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거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7)
사전(84)
- 거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임실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거사물현(居斯勿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청웅현(靑雄縣)이라 고치고 임실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태조 23)거령(居寧, 혹은 巨寧)으로 고치고, 1018년...이칭별칭거령(巨寧)|거사물현(居斯勿縣)|청웅현(靑雄縣)|영성(寧城)
- 거령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씻겨주고 옷을 입혀주는 관욕(灌浴)절차가 따른다. 다음에 부처를 그린 큰 괘불(掛佛)을 여러 사람이 법당에서 메고 나와 도량을 도는 괘불이운(掛佛移運) 절차가 있는데, 이 때「거령산」을 짓소리로 부른다. 합창으로 처음「산화락(散花落)」을 세번 빠르게...
- 齧缺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220 齧缺 남자 天皇, 雷霆, 鍾皷, 巨靈 大觀賦 D_07_01_05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凌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380 李凌幹 인물 盤纏色, 侍中 南原府, 居寧縣, 吐蕃 忠宣王 D_09_04_118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11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1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兩南水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S_0005 兩南水勢 산림 山水, 風氣, 山勢 我國, 白頭, 頭流, 全羅, 慶尚, 黃池, 洛東江, 東海, 金海, 東萊, 大小白, 安禮之間, 無等, 全州, 德裕, 錦江, 車嶺 S_03_01_47 성호사설 3권 1장 47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3권 1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01)
- 車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12권, 정조 5년 12월 17일 을유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정조 5년 12월 17일 을유(1781) 1781 車嶺 義州 白頭山 劒殺峰 龍灣 劒殺峰 江界府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車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5권, 숙종 2년 4월 13일 을축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숙종 2년 4월 13일 을축(1676) 1676 車嶺 江華 大興山城 淸人 義州 海州衛 義州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車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12권, 숙종 7년 11월 27일 병자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숙종 7년 11월 27일 병자(1681) 1681 車嶺 平安 嘉山 曉星嶺 安州 博川 安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車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11권, 순조 8년 12월 11일 임인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순조 8년 12월 11일 임인(1808) 1808 車嶺 竹嶺 秋風 八良 左峴 大關 緩項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車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103권, 영조 40년 6월 20일 경자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영조 40년 6월 20일 경자(1764) 1764 車嶺 平安道 車嶺 사회 平安道 車嶺民三十二戶,爲火所燒燼,上命施...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신문·잡지(6)
- 竹山居水原后人崔夏鎭이以族譜修正次로輪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竹山居水原后人崔夏鎭이以族譜修正次로輪船을타고下去靈岩郡宗人家타가壬寅五月初五日夜에破船致死야身體도求襲지못얏기로其弟斗鎭이가不勝寃恨야更爲修譜次로下去靈岩郡宗人家오니京鄕僉宗人은照亮시 竹山居 崔斗鎭 告白게재일1903년 3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민세안재홍전집 : 敵産家屋 外國人엔拂下않는다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524 1947 7 17 1 1 敵産家屋 外國人엔拂下않는다 新堂洞退去令은軍의措置이다 신문 경향신문 2면 3단 담화 정치 직접자료 선집외 敵産家屋, 都市, 農民, 工場 A19470717경향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論律度量衡 曹正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此各種을不可枚數而非人之十分靈鑑이면亦有不能盡免其情者ㅣ然而必度以權量이면雖童子愚夫라도視其取備於白工즉不受欺慢이居十之七八니此權量之爲力이居靈鑑三分之二雖二三分靈鑑之人이라도恃此權量之力고行於萬物之中이면即爲十分完全之靈鑑而國無不智之人이니各欲巧猾之徒ㅣ始以不敢於人而不欺고終成不忍於已而不...게재일1907년 5월 29일 | 기사분류논설
- 지부생활_1983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아들을 타일러 더 온돈을 돌려주었다 한칙현 16 간고할수록 의지가 견강해야 한다 장거령 17 대중의 리익을 첫자리에 놓고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3
- 신태양_1953_0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꽃다발-안구예금 59 바다와 여인과 나와 이덕진 61 철거령 이문 소전생 6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3
멀티미디어(1)
- 정부는 무허가 건축물들이 도심의 미관을 해치고 화재의 위험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해 철거령을 내렸다. 무허가 건축물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정부가 지정한 부지로 이주하였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1년 5월 2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5)
- 학술원및예술원회원선거령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술원및예술원회원선거령제정 학술원및예술원회원선거령제정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학술원및예술원회원선거령(안)(3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술원및예술원회원선거령(안)(3회) 학술원및예술원회원선거령(안)(3회) 교육 문헌 교육법령 법령안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사료철명국무회의상정안건철
- 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을 이길 수가 없었습니다. 태종문황제(太宗文皇帝) 는 기개가 천하에서 으뜸이고 정신은 우주에 왕성하여 반고(盤古)가 아홉 번을 변화하고 거령(巨靈)이 손바닥을 한 번 씀과 같았습니다. 쓰러지는 자를 떠받치고 약한 사람을 구원하기에 날마다 쉼이 없어서 선왕을 애처롭게 여...대표표제어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 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將耳順 楡景日侵 不懼舩海之危 逺涉陽侯之險 瀝心華境 頓顙天門 具陳孤弱 明論侵擾 情之所露 聽不勝悲 太宗文皇帝 氣雄天下 神王宇宙 若盤古之九變 同巨靈之一掌 扶傾救弱 日不暇給 哀納先君 矜收所請 輕車駿馬 美衣上藥 一日之內 頻遇殊私 亦旣承恩 對揚軍事 契同魚水 明於金石 鳳鑰千重 䳽關...대표표제어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당 현종이 신라 성덕왕에게 보낸 勅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나온다. 等到 縁事緒未及還期 忽嬰疹 疹 : 全唐文』에는 瘵로 나온다. 疾 遽令救療 而不幸殂逝 相次數人 言念殊鄉 載深軫悼 想卿聞此 良以增懐 然死者生之常 固其命也 固當理遣 無以累情 秋初 秋初 : 全唐文』에는 初秋로 나온다. 尚熱 卿及首領百姓以 以 : 全唐文』에는...대표표제어당 현종이 신라 성덕왕에게 보낸 勅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4)
-
거령 / 居寧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임실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거사물현(居斯勿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청웅현(靑雄縣)이라 고치고 임실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태조 23) 거령(居寧, 혹은 巨寧)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남원도호부에 예속시켰다. 별칭으로 읍
-
오삼인천사태 / 五三仁川事態 [사회/사회구조]
과 경찰은 5월 5일과 8일, 민통련과 인사연 간부, 학생, 노동자 45명에 대해 특별검거령을 내렸다. 구속된 170명 중 57명은 국가보안법위반죄, 소요죄,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위반죄 등으로 구속 기소되었고, 88명은 기소유예로 석방되었다.
-
금북정맥 / 錦北正脈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안성의 칠장산(492m)에서 남하하여 충청남도 태안반도 안흥진(安興鎭)까지, 연장거리 295㎞에 이르는 산줄기. 연결되어 있는 주요산은 칠현산(七賢山, 516m)·청룡산(靑龍山, 400m)·성거산(聖居山, 579m)·차령(車嶺)·광덕산(廣德山, 699m)·차유
-
남태봉 / 南台峯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과 원주시 신림면, 판부면에 걸쳐 있는 산. 남태봉의 높이는 1,181.5m로, 치악산(雉岳山) 남쪽에 위치하여 치악산국립공원에 포함된다. 차령산맥(車嶺山脈)에 속하며 험준한 산세를 보이고 기암괴석과 울창한 수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치악산은 198