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거문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6)
사전(110)
- 거문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거문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도는 면적이 0.42㎢, 해안선이 4.3㎞. 인구가 1,035명(1995년 현재)이다. 서도는 세 섬 중 가장 큰 섬으로서 온 섬이 동백나무로 뒤덮여 있어 연중 푸르다. 서도의 수월산(水越山, 128m)에는 다도해의 뱃길을 비춰주...
- 거문도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 있는 연안항. [형성 및 변천] 1923년 어항의 역할을 시작으로 1966년 거문도항 어업전진기지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1970년 7월 28일 연안항으로 지정되었다. 1952~1984년 사이에...이칭별칭Port Hamilton
- 거문도사(巨文島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거문도사 거문도사 巨文島事 거문도사건(巨文島事件), 거문도점령사건(巨文島占領事件) 그레이트 게임(Great game), 해밀턴 항(port Hamilton), 삼도(三島), 군항(軍港), 부동항(不凍港), 태평양함대(太平洋艦隊), 영...동의어거문도사건(巨文島事件), 거문도점령사건(巨文島占領事件) | 관련어그레이트 게임(Great game), 해밀턴 항(port Hamilton), 삼도(三島), 군항(軍港), 부동항(不凍港), 태평양함대(太平洋艦隊), 영국해군(英國海軍)
- 거문도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5년(고종 22) 3월 1일부터 1887년 2월 5일까지 영국이 러시아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 [역사적 배경] 거문도는 전라남도 여수와 제주도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서 고도(古島)‧동도‧...
- 거문도 점령 사건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서구 열강은 거문도를 해밀턴 항(Port Hamilton)이라 명명했다. 이는 1845년 이 섬을 발견한 영국인 벨처(E. Belcher)가 당시 영국 해군성 부상 해밀턴의 이름을 거문도에 붙였던 데서 유래한다. 서구 열강은 19세기 중반부터 거문도의 전략적 가치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단행본(1)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12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1051712권은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 고종 퇴위, 정미의병, 정미7조약, 기유각서, 남한대토벌작전, 일본의 한국 병합을 다루고 있다. 다른 한 부분은 1885-1887년 영국의 거문도 점령 및 철수, 영국의 거문도 철수 이후 거문도를 ...
고서·고문서(274)
- 군항으로서 거문도의 가치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해군함대문서보관소
- 거문도(巨文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797 B017797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大東地誌 권7 전라도 興陽 山水 ... 四梁 九令島猪島 曾子島 木米島 巨文島 鉢伊島石( 牛島禾五島元珠島尖島梧桐島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문도(巨文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798 B017798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42年 5月 2日_025 ○李宜顯爲司果, 沈尙尹爲副司果, 金重器爲副司直, 李奎成爲副摠管, 靑陵君模爲都摠管, 金重器爲同知, 許恪爲五衛將, 申光夏爲宣傳官, 李再成爲宣傳官, 申弘祚爲守門將, 朴東采爲巨文島...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문도(巨文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799 B017799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42年 6月 2日_002 ○下直, 巨文島僉使朴東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문도(巨文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800 B017800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4年 7月 19日_016 ... 下矣。 巨文島鎭水軍僉節制使, 改以巨文島鎭水軍僉節制使, 兼守防將下批, 靑山島之鎭管古今島·薪智島, 改以巨文島鎭管, 下批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7)
- 거문도 명칭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문팔경에 이어서 거문도와 정여창과의 관련담을 이야기해주었다. 이야기를 거의 쉬지 않고 곧바로 이어가는 바람에 마치 하나의 이야기로 얽 혀진 듯한 인상을 주었다.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장촌마을 거문도뱃노래전수관 | 제보자이귀순
- 거문도를 지킨 신직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조금 전에 어유(魚油) 이야기를 하다가 다른 데로 흘렀다고 하면서, 이야기를 다시 거문도의 전통과 내세울만한 자랑거리에 대해 스스 로 이야기를 이어갔다.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장촌마을 거문도뱃노래전수관 | 제보자이귀순
- 거문도와 울릉도의 교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문도 뱃노래 전수회관 현판 유래에 관한 이야기에 이어서 제보자가 자신이 수석애호가라고 하면서 수석 이야기를 길게 이어갔다. 이에 조 사자가 거문도 사람들이 울릉도에 진출해서 활동했던 당시의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러자 제보자가 마침 생각났다는 듯이 "아"...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장촌마을 거문도뱃노래전수관 | 제보자이귀순
- 거문도 노래(창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들이 마을사람들에게 물어 마을에서 가장 연장자인 최귀덕 할머니 댁을 방문했다. 할머니에게 옛날 노래를 하나 청했더니, 거문도 노 래라고 하는 창가(쇼우까)를 불러주었는데, 이 창가는 거문도에서 박사라고 불렸던 '재열이' 어른이 지어서 제보자의 오빠와 같이 불렀...조사일시2011. 1. 26(수) | 조사장소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장촌마을 최귀덕씨 댁 | 제보자최귀덕
- 거문도로 처음 들어온 영국 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주도가 생긴 내력담에 이어서, 이 근방에서는 그와 유사한 장수 이야기는 없냐고 물었지만 자세한 이야기는 해주지 않았다. 이어서 조사자 가 거문도가 어떻게 생겼는지 유래담을 아느냐고 묻자, 거문도에 주둔했다는 영국 배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 이야기는 시집와...조사일시2011. 1. 24(월)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1224-1번지 보성식당 | 제보자최은남
기초학문(4)
