍操鍊圖 연구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통제영 수군조련도》 병풍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미나, 게재일 : 2014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3156&local_id=10046840 조선후반기 거북선도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9)
- 민세안재홍전집 : 鳴梁海大激戰!(上)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40 1934 9 22 15 11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十一) 鳴梁海大激戰!(上) 海上秋風,悲憤한待橫!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右水營, 統制使, 會寧浦, 거북선, 碧...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이순신(李舜臣)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문도, 정여립, 수군절도사, 거북선 서우번역문.pdf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우표_1970_06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히말라야에서 온 엽서 지영국 29 명화우표 씨리즈 상 최순석 31 달라저야 할 이순신과 거북선우표 고바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로동자_1956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털외투는 몸을 덥게 하는가 52 광주학생투쟁 김수목 54 거북선 이야기 김상룡 58 ...발행국가북한 | 발행연도1956
- 황해로동신문_1947_0819_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료화』의 근저호에 게재되었는데 그일쩔에 다음과 갓치 기술하였다. 『16세기 초두일본이 처음으로 조선을 약탈하려고 할대 그 함대를 『거북선』으로 격파한 리순신은 지금까지 조선민족의 영웅으로 기억되여있다. 그런데 350년이 지난 오늘 이땅에는 그의 영예를 능가하는 사람이...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19_3 | 책임주필이영작
주제어사전(3)
-
거북선 / 龜船 [과학/과학기술]
임진왜란 당시 수전에서 활약한 거북 모양의 전투선. 거북선은 조선 수군의 주력 전선인 판옥선(板屋船)의 상체 부분을 개량해서 덮개를 덮은 구조이다. 판옥선은 바닥이 평평한 선체 위에 그보다 폭이 넓은 갑판을 2층 구조로 만든 전선이다. 1층 갑판에는 한국식 노를 설치
-
거북선축제 / ─船祝祭 [생활/민속]
전라남도 여수시 일원에서 행해지는 향토문화제. 이 행사는 매년 5월 5일부터 3일간 펼쳐진다. 1967년부터 시작되어 1998년 현재 32회에 이르고 있다. 1967년 제1회 진남제에서는 거북선 모형이 여수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그리고 1975년 제9회 때부터 관
-
누선 / 樓船 [과학기술/과학기술]
단지 다락을 갖춘 배라는 뜻에 지나지 않는다. 누선은 위가 무거워 복원성능이 좋지 않고 운용도 불편하여 방패선 또는 거북선 등으로 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