- 비스마르크의 식민정책과 거문도 사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상수, 게재일 : 201241729 정상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양사연구회 2012 비스마르크의 식민정책과 거문도 사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거문도 바다사람의 자긍심과 민속전승의 원동력- 거문도 뱃노래와 풍어제 전승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71388 한국연구재단 남도민속학회 2014 거문도 바다사람의 자긍심과 민속전승의 원동력- 거문도 뱃노래와 풍어제 전승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거문도 멸치잡이 어구어업의 변천과 소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곽유석, 게재일 : 200924752 곽유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9 거문도 멸치잡이 어구어업의 변천과 소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주체 변동에 따른 공동체 의례의 변화 -거문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오, 게재일 : 201024835 박종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10 주체 변동에 따른 공동체 의례의 변화 -거문도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5)
- 巨文燈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에셔 거문도와칠발도에등셜치하칠발도에풍낭이 단하야 녁를 헐수업고로 즁디하얏다가 년 월에다시 시작하기로하고거문도에긔후가더운고로 역하기가 편하야 거월 쵸에 시작하야 년삼월에 쥰공하기로 예졍고 일인 이십칠명과 한인 륙십명이 역사하 즁인 식요...게재일1904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일본 어션들의 고기잡 가 우리 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어션들의 고기잡 가 우리 대하 바다에 나와 잇 슈효가 통령 샤량도 근쳐에 열쳑이오 졔쥬 바다에 칠십쳑이오 거문도 바다에 일 오십쳑이오 군산 바다에 이쳑이라더라게재일1899년 11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韓浦日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산에잇 일본슈회사가 거문도쟝승포에 어업근거디를시고 사십여명되 어민이니쥬야 어업에 죵사야 불소을 모왓 늣즌봄에 어민이만이 이쥬터인즉 오륙원즘은 대단이번화게되야 일대어쵼이 되다더라게재일1905년 4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진연강에 오잇든 아라 군함몃쳑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연강에 오잇든 아라 군함몃쳑이 일젼에 거문도로 향야 삼남 각군연를지나 인쳔으로 도박엿다가 려슌으로 향다며 일본 샹비함에 그 병함이 일젼에 쥬에 회동엿다가 쟝우리나라로나온다더라게재일1901년 3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韓俄訂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광무년 삼월삼십일에 대한뎨국 외부대신 박졔슌씨와 대아뎨국 흠명판공 파우로후씨가 조약 글를고렬즉 거졔도와 그 셤근쳐륙디면젹과 거문도에셔 산항구 죠계지 아올나쥬위졔도를 물론고 어너던지 아라뎡부가 영영쳥구지 아니고 그곳 죠계매 디단은 우리나라 뎡...게재일1902년 2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5)
- 김철호;金哲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396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2면 ㅁ1. 회원록;ㅁ5) 2학년 을조 김철호;金哲鎬 전남 여수군 삼산면 거문도(서도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재영;金在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3052 남한 전남 광주고등보통학교 2-08 校友會誌 제4호 1929―02―25 97면 김재영;金在英 여수군 巨文島 西島里 185 제1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순규;朴順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505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98면 박순규;朴順圭 전남 여수군 巨文島 德村里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종문;朴鍾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512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98면 박종문;朴鍾文 전남 여수군 三山面 巨文島 德村里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순규;朴順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087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16면 박순규;朴順圭 전남 여수군 巨文島 德村里 1935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거문도 / 巨文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에 있는 섬. 고흥반도로부터 남쪽으로 40㎞ 지점에 있다. 삼도(三島)·삼산도(三山島)·거마도(巨磨島)라고도 불린다. 고도(古島)·동도(東島)·서도(西島)의 세 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고도만을 거문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도의 면적은 0
-
거문도항 / 巨文島港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거문도에 있는 연안항. 1923년 어항의 역할을 시작으로 1966년거문도항 어업전진기지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1970년 7월 28일 연안항으로 지정되었다. 1952∼1984년 사이에 물양장, 방파제, 호안 등이 축조되었다. 그리고 1997년 5월
-
거문도사건 / 巨文島事件 [정치·법제/외교]
영국이 러시아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 거문도사건은 영국 대 러시아라는 제3국 상호간의 정치적 야욕에서 발단된 사건이었다. 하지만 주권국인 조선의 양해 없이 점령이 감행된 점과 처리 과정에서도 조선 정부를 배제하고 열강간의 이해관계에
-
권동진 / 權東鎭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61-1947). 호는 애당(愛堂)·우당(憂堂)·실암(實菴). 거문도첨사 재직시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연루된 혐의를 받아 일본으로 망명했다. 일본에서 사귄 손병의의 영향으로 천도교에 입교해 민족대표로 3.1운동을 이끌었다. 《개벽》의 편집에 참
-
서상우 / 徐相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1∼1903). 종사관으로서 미국·영국과의 수호통상조약체결 때 참여하였다. 갑신정변 직후 전권대신으로 일본과 개화파 인사의 송환을 협상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한·러밀약설의 진상 규명을 위해 텐진을 방문했고,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철수를 요청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